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공짜 지상천국을 만들겠다는 국가는 망할 수밖에 없다
“국가가 지상지옥이 된 것은 항상 국가를 지상천국으로 만들려고 했기 때문이다.” 독일 시인 프리드리히 휄더린(1770~1843)은 유토피아론을 이렇게 질타했다. ‘지상 천국화’가 시도될수록 현실의 삶은 시간의 화살을 타고 빠르게 지옥으로 변한다는 경고다. “신자(信者)는 끝까지 가서 기어코 세상을 무너뜨린다”는 이안 부르마와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일을 하려는 노력은 언제...
-
커버스토리
"고기잡는 법 안 가르치고 생선을 나누어 주었다"
영광은 천천히 오고 몰락은 순식간에 온다. 경제적 강국도, 문화적 강국도 번영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다. 정상에서 자만하면 몰락은 한순간에 닥쳐온다. 이는 국가든 기업이든 개인이든 모두에 적용되는 이치다. 남미의 아르헨티나는 한때 세계 7위의 경제대국이었다. 하지만 포퓰리즘(대중인기 영합주의)이 아르헨티나를 휩쓸면서 불과 반세기 만에 경제 강국은 국가 빚도 제대로 못 갚은 나라로 전락했다. 경제 강국으로 지구촌의 부러움을 샀던 아르헨티나는 이제...
-
커버스토리
국력도 행복도…기업이 원천이다
‘기업이 국력이다.’ 다소 진부한 말처럼 들리지만 분명 참인 명제다. 세계적으로 강대국이란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나라는 예외없이 글로벌 기업들이 자리한다. 미국 중국이 국제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기업의 덕이다. 지구촌에서 무한히 넓어지는 ‘코리안 무대’ 역시 기업이 닦은 것이다. 기업은 국가를 부강하게 하고, 개인의 물질적 삶을 풍요롭게 하는 원천이다. 기업의 존재 이유는 &...
-
커버스토리
기업이윤이 부도덕하다?
매년 대입 면접에 나가 학생들을 평가한다는 모 대학 경제학과 교수. 그는 늘 기본적인 질문을 먼저 던진다고 한다. “기업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그는 학생들의 대답에 놀라곤 한다고 전한다. 학생들의 대답은 이렇게 요약된다. “이윤을 우선시하는 것보다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해 어려운 사람을 도우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윤을 적대시하고 기업을 사회복지 단체로 알고 있다는 얘기다. 이 교수는 학교가...
-
커버스토리
조선의 애덤 스미스 '상공업 국부론' 주장한 박제가
조선 북학파로 분류되는 초정 박제가(1750~1805)는 영국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1723~1790)를 여러 모로 닮았다. 각자 지구 반대편에서 거의 동시대를 살았을 뿐 아니라 주요 저작 발표 시기도 비슷했다. 스미스가 ‘국부론’을 1776년 펴냈고, 박제가는 ‘북학의’를 1778년 세상에 내놨다. 북학의는 박제가가 당시 선진 문물인 청나라 건륭제 시대를 보고 ‘가난하고 뒤떨어진 조선이 무...
-
커버스토리
부채비율·영업이익률…기업 건전성 판단하는 대표적 지표들
기업의 재무건전성은 기업체질이 얼마나 건강한가를 측정하는 지표다. 재무건전성은 기업이 미래의 환경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적응하고 대응할지를 판단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된다. 특히 주식 투자자들에게 재무건전성은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필수항목이다. 재무건전성은 주로 △유동성△수익성△안정성△활동성△성장성 등을 재무제표에 의한 계량적 분석을 통해 비율을 산출하고 동종업계 평균비율과 비교해 평가한다. 부채비율은 대차대조표의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
커버스토리
한국 기업이 '흔들린다'
한국 기업들이 흔들리고 있다. 전통적 굴뚝산업은 ‘중국 공포증’에 시달리고, 엔저(低) 날개를 단 일본 기업들은 ‘잃어버린 20년’이라는 긴 터널에서 벗어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양적 완화 정책 종료를 공식 선언하면서 미국으로의 수출 여건도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의 간판급 기업인 현대중공업은 올 들어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고, 삼성전자 역시 스마트폰의 성장모멘텀이 크게 둔화되고 있다는...
-
커버스토리
한·중 FTA 체결…자유무역 지평을 넓히다
개방은 인류발전의 원동력이다. 인류의 역사는 개방의 역사다. 물론 개방을 바라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누구는 개방을 무역 영토를 확장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촉매로 여기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개방에 종속의 색깔을 입힌다. 개방의 변곡점마다 찬반이 갈리는 이유다. 역사는 많은 것을 함의한다. 인류는 과거에서 현재를 배우고, 미래의 지혜를 찾는다. 지난 반세기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은 개방에 힘입은 바가 크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렸지만 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