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사진으로 보는 세상
고흐·르누아르…뉴욕 메트 소장품 81점 국내 첫 공개
지난 13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열린 ‘인상주의에서 초기 모더니즘까지, 빛을 수집한 사람들’-메트로폴리탄박물관 로버트 리먼 컬렉션 언론 공개회에서 참석자들이 전시 작품들을 감상하고 있다. 2026년 3월 15일 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오귀스를 르누아르 ‘파아노를 치는 두 소녀’, 빈센트 반 고흐 ‘꽃 피는 과수원’ 등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품 총 81점을 국내 최초로 공개한다. 뉴스1
-
경제 기타
금융이 민간저축을 자본재 투자로 연결시키죠
금융은 저축을 하는 경제주체와 차입을 하는 경제주체 사이에 자금을 연결해주는 과정이다. 현대의 경제체제에서 상품의 생산과 소비가 시장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것처럼 저축과 차입의 금융 행위도 시장 중심으로 작동한다. 금융시장을 통해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쉽게 연결되어 여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금융시장은 현대 금융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 요소다. 이번 주에는 금융시장의 기능과 유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 대부자금시장과의 구별금융경제학이 아닌 일반 경제이론을 다루는 경제학 책에서는 금융시장이라는 용어보다 대부자금(loanable fund)시장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대부자금시장은 금융거래를 소비하고 남은 부분인 저축과 자본재를 구매하기 위해 차입을 하는 투자만으로 한정시킨 시장이다. 실제 금융거래에서는 자본재에 투자하기 위해 자금을 차입하는 경우만 있는 것이 아니다. 금리가 낮은 곳에서 자금을 빌려 더 높은 이자를 받고 차입한 자금을 빌려주는 거래도 많이 나타나므로 저축량보다 더 많은 자금공급과 투자 수준보다 더 많은 자금 수요가 발생한다.대부자금시장은 경제학 책에서 균형이자율이 결정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가정한 가상적인 시장일 뿐, 현실에 존재하는 시장은 아니다. 금융시장의 이자율은 개별 금융시장마다 다르게 결정되지만, 금융시장에서 기준이 되는 이자율은 한 나라 전체의 저축량과 궁극적으로 필요한 자금인 자본재에 대한 투자 수준에서 결정된다. 이에 가상적인 대부자금시장을 도입해 이러한 이자율 결정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자율 결정 과정이 아닌 현실의 금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종묘 인근 세운상가 재개발, 허용해야 하나
최근 서울 종묘 인근 세운상가 일대 재개발을 놓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최고 142m 높이의 초고층 빌딩 건설을 포함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서울시 관보에 고시했다. 지난 6일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서울시의회를 상대로 낸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 조례’ 일부개정안 의결 무효 확인 소송에서 대법원이 원고(문체부 장관 측) 패소 판결을 했다.서울시는 “세운4구역 재정비 사업은 낙후된 지역에 녹지축을 조성하고 도시 구조를 개편하는 사업”이라며 “지난 20여 년간 정체돼온 재정비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 등은 “세계유산인 종묘의 경관을 훼손할 수 있다며 모든 수단을 강구해 우리 문화유산을 지킬 것”이라고 맞섰다. 세운상가 개발을 둘러싼 찬반 입장을 자세히 들어보자. [찬성] 도심 재활성화와 녹지축 조성…"종묘 경관 해친다" 지적은 과도 서울 도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낙후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세운상가 일대 재개발은 반드시 허용해야 한다. 현재 세운상가 지역은 서울의 중심부임에도 1960년대 노후 건축물들이 밀집돼 도시 미관을 해치고 안전문제까지 유발하고 있다. 이번 재개발은 단순히 건물을 새로 짓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가치를 존중하면서도 미래 혁신적인 공간으로 도심을 탈바꿈시키는 의미가 있다.세운상가 일대 재개발은 문화유산 보존과 도시 재창조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업이다. 서울시의 계획은 고층 개발을 통해 사업성을 확보하는 대신 확보된 자금과 면적을 활용해 종
-
대입전략
의대 298~292점·치대 295~292점 목표해 볼 만…SKY 인문 293~283점, 자연 294~288점 지원 가능
“실력은 계단식으로 오른다”는 말이 있다. 기초체력, 기본 실력 등이 근저에 꾸준히 쌓이다가 어느 순간 폭발하듯 성적이 상승하는 모습을 말한다. 고2 겨울방학은 3년의 대입 레이스에서 가장 중요한 터닝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2~3개월의 집중, 몰입 학습을 통해 약점 과목을 극복하고, 계단식 실력 향상을 경험하기에 좋다. 효과적인 학습은 현재 본인의 실력 진단에서 시작한다. 현재 수준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목표를 바로 세워야 한다. 고2 10월 학력평가는 현재 수준을 점검하기에 좋은 기회다. 이를 통해 겨울방학 학습 계획을 세워보기를 권한다. 고2 10월 학력평가 기준 주요 대학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먼저 인문계를 살펴보면, 국어·수학·탐구(2과목 평균) 백분위 합(300점 만점) 기준 SKY는 최고 293점에서 최저 283점으로 분석됐다. 서울대 인문계는 평균 291.1점(293~290), 연세대와 고려대는 동일한 분포로 평균 287.8점(290~283)으로 전망된다. 고2 학력평가에서 이 정도 수준 성적이라면 SKY를 노려볼 만한 실력이라고 볼 수 있다.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경희대·이화여대·한국외대 등 주요 10개 대학 그룹 인문은 최고 288점~최저 276점 사이에서 합격을 기대해볼 수 있다. 성균관대는 평균 282.3점(288~281), 서강대는 282.0점(284~281), 한양대는 280.8점(284~279), 중앙대는 279.5점(281~279), 경희대는 278.3점(280~276), 이화여대는 279.2점(281~279), 한국외대는 278.4점(281~276) 수준에서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다.서울시립대·건국대·동국대·홍익대·숙명여대 등 주요 15개 대학 그룹은 최고 279점~최저 265점 사이에서 목표해볼 만한 곳이다. 국민대&mi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1월 17일 (916)
1. 다음 중 ‘물가’와 관련 없는 지표를 하나 고르면?① PCE ② CPI ③ PPI ④ KPI2. 국가가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임금의 하한선을 정하고, 고용주들이 이를 지키도록 강제하는 제도를 무엇이라 할까?① 임금피크제 ② 타임오프제③ 유연근무제 ④ 최저임금제3. 보험사의 보험료 수입에 비해 보험금 지출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가리키는 지표다. 수치가 높아지면 보험료 인상 요인이 되는 이것은?① 부채비율 ② 지급준비율③ 손해율 ④ 감가상각률4. 일명 ‘보험사를 위한 보험’이라고 한다. 보험사가 어마어마한 규모의 보험금을 지급해야 할 상황을 대비해 드는 이 보험은?① 실손보험 ② 변액보험③ 재보험 ④ 종신보험5. 상장사가 ‘이것’을 취득해 소각하는 것은 대표적인 주주 환원 정책으로 통한다. 이것은 무엇일까?① 테마주 ② 자사주③ 공모주 ④ 동전주6.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M1’과 ‘M2’는 무엇과 가장 밀접한 지표일까?① 경상수지 ② 통화량③ 민간소비 ④ 재정지출7. ‘이 수치’가 높으면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많이 돌려준다는 뜻이다. 이 수치는 무엇일까?① 배당성향 ② 액면가③ 주가수익비율 ④ 버핏지수8. 기업이 보유한 자산 가운데 현금, 수표, 통화대용증권, 보통예금, 만기 3개월 이내 단기금융상품 등은 ‘이것’에 속한다. 환금성이 높은 것이 특징인 이것은?① 현금성자산 ② 고정자산③ 재고자산 ④ 투자자산▶정답 : 1 ④ 2 ④ 3 ③ 4 ③ 5 ② 6 ② 7 ① 8 ①
-
생글기자
The Traditional Dance That Healed Me, Cheoyongmu
Since childhood I was frail, later diagnosed with orthostatic hypotension that left me dizzy and exhausted. Unlike my friends, I could not run freely and lived with constant hesitation. Everything changed when I discovered traditional dance. Watching performers in colorful hanbok, moving slowly yet powerfully with calm expressions, I felt inspired to heal through movement.Cheoyongmu, recognized by UNESCO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egan as a royal ritual to repel evil and invite blessings. Five dancers in bright masks and costumes embody the harmony of body and spirit, blending artistry with Buddhist and Confucian thought. Practicing traditional and modern dance was difficult at first, yet it gradually strengthened my body, eased dizziness, and gave me confidence. Dance became both exercise and meditation, curing weakness and soothing anxiety. Today, through digital platforms and even K-pop stages, traditional dance can reach the world. Once performed to drive away plague, Cheoyongmu now comforts weary minds, showing that heritage is not only culture but also healing.지서영 생글기자(청심국제고 2학년)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긍정적 외부효과
[문제] 아래 지문을 읽고, (A)와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면?집주인은 자기만족과 즐거움을 위해 꽃을 심고 가꾸지만, 그 집 앞을 지나는 주민에게 즐거움을 준다. 이처럼 의도하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이득을 주고 기쁨을 주는 현상을 ( A )라고 한다.① (A)의 존재는 정부실패의 원인이 된다.② (A)는 자원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수준보다 적게 생산(소비)된다.③ 독감이나 전염병 예방접종은 (A)의 사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④ (A)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장려금이나 보조금을 지급할 필요가 있다.⑤ 사회 전체의 효용 증대를 위해서는 (A)를 적극적으로 권장할 필요가 있다.[해설] (A)에 들어갈 용어는 긍정적 외부효과다. 긍정적 외부효과란 한 사람의 행위가 제3자의 편익을 증가시켜 주는 현상이다. 이 경우 개인은 사적 한계편익만 고려해 소비(생산)하여, 사회적 한계편익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시장에서는 자원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수준보다 적게 소비(생산)되는 시장실패가 발생한다. 예방접종이 대표적 사례이며, 이를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보조금이나 장려금 지원 정책을 시행한다. 독감 예방 접종비 지원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답 ①[문제] 소득분배 지표와 관련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① 지니계수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② 지니계수가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불평등하다.③ 소득 5분위 배율은 1에서 무한대(∞) 사이의 값을 가진다.④ 십분위분배율은 값이 클수록 소득분배가 평등함을 뜻한다.⑤ 소득분배가 평등할수록 로렌츠곡선은 45도 대각선에서 가까워진다.[해설] 지니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가 평등함을 의미한다. 소득분
-
테샛 공부합시다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급격한 변동성 조심해야
지난달 27일 한국의 코스피지수가 사상 처음 4000을 넘으면서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졌습니다.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식은 투자자 사이에서 거래되는데, 이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을 주식시장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주식은 언제 등장했을까요?동인도회사와 주식의 탄생17세기 국토가 해수면보다 낮아 척박한 환경이던 네덜란드는 주식시장의 발달을 계기로 강대국으로 성장했습니다. 당시 후추 같은 향신료는 유럽에서 귀했기에 아시아에서 가져와 파는 것이 큰 부를 가져다주었습니다. 그래서 상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먼 바닷길로 나섰습니다. 하지만 도중에 태풍을 만나거나 해적을 만나 교역품을 전부 잃어버릴 수도 있는 위험도가 매우 높은 사업이었습니다. 위험 분산을 위한 방법이 필요했습니다.이때 네덜란드 사람들은 기발한 방법을 고안했는데, 바로 1602년 ‘동인도회사’라는 주식회사를 설립했습니다. 이 회사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투자할 수 있고, 네덜란드 정부로부터 아시아 무역 독점권 등 각종 특권을 부여받은 회사였기에 많은 사람이 투자금을 냈습니다. 동인도회사는 투자자가 투자한 만큼 해당하는 지분 증서(주식)를 발급했고, 지분만큼 수익을 배분했습니다. 하지만 동인도회사는 출항한 배가 다시 돌아와 수익을 실현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기에 바로 수익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당장 돈이 필요한 투자자들은 자신이 가진 이 증서를 팔고 현금화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이를 위한 거래소가 암스테르담에 생겼는데, 이것이 최초의 증권거래소(사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인도회사는 투자금을 유지하면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