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정부 '생필품 가격관리' 어떻게 봐야하나요?
찬 "인플레기대 심리 진정시키는 효과 거둘 것" 반 "가격통제로는 수요·공급 불균형 해서 힘들어" 정부가 학원비를 비롯 소주,고등어 등 52개 생활필수품 가격을 특별관리 대상으로 지정한 것을 놓고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부 쪽에서는 물가급등으로 인한 서민들의 생활고를 덜어주기 위해서는 주요 품목의 가격관리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이들 품목에 대해 수입 또는 생산에서부터 소비자 공급까지의 각 단계를 분석해 대응함으로써 심리...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농업 '꿩먹고 알먹는' 길
김영세 연세대 교수·경제학 ▶ 2008년 3월19일 A39면 경제논리라 하면 흔히 돈이나 황금만능주의를 떠올린다. 경제적 이익 추구를 위해 인간애를 포함한 다른 어떠한 가치도 희생할 수 있다는 식의 도그마와 동일시된다. 가령 교육단체가 여론몰이에 가장 성공하는 방법인, 즉 '교육을 경제논리로 풀려는 무지의 소치' 운운 몇 마디이다. 교육 대신 환경,노동,여성,복지 어느 것을 끼워 넣어도 여전히 통한다. 하지만 오해다. 경제논리의 핵...
-
경제 기타
펜팔로 외국친구 사귀고 영어 실력도 키워보자
화상채팅 음성채팅 스네일 메일도 매력 메신저를 통해서 외국인 친구와 외국어로 대화하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불과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인터넷을 통해 외국인 친구를 만드는 일은 상상하기도 힘들었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이 이메일과 메신저를 통해 외국인 친구를 사귀고 있다. 물론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사용해야 서로 대화가 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외국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쉽게 펜팔을 시도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사람이 처음 펜팔...
-
경제 기타
과자봉지, 부피 줄여라!
오리온 과자 내용물 4분의 1 불과 … "해도 너무해" 최근 원자재 값 급등으로 라면 과자 등 식품 가격이 100원 또는 200원,즉 10% 이상 인상되었다. 라면은 일제히 100원 인상을 발표했으며 ㈜농심의 새우깡이 700원에서 800원으로 오르는 등 물가는 끊임없이 치솟고 있다. 제조업자들은 밀가루 가격 인상의 부담을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얼마 전 ㈜오리온의 S과자를 구매한 양영중 박모양(15)은 ...
-
경제 기타
지하철, 점점 편리해져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사랑받고 있는 지하철의 모습이 변화되고 있다. 서울시 지하철 2호선에 ㈜ROTEM이 2007년 제작한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전철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많은 변화를 알 수 있다. 앉는 좌석을 살펴보면 아침이나 저녁에 이용하는 시민들이 편안히 이동할 수 있도록 히터가 작동되고 있다. 그리고 좌석 양 끝에만 있었던 받침대를 가운데에도 설치하여 전철이 흔들리거나 비상사태 시 시민들이 다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실내 공...
-
학습 길잡이 기타
(47) 철야 학원이 성업하지 않는 진짜 이유
⊙ 학원시간 규제의 의미 얼마 전 서울시 의회는 학원수강 시간을 제한하는 규정을 폐지하려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시민단체는 학생들이 새벽까지 학원가를 배회하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고 대통령도 같은 취지에서 우려를 표명했다. 결국 서울시 의회는 일주일여 만에 학원 영업 시간 자율화안을 백지화했다. 사실 학원들은 영업 시간 제한 규정을 거의 지키지 않고 있다고 한다. 학원수업을 받으려는 학생이나 학부모들은 영업 시간 제한 규제를 의식하지...
-
학습 길잡이 기타
38. 중부방언의 위력
'~했 구 요'는 사투리, '~했고요'라고 해야 비탈 밭에서 일하던 며느리가 산 위에서 돌덩이가 굴러 떨어지는 것을 보고 다급하게 소리쳤다. "아번니임~,독뎅이(돌멩이의 전라/충청 사투리) 굴러 와유~." 그런데 며느리의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시아버지는 돌에 치여 죽었다고 한다. 예나 지금이나 충청도 말은 느리다는 인식에서 나온 과장된 우스갯소리다. 표준어는 지리적으로 서울을 기준으로 삼는 말이지만,서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중부...
-
학습 길잡이 기타
밥맛에서 엉터리까지 ④
'이런 어처구니를 봤나'가 틀린 까닭은… "그렇게 터무니없는 생각을 누가 믿어." "너무 어이없는 생각이야." "그런 어처구니없는 생각을?" "턱없는 생각이지." "얼마나 엉터리없는 생각이기에 그래?" '터무니없다,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턱없다,엉터리없다.' 각각의 단어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말이다. 형태가 모두 다르지만 공통점도 있다. 의미적으로도 얼핏 섞바꿔 쓸 수 있어 보이지만 서로 말맛은 다르다. 조금씩 의미 차이가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