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월 19일자
1. 뉴욕타임스(NYT)가 선정한 올해 경제 분야 유행어 중 하나. 회계사들이 1960년대부터 보너스의 반대개념으로 써오던 단어로 경영진들에 대한 징계나 임금삭감 등을 의미하는 말은? ① 안티보너스 ② 논보너스 ③ 보너스 디플레이션 ④ 말러스 2. 근로소득자의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을 당해연도의 소득세액과 대조해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연말조정 ② 연말정산 ③ 연말계산 ④ 연말청산 3. 문학,...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2)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인간은 '다윈의 자식'이다
"인간은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가." 이 물음은 철학에서 가장 오래된 질문의 하나이며 신학 역사학은 물론 생물학 의학 등에서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서양의 오랜 역사는 18세기까지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 인간이 조물주로부터 창조됐다는 창조론을 당연시했다. 창조론에 반기를 든다는 것은 그야말로 무모한 작업이었다. 수많은 학자들이 창조론에 의심을 품으면서도 다른 증거를 대지 못해 이를 인정해왔다. 적어도 다윈 이전까지 말이다. 종...
-
캄보디아 연수 잘 다녀오십시오
생글생글 선생님 안녕하세요? 이번 주에는 생글생글 해외 연수단이 캄보디아로 연수를 떠납니다. 지난해 말 전경련 교사 연수와 이메일 신청 선생님 중에서 선발된 50명의 선생님이 영화 킬링필드로 유명한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 등 관광 산업현장을 12~16일 둘러보고 논술 교육을 주제로 세미나도 갖습니다. 연수단 선생님들 좋은 현장 교육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번에 연수단에 들지 못하신 선생님들께는 다음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드릴...
-
경제 기타
대학 신입생, 내년부터 학과별로 모집 가능
교육과학기술부 학생모집단위 자율로 정할 수 있도록 해 올해 실시되는 2010학년도 입시부터 대학들은 학부나 계열별이 아닌 학과별로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발표한 대학 자율화 추진 계획이 반영된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이 6일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이를 다음 주에 공포하고 바로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대학이 학생 모집 단위를 복수의 학과 또는 학부별로 정하도록 한 규정을 폐지하고 대학 자율로...
-
경제 기타
4대 강변 자전거 도로 추진 등
⊙ 4대 강변 자전거 도로 추진 2012년까지 자전거의 국내 교통수단 분담률을 5%까지 끌어올리는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또 이르면 올 상반기 중에 '자전거의 날'이 지정되고 '투르 드 프랑스'를 본뜬 '투르 드 코리아'코스를 조성해 국내외 자전거대회를 유치하는 등 관광자원화하는 방안도 강구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8일 "정부가 녹색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내놓은 자전거 활성화 사업을 범정부 차원에서 '녹색성공프로젝트'로 육성할 방침"이라며 "이...
-
경제 기타
“글로벌 경기 언제 살아나나?” … 유가 '날개없는 추락'
이스라엘의 가자 공격·OPEC 감산 등에도 내림세 지속 유가가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이 지상전으로 확대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가스 공급 중단 사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이라는 악재 속에도 국제유가는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대개 이런 악재들이 겹치면 유가는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왔으나 반짝 상승 뒤 다시 내림세로 반전한 양상이다. 이런 내림세는 무엇보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의 영...
-
커버스토리
“인간은 끊임없이 진화한다”…창조론 뒤엎은 다윈의 진화론
1835년 9월 영국 항해조사선 비글호에 탑승하고 있던 다윈은 약 한 달간 남미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군도에 머물면서 탐험했다. 이때 다윈은 '갈라파고스 핀치(finch)'라는 새가 여러 서식지와 먹이에 따라 부리 모양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땅 속 깊숙이 박혀 있는 씨앗을 먹는 핀치의 부리는 길고 뾰족한 반면,단단한 땅에 큰 씨앗이 많은 곳의 핀치는 뭉뚝한 부리를 갖고 있었다. 다윈이 바로 여기에서 '하나의 종이었던 핀치가 자연환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