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비관론 "석유 고갈" vs 낙관론 "대체에너지 등장"
'석유가 고갈돼 인류는 망할 것이다.' '석유는 고갈되지 않으며 인류는 진보할 것이다.' 지구 에너지와 인류문명을 바라보는 비관론자와 낙관론자의 시각은 정반대다. 만일 대학입시 논술이나 면접 때 이와 연관된 질문이 나오면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 우리는 대개 비관론자 쪽에 기울어 있다. “자원은 고갈될 것이다. 환경은 악화된다. 따라서 인류의 운명은 풍전등화다.” 석유 고갈론을 너무 자주 들어온 탓에 인식구조는 이렇게 굳어 있다. 이 흐름은 상...
-
커버스토리
불→ 석탄→ 석유→ 원자력→ ?…에너지의 진화
에너지는 인류 문명 진화의 핵심이다. 인류는 에너지를 인간의 이성(지식)과 융합해 지속적으로 문명을 발전시켜왔다. 에너지는 인류 삶의 패턴을 바꾸고, 인류 문명 진화 속도를 좌지우지했다. 에너지의 역사가 바로 인류 문명의 역사인 셈이다. 석탄 석유 등 에너지는 수많은 전쟁의 빌미가 됐다. 석유가 '악마의 눈물'로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도 지구촌은 에너지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석유 패권을 차지하려는 싸움, 새로운 에너지를 개발하려는 치...
-
커버스토리
공급과잉시대…주목받는 '광고의 경제학'
19세기 프랑스 경제학자 세이(Jean B Say)는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고 주장했다. 후세의 경제학자들이 '세이의 법칙(Say's law)'으로 이름을 붙인 이 법칙에 의하면 경제의 불균형(수급불일치)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장기적으로는 수요가 공급에 맞춰 자율적으로 조정됨으로써 경제는 항상 균형을 유지한다는 것이 골자다. 물건을 만들어내면 시차가 있을지라도 모두 팔린다는 분석이 깔려있다. 하지만 세이의 법칙은 100년쯤 후에 '수요...
-
커버스토리
밴드왜건·스놉·베블런·디드로 효과…사고 싶은 원리들
광고는 기업의 이미지 제고나 제품 홍보를 통해 결국 소비심리를 부추기는 수단이다. 따라서 광고주들은 때로는 차별화된 제품의 성능을 부각해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때로는 기업 이미지 홍보로 자사 제품의 구매욕구를 부추긴다. 소비자들이 갈수록 현명해지면서 왜곡된 광고나 이미지 부각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다. 과장광고로 벌금을 무는 등 제재를 받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다. 경제적 원리 측면에선 최소의 광고비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것이 최고의 ...
-
커버스토리
'광고 천재' 오길비…"소비자 마음을 빼앗아라"
영화배우 멜 깁슨과 헬렌 헌트가 주연한 영화 '왓 위민 원트(What women want)'는 광고기획자인 남자주인공에게 일어난 기적과 사랑을 그린다. 어느 날 주인공 닉 마셜은 전기충격으로 여자의 마음을 읽는 능력을 갖게 된다. 광고기획자라면 억만금을 주고서라도 갖고 싶은 초능력을 앞세워 그는 승승장구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광고문구(카피) 하나를 만들어내기 위해 밤을 새우는 노력이 있을 뿐이다. # 광고업계의 '전설' 광고산업...
-
커버스토리
스포츠·스타·스폰서…'3S의 경제학'
프로야구는 대한민국의 '국민 스포츠'다. 살림이 팍팍하다해도 주말 야구장은 거의 만원이다. 700만 관중시대의 프로야구는 경제적 가치도 엄청나다. 입장료, 먹거리, 광고비 등을 포함한 프로야구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1조원을 넘는다는 분석이 나온 지는 수년 전이다. 2012년에 8개 구단이 표만 팔아서 번 돈은 600억원 정도다. 야구 경기가 있는 주말 서울 잠실구장에서 하루에 팔려나가는 먹거리는 1억2000만원, 기업들이 잠실야구장에 광고비로 투...
-
커버스토리
FA의 경제학…연봉 높으면 구단가치도 '껑충'
“추신수의 가치는 1억달러다.” 요즘 미국 프로야구계에선 자유계약선수(FA·Free Agent) 자격을 획득한 추신수 선수(32·신시내티팀)의 예상 몸값이 화제를 낳고 있다. 추신수의 협상 대리인인 스콧 보라스는 “6년 정도의 장기계약을 전제로 1억달러를 내야 그를 데려갈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한다. 1억달러는 한화로 1000억원을 웃도는 큰 돈이다. '추추 트레인'의 몸값이 치솟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FA 덕분이다. 스포츠계에선 '...
-
커버스토리
스포츠 마케팅 전성시대…스타 키우는 기업들
'스포츠 경제학'이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 스포츠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스포츠와 경제 원리에 닮은꼴이 많다는 것도 함축하는 표현이다. 스포츠는 개인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지만 경제적으로는 막대한 부(富)를 창출하는 수단이다. 특히 프로스포츠는 선수들에게 엄청난 부를 안겨주고, 기업들은 기업 이미지 홍보 수단으로 활용한다. 지구촌에선 연일 스포츠 마케팅 전쟁이 벌어진다. 스포츠 마케팅이 글로벌 기업들에 '필수 코스'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