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피 마르는 18시간' 펀드매니저의 하루
펀드매니저는 하루 평균 6시간 이상 잠을 잘 수가 없다. 하루 18시간 동안 피 말리는 두뇌싸움을 펼쳐야 고객들이 투자한 소중한 자산을 지켜낼 수 있기 때문이다. 펀드매니저는 통상 자산운용을 전문으로 하는 투자신탁회사(투신사)의 주식운용부에 근무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자산을 늘리고 싶은 고객들이 투신사에 돈을 투자하면 이 금액으로 주식 등에 투자해 이익을 남기는 것이다. 짧은 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올리면 여의도 증권가에서 스타 펀드매니저...
-
경제 기타
"자기주도 교육으로 창의적 인재 육성해야"
한국경제신문 주관으로 지난 2월 6,7일 양일간 서울에서 '대한민국 혁신포럼 2007'이 열렸다. 지난해 행사가 혁신 협력의 물꼬를 트는 자리였다면 이번 포럼은 지난해 강조된 각 분야 혁신협력의 성과를 알리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혁신 한국을 세계 최고의 브랜드로 만들자는 노무현 대통령의 축사대독으로 시작된 이번 행사는 '혁신인프라 구축','인적자원 개발','미래와 성장'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 나가는 순서...
-
경제 기타
(기자수첩) 아직 갈 길 먼 장애인 복지시설
평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화 '말아톤'이나 '허브' 등 장애인들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영화들이 인기를 끄는 것이 그러한 증거다. 그러나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이 말 그대로 관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중 교통을 보면,장애인 시설이 지나칠 정도로 부실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지난해 12월13일 오전 10시께 휠체어 장애인 20여명이 양재역 버스정류장 앞에서 버스를 기다리...
-
경제 기타
김성호 법무부 장관 "소송 남발로부터 기업 보호 하겠다"
김성호 법무부 장관은 1일 "기업인들이 안심하고 국제사회에서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며 "이를 위해 환경·시민단체들의 기업에 대한 남소(濫訴)를 막아주는 스위스의 호프만법 같은 법률을 도입하는 등 각종 기업 관련 법과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대한상공회의소 대강당에서 열린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위한 법무정책 방향'이란 주제의 조찬강연을 통해 "불법 파업 등 사회에 만연한 각종 '떼법'에 대해 '법과...
-
경제 기타
수출 늘어도 무역흑작 '찔끔' 外
⊙수출 늘어도 무역흑작 '찔끔' 지난 1월 수출이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수입 역시 큰 폭으로 늘어 무역흑자가 2억달러를 간신히 넘는 수준에 그쳤다. 1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통관 기준 282억3000만달러로 지난해 1월보다 21.4% 증가했다. 반면 수입은 21.5% 늘어난 280억2000만달러를 기록,무역수지(수출액-수입액) 흑자는 2억1000만달러로 집계됐다. -해외여행,유학·연수 증가로 인해 서비스수지 적자는 눈...
-
경제 기타
르네 마그리트전 단체관람 하세요
생글생글 Young 한경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 대부분의 학교에서 개학을 했지요. 겨울 방학은 모두 잘 보냈으리라 믿습니다. 자칫 무의미하게 보낼 수 있는 징검다리 달 2월도 계획을 잘 세우기 바랍니다. 오늘은 생글 독자 여러분께 '르네 마그리트전' 단체 관람에 대해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르네 마그리트는 20세기 초현실주의 거장으로 현재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그의 작품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 전시회는 개막 후 날이 갈수...
-
경제 기타
해외투자 좋지만 국내생산 위축ㆍ일자리 사라져 성장 둔화
경제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가운데 하나가 FDI(외국인 직접투자)이다. FDI(Foreign Direct Investment)란 외국 기업 등 외국인이 자국(우리 입장에서는 한국)에 얼마를 투자하는지 보여주는 통계자료로,국내 기업의 해외 투자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FDI를 활성화하면 외국 자본에 의해 국내에 생산설비와 일자리가 만들어지고,선진 기술의 유입도 기대할 수 있다. 지난해 한국의 FDI 유치 금액은 신고 기준으로 112억300...
-
경제 기타
(23)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
"내가 키울수 있는 중소기업에 가자" 1976년 2학기가 막 시작된 9월께.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반의 한 대학생이 직장 선택을 놓고 고민하고 있었다. 그의 친구들은 거의 월급도 많고 남들로부터 부러움도 사는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학생의 생각은 달랐다. '언젠가 내 사업,그것도 제조업을 해 봐야겠다. 그러려면 직장 생활 초창기에 일을 빨리 많이 배워야 하는데,조직이 잘 갖춰진 대기업은 한계가 있을 것 같다. 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