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학교 선택권 확대되면 어떤 효과 있나요?
☞한국경제신문 12월8일자 A1면 지금 초등학교 6학년생이 고등학교에 들어가는 2010학년도부터는 서울지역 비(非) 강남권 중학교 졸업생들도 강남 소재 고등학교로 진학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교육청은 7일 고등학교 진학시 거주지와 상관없이 서울 전역에서 원하는 학교 2개를 선택,추첨을 통해 들어가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서울시 후기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선택권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2010학년도부터 중3 학생들은 일단 ...
-
경제 기타
월가에는 '다우의 개'라는 주식이 있다는데 …
지난 12월 12일자 한국경제신문 증권면에는 '다우의 개'(Dogs of the Dow)와 같은 주식에 투자하라는 기사가 실렸다. 삼성증권에서 쓴 투자전략 리포트에서 흥미로운 부분을 발췌해 쓴 기사였는데, 작게 소개돼 눈에는 잘 띄지 않았지만 사실 주식에 관심있는 투자자나 주식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알아두면 아주 유용한 투자 격언이다. ○'다우의 개'란 무엇일까 세계 자본시장의 심장부라고 불리는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내려오...
-
경제 기타
2006년 BEST.WORST...비즈니스위크가 선정한 아이디어.인물.상품
벌써 연말이다. 외신들도 한 해를 정리하고 내년을 전망하는 기사들을 쏟아내고 있다. 미국의 경제전문 주간지 비즈니스위크 최신호(18일자)는 욕심을 많이 낸 것 같다. 올해 최고의 아이디어와 리더(인물), 상품은 물론, 반대로 최악의 아이디어까지 선정해 발표했다. 최고의 아이디어에는 인터넷에서 재미있는 경제활동을 하면서 돈도 벌 수 있는 가상공간인 '세컨드 라이프'(www.secondlife.com)가 선정돼 눈길을 끌었다. 동영상 공유 ...
-
경제 기타
시위 잘못 가담했다간 '쪽박' 찬다
기업은 물론 정부·지방자치단체 등이 잇따라 불법 폭력시위 피해에 대한 거액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시위단체나 가담자에게 형사처벌은 물론 경제적 부담 등 실질적인 책임까지 물어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겠다는 방침이다. 법원도 최근 불법파업 노조에 대해 거액의 손해배상을 판결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등 우리 사회에서도 이제 '불법·폭력시위에 대해선 반드시 경제적인 책임도 묻는' 추세가 굳어지는 양상이다. 강원도 광주광역시 충청남·북지방경...
-
경제 기타
교사 베트남 연수 15일까지 신청하세요
생글생글 Young 한경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글생글 담당 선생님들에게 해외 산업 연수 계획을 안내해 드립니다. 한국경제신문은 내년 1월 16일(화요일)부터 20일(토요일)까지 3박5일간 베트남의 경제 산업 현장을 둘러 보는 산업 연수 행사를 갖습니다. 베트남은 개혁 개방 정책으로 최근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경제 중심지인 남부 호치민(구 사이공) 지역의 산업 단지와 한국 기업의 현지 진출 현황, 그리고 ...
-
경제 기타
내년 1인 소득 2만弗 넘을듯
⊙ 내년 1인 소득 2만弗 넘을듯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내년에 2만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추정된다. LG경제연구원은 4~5%의 경제성장률이 이어지는 가운데 환율이 급속히 하락함에 따라 1인당 소득이 올해 1만8300달러, 내년에는 1만9800~2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 1인당 소득 2만달러를 돌파하면 지난 1995년 1만달러를 돌파한지 12년만이 된다. -국민들의 생활은 나아진 게 없는데 1인당 소득은 환율 하락(원화...
-
경제 기타
처우개선.고용안정 당연하지만 일자리 줄어들까 걱정
비정규직법안이 지난 11월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내년 7월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기간제 및 시간제근로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과 근로자파견법 개정,노동위원회법 개정을 통칭하는 비정규직법은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개선과 고용안정을 골자로 하고 있다. 비정규직 문제는 우리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지 오래다. 인건비가 싸고 해고가 용이해 기업들마다 비정규직 채용을 늘리고 있지만 정규직과의 차별이 심화되면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
-
경제 기타
1조달러 구매력 키즈를 잡아라
'소비 파워 집단,어린이들을 공략하라.' 최근 미국에서 어린이들이 장난감은 물론 자동차 TV 컴퓨터 가구 등 가정의 각종 제품 구입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가계 소비의 결정권자'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업들은 인터넷이나 케이블TV를 통해 아이들 마음 잡기에 전력을 쏟아붓고 있다.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1조달러 키즈(Trillion-dollar kids)'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마케팅 전문가인 제임스 맥닐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