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서울시 교육청 남자교사 할당제 추진

    →한경닷컴( www.hankyung.com ) '와글와글' 최근 서울시 교육청은 신규교원을 임용할 때 남성 교원 선발 비율을 정원의 30% 이내에서 교육감이 자율적으로 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남성 교사 할당제를 추진하게 된 배경은 남녀 교원 비율의 불균형 때문이다. 서울시 교육청에 따르면 서울 570여개 초등학교의 교사 2만7219명 중 여교사가 2만2414명을 차지한다. 초등교사 10명 중 8명(82.3%)이 여교사인 셈이다...

  • 경제 기타

    증시의 독버섯, 불공정거래

    주식시장에도 '작전'과 '선수'라는 말이 있다. 군사용어인 작전이 증권가에서는 불공정 거래를 속칭하는 말로 쓰인다. 선수 역시 주가를 조작하는 일당을 일컫는다. 지난 17일자 한국경제신문 1면에는 L사의 주가 조작(시세 조종)에 관한 기사가 올라왔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과 금융감독원이 코스닥 상장사인 자동차 부품업체 L사를 대상으로 728개 증권 계좌(동원 자금 1500억원)를 동원한 시세 조종 행위가 이뤄지고 있다는 단서를 포착했다는 내...

  • 교양 기타

    (38)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러시아 혁명 풍자…20세기 최고 정치 우화소설 조지 오웰(본명 에릭 아서 블레어, 1903~1950)의 『동물농장』은 러시아 혁명을 풍자한 소설이다. 실제 사건 및 인물들을 우화의 형식을 통해 신랄하게 풍자한 20세기 최고의 정치 우화소설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우화소설의 무대는 농장이고, 여기에 나오는 일단의 농장 동물들은 러시아 혁명가들이나 정치 사상가들을 상징하고 있다. 이 책 전반에 걸쳐 오웰의 문장 스타일은 단순, 명료,...

  • 커버스토리

    中國 '죽의 장막' 걷어내고 세계경제 '슈퍼엔진'으로

    지난 400여년 동안 세계는 두 차례 거대한 권력이동을 경험했다. 17세기 유럽의 등장이 그 첫째요, 20세기 초 미국이 둘째였다. 미국은 두 차례 세계 대전을 거치며 힘을 축적하더니 결국 지구촌의 최강자로 군림했다. 옛 소련의 붕괴로 '팍스 아메리카나(Pax-Americana)'에 도전할 세력은 없어 보였다. 그러나 21세기에 접어든 지금 세계는 또 다른 강자의 등장을 목격하고 있다. 중국이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올해 초 "미...

  • 경제 기타

    최첨단 정보기술 '한자리에'…'코리아 IT쇼'

    한국경제신문사는 정보통신부 한국무역협회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등과 공동으로 국내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인 '코리아 IT쇼'(KIS:Korea IT Show)를 오는 19일부터 22일까지 나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는 IT강국인 한국을 대표하는 전시회를 만들자는 목표로,'KIECO' '엑스포콤' 'ETC코리아' 'DMB엑스포' 'IT코리아' 등 기존 IT 관련 5개 전시회를 통합한 초대형 전시회다. 삼성전자 LG전...

  • 경제 기타

    한은 "경기 바닥 벗어났다" 外

    ◆ 한은 "경기 바닥 벗어났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작년 4분기와 올 1분기 성장률이 가장 낮은 구간에 해당된다"며 경기 저점 통과를 사실상 선언했다. 그러나 경기 회복 속도에 대해서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밝혀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도,경기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한 금리 인상도 당분간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경기 저점이란 그 순간에는 알 수 없고 한참 지나 결과적으로 확인하게 마련입니다. 한은 총재 정도 되면 '감'이란 것이...

  • 경제 기타

    한미 FTA 서비스부문 득실은…

    교육ㆍ의료등 서비스 제외… '반쪽FTA' 목소리도 지난 2일 타결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가장 큰 시장 개방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그러나 그 속내를 들여다보면 이번 FTA는 '반쪽짜리 FTA'였다고 아쉬워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 이유는 FTA가 자동차,쇠고기,농산물 등 양국 간 커다란 쟁점이었던 상품 분야에 집중되는 사이 서비스 부문에 대한 개방은 상당 부분 제외됐기 때문이다. 사실 교육,의료 등 서비스...

  • 커버스토리

    중국, 문화혁명에서 산업혁명까지…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이 최근 중국 베이징 방문길에 중국과학원에서 강연회를 가졌다. 그는 처음 베이징을 방문했던 1971년 9월을 뚜렷이 기억한다고 했다. 이어 "중국이 이렇게 발전하리라고는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당연한 얘기다. 당시 중국은 여전히 문화대혁명의 회오리에 휩싸여 있었다. 세계 경제시스템과는 거리가 멀었고,주민들은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런 중국이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도약하리라고 누가 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