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IS 계정 차단한 트위터…일주일간 2000개 차단…테러공포 高高

    미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운영업체 트위터가 이슬람국가(IS)와 관련된 자사 서비스 계정을 정지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ABC뉴스는 테러리즘 분석가들의 말을 인용, 트위터가 외부에 이런 움직임을 거의 알리지 않은 채 IS가 테러리즘 확산을 위해 악용했던 계정들을 적극적으로 차단했다고 보도했다. 정지시킨 계정은 최근 1주일간 약 2000개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IS는 세력 확산 초기부터 트위터를 비롯한 SNS를 적극 활용해 왔...

  • 커버스토리

    오류와 왜곡…통계를 맹신하지 마라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다. 그럴듯한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그리고 통계다.” ‘영국의 황금시대’를 이끈 빅토리아 여왕(재위기간 1837~1901년) 시대 총리였던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말이다. 다양한 통계를 인용해 국민과 정치권을 설득한 사람의 말이라서 그런지 통계의 함정이 더 크게 느껴진다. 미국 작가 대럴 허프의 <How to lie with statistics>는 우리나라에...

  • 커버스토리

    4대그룹의 매출이 GDP의 50%나 된다고?

    통계는 판단기준을 제시한다. 하늘에 떠 있는 북극성과 비슷하다. 북극성을 보고 항해하면 방향을 잃지 않는다. 문제는 다른 별을 보고 북극성이라고 우길 때다. 북극성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속는다. 애초부터 오류가 포함된 통계를 만들어내거나, 서로 비교 대상이 안 되는 통계를 비교한 뒤 특정 주장을 내세울 경우 일반인은 쉽게 주장에 편승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나도는 엉터리 통계 해석은 어처구니없는 사회적 갈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 커버스토리

    평균의 오해…중앙값·최빈수…잘못 적용땐 정책 왜곡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평균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평균을 정확하게 알려면 산술평균, 중앙값, 최빈수로 나눠봐야 한다. 산술평균을 평균의 전부로 알면 통계에 속기 십상이다. 7명의 점수가 각각 1, 1, 2, 3, 1, 3, 4인 경우 산술평균은 2.1(더한 값을 7로 나누기)이다. 중심을 잘 나타내는 대표값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1, 1, 2, 3, 1, 3, 17인 경우 같은 방법으로 평균점수가 4점이라고 할 수 있을까? 4는 전혀 대표...

  • 커버스토리

    여론조사 바로 읽기… 신뢰수준 95%, 오차 ±3.1%포인트?

    “A조사기관에 따르면 이달 7~10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B정당 ‘갑’ 후보자에 대한 지지율은 40%, C정당 ‘을’ 후보자의 지지율은 30%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신뢰수준 95%, 오차는 ±3.1%포인트다.” 선거철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여론조사 결과다. 하지만 이 여론조사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 커버스토리

    표본의 모집단 대표성…'통계함정' 안빠지는 척도

    통계(숫자)는 예측의 대표적 근거다. 통계가 다양하고 객관적일수록 판단이나 예측이 정확해진다. 통계는 판단·예측의 나침반인 셈이다. 하지만 통계나 숫자에는 오류나 허점도 많다. 무엇보다 잘못된 샘플(표본)은 통계 의미를 변질시킨다. 비교통계의 기준이 동일해야 객관적 비교가 가능하다. 표본집단의 크기도 통계의 객관성을 높인다. 표본집단이 작으면 1~2의 샘플로 50~100%라는 수치를 붙이는 오류를 범한다. 작성자의 의도에 따라 통계...

  • 커버스토리

    늘어도 줄어도…지구촌 화두 '인구의 딜레마'

    토머스 맬서스(1766~1834)는 《인구론》(1798년)에서 인류의 재앙을 경고했다. 생존에 필수인 식량 증가엔 한계가 있지만 인구는 빠르게 늘어나니 인류의 기근이 불가피하다는 논리였다. 그는 산술급수(식량), 기하급수(인구)란 용어까지 써가며 재앙의 필연성을 강조했다. 그의 예언은 빗나갔다. 하기야 ‘우울한 전망’이 어긋나는 건 인류에 축복이다. 21세기 지구촌엔 식량이 넉넉하다. 다만 분배의 지혜가 부족할 뿐이다. 인...

  • 커버스토리

    72억 지구촌 인구…대륙별 분포는

    인구는 일정한 지역(국가) 내에 있는 주민 전부를 포괄하는 의미다. 인구는 국민·인종·민족과 다른 개념이다. 시대와 나라에 따라 구성·제도·형태 등이 끊임없이 변화한다. 인구 증감이나 이동 또는 인구 구조에 의해 변화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인구 증감은 출생과 사망의 차에 의한 자연증감과 전입·전출의 차에 의한 사회증감의 합으로 나타난다. 작년 1월1일 독일세계인구재단(DSW)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