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神의 창조질서 파괴냐...소수인권 보호냐...
대법원이 지난 22일 생물학적으로 타고난 성(Sex)을 거부하고 남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한 여성의 호적 정정 신청을 허가한 것은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성인 젠더(Gender)를 법적으로 인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성전환자의 호적상 성별 변경 신청은 그동안 대법원 판례가 없어 1, 2심에서 재판장에 따라 수용 여부가 제 각각이었지만 이번 판결로 통일된 법적 기준이 마련된 셈이다. ○성전환증이란 성전환증(Transsexualism)이 의학계...
-
커버스토리
10년 전에 영화 '왕의 남자'가 나왔다면...
1996년 6월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한 남성을 성폭행한 피고인들이 대법원에서 최종 판결을 받은 사건이 있었다. 당시 사람들은 사법부가 피해자인 성전환자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지,즉 성전환자의 바뀐 성을 인정해줄 것인지에 관심을 집중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피고인에 대해 강간죄가 아닌 강제추행죄를 적용해 유죄판결을 내렸다. 현행법상 강간죄는 여성만을 피해자로 인정하고 강제추행죄는 남녀 모두를 피해자로 인정하는 점에 비춰보면 대법원은 성...
-
경제 기타
채권시장은 어떻게 움직이나?
채권은 비교적 많은 자금을 한꺼번에 조달하기 위해 정부 기업 등이 발행하는 유가증권을 말한다. 누가 발행하느냐에 따라 채권은 국고채 통안채 지방채 특수채 회사채 등으로 나뉜다. 국고채는 정부가 주로 세금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발행하고,통안채(통화안정채권)는 한국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해 시중에 내놓는다. 특수채는 한국전력 등 공기업이,회사채는 일반 회사가 투자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국고채 통안채 지방채 등 정부 한국...
-
경제 기타
(1) 신헌철 SK(주) 사장
우리나라 경영자 가운데 AQ(Adversity Quotient·역경지수)가 가장 높은 경영자는 누구일까? AQ는 미국의 커뮤니케이션 이론가인 폴 스톨츠 박사가 1997년 처음 개발한 지표로 자신에게 역경이 닥칠 경우 이를 극복하는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준다. 이 지표대로라면 현직 경영자 중에는 국내 최대의 정유사를 이끌고 있는 신헌철 SK㈜ 사장(61)이 첫 손가락에 꼽힌다. 갑작스런 아버지의 죽음,홀어머니 밑에서 좀처럼 벗어날 수 ...
-
과학 기타
옥수수만 있으면 '비싼 석유' 걱정 끝?
최근 세계적으로 바이오 연료가 폭발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석유 값이 날로 치솟으면서 에탄올처럼 식물에서 뽑아내는 천연 바이오 연료가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일찌감치 바이오 에탄올의 실용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고 유럽과 아시아 각국도 속속 바이오 연료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바이오 연료의 대표 주자인 바이오 에탄올은 무엇이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하려면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한번 알아보자. 영국의 파이낸...
-
경제 기타
美자선재단 6만여개 … 자산 480조원
기부 문화가 발달한 미국엔 자선 재단들이 즐비하다. 현재 미국엔 6만여 개의 자선 재단이 설립돼 있으며 총 자산은 5000억달러(약 480조원)에 달한다. 현재 미국에서 자산 순위 10위 안에 드는 자선 재단 대부분은 기업인들이 설립했다. 미국에서 많은 부자들이 존경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존경받는 부자의 효시는 '강철왕' 앤드루 카네기로 그는 1911년 '카네기 재단'을 설립해 2500여개 도서관을 사회에 헌납하기도 했다. 현재 ...
-
경제 기타
워런 버핏 재산 35조원 자선단체에 기부 '감동'
세계 두 번째 부자이자 투자회사 벅셔 해서웨이의 회장인 워런 버핏이 최근 자신의 재산 85%에 해당하는 370억달러(약 35조원)를 자선 단체에 기부키로 했다. 기부 금액으로는 역사상 최대 규모다. 그는 특히 기부금의 대부분을 자신의 친구이자 세계 최고 부자인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이 운영하는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내놓을 예정이어서 더욱 화제가 되고 있다. 세계 1,2위 부자들 간의 자선 행위와 우정이 전 ...
-
경제 기타
'공영형 혁신학교' 시범운영 시끌벅적한데…
☞한국경제신문 6월20일자 A11면 정부가 주도하는 엘리트 학교인 공영형 혁신학교(가칭)가 내년부터 시범 운영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학교 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민간단체 등이 운영을 맡는 공영형 혁신학교를 만들어 운영한다고 19일 발표했다. 공영형 혁신학교는 교육과정,교수·학습 방법 등 고교 운영을 혁신해 수업료는 기존 공립학교 수준이면서도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 만족도는 높일 수 있는 교육을 구현한다는 취지에서 추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