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진학 길잡이 기타
서울대 자연계열 · 포항공대 가고 싶은데…
생글생글에서는 복잡해진 대학입시와 대학마다 계열마다 다른 전형으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는 수험생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전문가의 입시상담 컨설팅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대입 컨설팅 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쌓아온 김영일교육컨설팅㈜의 김영일 소장이 상담을 전담합니다. 상담을 받고 싶은 학생은 이메일(consulting@01consulting.co.kr)로 보내주세요. 이름과 나이,학교,학년,계열,학생부 성적과 모의고사 성적,희망 대학 및 학과,연...
-
진학 길잡이 기타
대학이 학자금 대출 이자 보조
올해 유난히 등록금 투쟁이 거센 대학가에서 일부 대학이 정부가 보증하는 대학 학자금 대출상품의 이자를 보조하겠다는 뜻을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을 활용하는 학생의 절반 이상(52.6%)은 전체 가구의 소득 수준을 10단계로 나눴을 때 하위 3단계 이하인 저소득층이다. 따라서 대출 상품 이자를 대학이 보조할 경우 가계가 어려운 학생들에겐 등록금을 깎아주는 효과가 난다. 한양대와 인하대는 최근 학생들의 6개월치 이자를 학...
-
(11) 국제기구종사자 … 외교부 年1회 실시 JOP제도 '디딤돌'로
지난 22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이종욱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갑작스레 타계한 후 보건 의료계는 물론 세계 각국 정부와 지도자들의 애도표명이 이어지고 있다. 평생을 의료봉사에 바치며 '21세기 슈바이처'로 불렸던 그는 한국인 최초의 선출직 유엔 산하 국제기구 수장이기도 했다. 고(故) 이종욱 총장처럼 UN 등 각종 국제기구에 소속돼 주어진 공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국제기구 직원 또는 국제공무원이라고 한다. 국제기구 종사자는 크게 전문...
-
50. 올바르지 않은 비교 - 특성과 조건이 유사해야
숫자가 포함된 정보들을 올바르게 비교하려면 두가지 원칙을 확인해야 한다. 첫째,비교를 할 때 비교되는 특성이 같아야 하고 둘째,비교되는 특성 이외의 것들에 대해서는 서로 비슷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 원칙이 중요한 이유는 비교를 하는 경우 두 원칙이 지켜지지 않으면 어떤 요인 때문에 차이가 생기는지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첫 번째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예부터 들어보자. 우리나라에서는 교통사고 사망자에 대한 경찰의 피해 집계와 정부의...
-
학습 길잡이 기타
정말 깬다
정말 깬다.It's wrong 겉으로 보기엔 멋있었는데 대화를 해 보니 한심한 말만 한다든지,턱시도에 나비 넥타이까지는 다 좋았는데 흰 운동화를 신었다든지 할 때 '깬다'는 표현을 쓰죠.이렇게 행동이나 말,의상 등이 '깬다'라고 하는 것을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모든 상황에 다 들어맞는 한 가지 표현은 없지만 '어울리지 않는' '적절하지 않은'의 뜻을 가진 wrong을 써서 "It's wrong" 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Jim...
-
학습 길잡이 기타
油價上昇(유가상승)
# increase in oil prices 油 (기름 유)= '말미암을 유(由)'에서 음을 딴 글자. 물(水)과 섞이지 못하는 '기름'을 뜻한다. 油田(유전) oil field 石油波動(석유파동) oil crisis 産油國(산유국) oil-producing country Because of the oil crisis many banks went broke.(石油波動으로 많은 은행들이 파산했다.) Arab countries ar...
-
경제 기타
지방선거, 유권자가 먼저 지친다
학교 앞 사거리의 가로수마다 현수막이 빈틈 없이 걸려 있다. 등교길엔 색색의 옷을 맞춰 입은 사람들이 신호 대기 중인 차 창문을 두드리고 명함을 건넨다. 기호를 외쳐대며 확성기 소리를 높이는 홍보 차량의 소음은 수업하고 있는 교실까지 들린다. 5·31 지방 선거를 앞두고 전국적으로 선거 유세가 한창이다. 화려한 간판과 현수막이 수십 명이나 되는 후보들의 기호를 내세우며 '소중한 한 표'를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이번 선거는 여느 선거보...
-
경제 기타
'비교육적'인 교육정책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부와 여당에서는 서울지역 학군 광역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강남 집값이 상승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명문대 진학률이 높은 강남 8학군 고교에 들어가기 위한 전입이 이어지기 때문이라는 이유다. 그동안 금융부문에 맞춰져 있던 부동산 안정대책의 초점을 교육정책으로 돌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여당이 검토 중인 조정안에는 현재 서울시내 11개 학군을 4~7개로 줄여 가까운 학군을 통합하는 광역학군제가 들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