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확인 매장량 늘어나고
셰일가스 개발 열기 이어지며
국제유가는 내리막 행진
지구의 크기는 한정돼 있다. 그 속에 있는 자원도 그렇다. 자원 고갈론이 늘 설득력 있게 들리는 이유다. 석유도 그중 하나다. “그래서 석유도 곧 바닥난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옆에 냉장고가 하나 있다고 해보자. 안에 저장해둔 음식을 다 먹어간다. 이것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다. 덜컥 겁이 난다. 이런 공포는 다른 냉장고가 있다는 사실을 모를 때는 옳다. 만일 다른 냉장고 수십만개가 있다면 어떨까? 아니 냉장고가 몇 개나 더 있는지조차 모른다면? ‘석유가 얼마나 묻혀 있는지를 모른다면’ 석유는 한정돼 있는 것일까.셰일가스 개발 열기 이어지며
국제유가는 내리막 행진
석유 확인 매장량 1.6조 배럴
1914년 미국 광산국은 10년 내 미국 석유 매장량이 바닥날 거라고 예측했다. 1939년 미국 내무부는 앞으로 13년간 사용할 석유만 남았다고 바꿔 발표했다.
20년 뒤 내무부는 또다시 13년치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다. 1970년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은 “다음 10년이 끝나갈 때쯤 우리는 전 세계의 확인된 석유 매장량을 모두 소비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모두 틀렸다. 우리가 석유를 더 많이 썼는데도 더 많이 나왔다(물론 아껴쓰면 좋다). 세계 석유 확인 매장량은 1970년 5500억배럴, 1980년 6000억배럴을 돌파했다. 1990년 1조배럴을 넘어 2013년 1조6450만배럴로 증가했다. 앞으로 얼마나 더 발견될까?
석유만 더 발견된 것이 아니다. 셰일가스라는 강력한 석유 도전자도 퍼올려지고 있다. 셰일가스는 무궁무진하다. 가격도 석유보다 훨씬 싼 10분의 1 정도다. 현재 미국만 캐내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 영국 빅토리아 시대 경제학자 스탠리 제번스는 오늘날의 석유와 똑같이 ‘석탄의 위기’를 걱정했다. 그는 ‘석탄의 문제’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했다. “석탄이 있으면 거의 모든 일이 가능해지거나 쉬워진다. 만일 그것이 없다면 우리는 예전의 힘들고 궁핍한 시절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석탄이 고갈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의 걱정은 기우였다. 석탄보다 뛰어난 석유가 발견된 것이다. ‘이성적 낙관주의자’의 저자 매트 리들리는 “인류의 에너지원은 사람(노예)→동물→물→바람→화석연료로 바뀌어왔다”고 했다.
석탄이 훌륭한 에너지이지만 효율면에서 석유에 못 미친다. 석탄을 다 꺼내 쓰기도 전에 인류의 손길은 석유로 옮겨와 버렸다. 이런 비유가 있다. “항아리의 크기도 모르면서 그 안에 들어 있는 콩이 몇 알인지를 추측하려고 한다.”
인간이 써야 자원이다
자원이란 무엇일까. 자원은 자연에 있다고 해서 다 자원이 아니다. 자원이 가치가 있으려면 인간의 지성이 결합돼야 한다.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자원 자체가 아니라 그 자원이 주는 서비스다. 예를 들어 석유가격이 물처럼 싸진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누가 채굴비용이 많이 드는 석탄을 쓰겠는가. 석탄은 인간지성(채굴 기술 등)과 결합되지 않아 더 이상 자원이 아니다. 사람이 써야 에너지다.
석유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만일 석유보다 더 효율이 좋고, 싼 대체 에너지가 발견된다면, 석유도 석탄 처지가 될 수 있다. 아마도 셰일가스가 더 많이, 더 싸게 생산된다면 세계는 석유를 퍼올리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럼 셰일가스 다음은? 태양에너지? 수소 에너지? 핵융합 에너지? 답은 인간의 기술진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노예의 근육을 주 에너지로 썼던 인류가 석유를 꺼내 쓸지 누가 알았겠는가. 매트 리들리와 ‘회의적 환경주의자’의 저자 비외른 롬보르, ‘근본자원의 저자’ 줄리안 사이먼은 “석유를 아껴써야 하는 것은 맞지만 미래를 비관적으로 볼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관심은 ‘왜 요즘 석유 가격은 떨어지고 있을까’로 모아진다. 자원이 고갈상태라면 가격은 올라야 정상이다. 셰일가스가 나오고 석유 확인 매장량이 늘어 생산경쟁이 벌어진 탓이다. 자원 고갈론과 관련한 유명한 ‘내기’ 한 가지를 소개해보자. 줄리안 사이먼과 폴 에를리히의 ‘자원가격예측’ 내기다. 사이먼은 다섯 가지 자원(크롬 텅스텐 구리 니켈 주석)의 가격이 향후 10년간 떨어질 것이라고 했고, 에를리히는 고갈론에 따라 오를 것이라고 했다. 사이먼이 이겨 돈을 땄다. 10년 동안 가격은 절반으로 떨어졌다. 왜일까?
석유 다음 에너지는…기술의 진화
사이먼은 인간의 지성과 기술진보를 굳게 믿은 낙관주의자였던 반면, 폴 에를리히는 비관주의자였다. 과거 자원 채굴기술은 지하 50m밖에 파들어가지 못했지만, 지금은 수십㎞ 안까지 파는 기술을 발명했다. 과거엔 셰일가스를 팔 기술이 없었지만(그럴 필요가 없었다) 이후 ‘필요성’과 ‘경제성’에 자극받은 인간은 채굴기술을 만들어냈다. 미래에 인간은 어떤 기술을 만들어낼까. 어마어마하게 지구를 향해 오는 태양에너지를 대기권 밖에서 모아서 지구 전체 에너지로 사용할지도 모른다. 인간만이 근본자원이라는 말이 여기서 성립되는 것이다. 아프리카가 산업화되더라도 인류는 석유를 다 쓸 수 있을까?
■ '엔트로피 증가'와 에너지 위기?
자원과 지구환경, 인류의 미래에 관한 논술 문제가 나올 수 있다. 자원고갈론과 ‘엔트로피 법칙’을 각각 기술한 문장을 주고 양측 의견을 비교하라는 문제가 출제될 수 있다. 또 자원고갈론을 반박하는 낙관주의자들의 글과 ‘엔트로피 법칙’을 비교하고 서로 비판하라는 문제도 나올 수 있다.
엔트로피 법칙은 한마디로 지구와 우주는 폐쇄돼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결국 한계를 드러낸다는 것을 설명한다. 우주의 모든 에너지는 사용하면 점차 다시 쓰지 못하는 형태로 바뀌기 때문에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엔트로피 증가’라는 말이 나오면 자원고갈론 등 비관적인 미래에 대한 주제를 떠올리면 된다.
엔트로피를 말할 때 열역학 제2법칙도 알고 있어야 한다. 열역학 제1법칙은 우주의 에너지는 항상 일정하다고 본다. 나무를 태우면 열로 바뀌는 등의 과정을 거치지만 에너지 총량은 같다는 설명이다. 에너지 불변의 법칙이다. 열역학 제2법칙은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 열이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이동하는 자발적 과정을 말한다. 즉, 그 반대는 일어날 수 없고 한 번 사용한 에너지는 다시 그 에너지로 돌아올 수 없다는 자연계의 법칙이다. 엔트로피가 증가하면 무질서의 정도가 높아지므로 지구와 우주는 위험하며, 석유 등 에너지를 지금처럼 사용하면 위기는 더 빨리 온다는 비관주의적 시각도 내포돼 있다.
고기완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