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과학ㆍ윤리 두 수레바퀴 충돌 잦지만‥
황우석 서울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영웅' 같은 존재다. 우리나라 과학자로 전 세계 주요 신문과 방송의 헤드라인을 일제히 장식할 정도로 주목받은 사람은 황 교수가 거의 유일하기 때문이다. 황 교수에게 다소 가혹할 정도로 과학 윤리의 잣대를 들이대는 것도 이런 명성 덕분(?)일 것이다. 황 교수팀의 '난자 의혹'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낳고 있긴 하지만 한편으론 현대 과학 연구에 있어서 윤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다....
-
경제 기타
주가연계증권이라는 ELW 상품이 새로 나왔다는데 …
주가연계증권(ELW)이라는 새로운 투자상품이 이달 초 주식시장에 나왔다. ELW는 주식이나 지수(기초자산)를 미래의 특정한 시점(만기일)에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매입(콜워런트)하거나 매도(풋워런트)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유가증권을 말한다. 주식(또는 주가지수)을 직접 사고파는 게 아니라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한다는 점에선 기존의 옵션상품(2005년 9월20일자 생글생글 15호 6면 참조)과 성격이 같다. ELW는 옵션...
-
경제 기타
난독증 딛고 기업 일궈
선천성 장애인 난독증(難讀症)으로 재무제표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장애인.부모에게 물려받은 유산 없이 맨손으로 거대 기업을 탄생시킨 의지의 주인공.영국 버진그룹의 리처드 브랜슨 회장(54)은 자수성가한 대표적 기업가로 꼽힌다. 그는 역경을 딛고 32억달러(약 3조2000억원)의 재산을 모아 영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부자가 됐다. ◆공부보다는 스포츠에 더 열중했던 브랜슨 그는 운동을 몹시 좋아했던 소년이었다. 그러나 무릎 부상으로 더...
-
경제 기타
"한국문화 따라하기" 아시아가 뜨거운데…
한류(韓流)를 둘러싼 아시아인들의 열광이 뜨거워지면서 이에 대한 역풍 또한 거세지고 있다. 일부 연예인들을 향한 동경과 열망이 패션과 음식 등 한국 문화 전반으로 확산되는 신한류(新韓流) 현상과 함께 한국에 대한 반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반한류(反韓流,중국)와 혐한류(嫌韓流,일본)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신한류 열풍은 올해 초 MBC 드라마 '대장금'이 방영된 이후 동충하초와 인삼 판매가 두 배 늘어날 정도로 확산됐다. 그러나 한 편에서...
-
경제 기타
한류 경제적 효과는
한류의 경제적 효과는 얼마나 될까.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 이병민 정책팀장은 "수출액 자체는 많지 않아서 한류 현상을 돈으로 체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문화컨텐츠진흥원에 따르면 한국의 2004년도 전 세계 문화콘텐츠 수출 총액은 4000억원이 채 안 됐다. 올해는 4600억원 규모가 될 전망이고 2007년에는 660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올 들어 지난 10월까지 총 수출액이 240조원 규모였던 것을 감안하면 문화콘텐츠의 수출 기여도는 ...
-
경제 기타
"문화침략 못마땅" 폄하시도도 잇따라
'오늘날 한국이 문명 국가가 된 것은 일본 덕이다. 한국에는 보상도 사죄도 할 필요가 없다.' 일본에서 최근 베스트셀러가 된 만화 '혐한류(嫌韓流)'에 나오는 내용이다.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폄하하는 억지 주장으로 가득한 이 책은 지난 7월 출간된 이래 3개월 만에 40만부나 팔렸다. 한류가 거세지면서 그에 대한 반작용도 만만치 않다. 일본에선 혐한류,중국에선 반(反)한류 또는 항(抗)한류라고 부르는 현상이다. 두 나라 모두 일부 보...
-
경제 기타
내년초엔 수입쌀 식탁 오른다
국회는 지난 23일 본회의를 열고 세계무역기구(WTO) 쌀 관세화 유예협상에 대한 비준동의안을 통과시켰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민주당과 민주노동당,한나라당 일부 농촌 출신 의원들의 반발 속에 표결을 강행,출석 의원 223명 가운데 찬성 139,반대 61,기권 23표로 비준동의안을 가결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오는 2014년까지 쌀관세화(시장 완전 개방)를 10년간 더 유예받게 됐다. 대신 한국의 쌀 의무수입 물량은 올해부터 기준연도(1...
-
경제 기타
패스트푸드 광고 시간 제한 外
⊙패스트푸드 광고 시간 제한 어린이 취침시간(오후 9시) 이전에 패스트푸드 광고가 금지되고 초·중·고교에 음료수 자판기 설치를 제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비만환자의 약물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는 민·관 합동으로 가칭 '국가비만관리위원회'를 설치해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민·관 합동 국가비만관리위원회를 설치하면 정부 규모는 더 커진다는 얘긴데….정작 국민의 비만은 치유하지도 못하면서 이미 뚱뚱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