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금융 상식 퀴즈

    9월 22일자

    1. 명인,거장을 뜻하는 이탈리아어로 클래식 음악계에서 대음악가,명지휘자를 가리키는 말은? ① 미다스 ② 마에스트로 ③ 아티스트 ④ 커맨더 2. 미국에서 정치적 성향이 뚜렷하지 않은 주(州)로 흔히 '부동층 주'라고도 부르는 말은? ① 아이스 스테이트 ② 플롯 스테이트 ③ 스윙 스테이트 ④ 논폴리틱 스테이트 3. 자녀들의 방과 후 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등 자녀 교육에 열성적인 엄마를 뜻하는 말은? ① 하키맘 ② 워킹맘 ③...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6)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나온다

    유통업체에 근무하는 '김파라' 과장은 요즘 진열대에 가득 쌓인 바나나를 얼마나 할인해서 팔아야 할지 고민이다. 수일 전 수입 업체로부터 대량으로 구입했으나 예상과 달리 잘 팔리지 않아 대폭 할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구나 바나나는 보관하기가 힘들어 며칠 더 지나면 아예 검게 변해 버린다. 바나나를 구입하는 데 들어간 비용은 한 다발에 1000원이다. '500원에 팔아볼까? 혹시 하나도 안 팔리면 그냥 버려야 하니 100원에라도 처분...

  •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도전해 보세요

    생글생글 독자님 안녕하세요. 생글생글을 만드는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는 국내 처음으로 '경제 이해력 검증시험(TESAT:Test of Economic Sense And Thinking·테샛)을 개발했습니다. 국내 저명 경제학 교수와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이 공동으로 만드는 이 시험은 오는 11월 2일 처음 시행됩니다. 시험을 개발한 것은 국민들의 경제 이해도를 높여 4만달러 시대에 걸맞은 시민을 양성하고 기업들이 경제적 마인드가 있는 사...

  • 경제 기타

    한국 기업하기 좋은 나라 23위 등

    ⊙ 한국 기업하기 좋은 나라 23위 올해 한국의 기업하기 환경은 세계 23위로 지난해보다 7계단 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세,신용정보 공유 부문이 크게 좋아진 반면 고용과 창업 부문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크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세계은행은 181개국을 대상으로 조세,고용,지식재산권 등록 등 10개 분야별로 올해(2007년 4월~2008년 6월 기준) 기업활동에 친화적인 정도를 평가한 결과 한국이 23위를 기록했다고 9일 발표했다....

  • 경제 기타

    인문계 대학입시에 미적분·통계 문제 나온다

    2012학년도부터 수리영역 출제 확대 현재 중학교 3학년생이 치르게 될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인문계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수리영역 나형에 '미적분과 통계' 과목이 추가되는 등 수리영역 출제 범위가 지금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으로 인해 고교생들의 수학 실력이 과거에 비해 떨어졌다는 지적과 학생들이 어려운 수리 가형(자연계) 응시를 기피하고 상대적으로 쉬운 수리 나형(인문계)에만 몰리는 현상을 해소하...

  • 경제 기타

    요즘 '환율'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데…그럼 럭비공?

    하루 20~30원이상 급등락…금융시장 '주름살' 9월 들어 원·달러 환율이 심하게 요동치고 있다. 지난 8월 말 1089원 선에 머물던 환율이 이달 3일에는 1160원 근처까지 치솟았다가 지난 8일에는 다시 1080원대 초반으로 고꾸라지는 등 마치 '롤러코스터'를 연상케 할 정도로 현란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평소 종가가 10원만 오르내려도 급변동으로 받아들여지는 외환시장에서 하루에 20~30원 이상 환율이 오르내리자 외환딜러들(외환거래...

  • 커버스토리

    경제 이해력은 자본주의를 이끄는 힘

    우리나라 경제 '리터러시' 선진국보다 낮아 리터러시(Literacy)는 문자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리터러시가 쓰이고 있다. 인터넷 능력을 가늠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과학기술 지식을 묻는 사이언스 리터러시, 문화 예술에 대한 지식을 묻는 컬처 리터러시 등등. 그러나 무엇보다 경제적 지식과 지혜가 있는지 판단하는 경제 리터러시는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큰 힘이 되고 있다. ⊙ 경제 리터러시 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