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총각'을 닮아서 '총각무'라고 하죠

    김장은 순우리말 같지만 한자어 ' 침장(沈藏) '에서 온 말이다.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지금의 김장으로 변했다. 김장의 핵심인 ' 김치 '도 ' 침채(沈菜) '라는 한자말에서 시작됐다는 것이 규범언어의 관점이다.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霜降·10월23일)이 지나면서 날씨가 부쩍 쌀쌀해졌다. 이제 곧 입동(立冬)이다. 올해는 11월7일이다. 입동은 겨울에 들어선다, 겨울...

  • 학습 길잡이 기타

    승리와 패배, 그리고 무승부… The winner takes it all

    win 은 '이기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 무언가를 얻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답니다. 그래서 win a person's favor(support) 라고 하면 '남의 호의(지지)를 얻다'라는 뜻이 됩니다. The winner takes it all The loser standing small Beside the victory That's her destiny ...

  • 학습 길잡이 기타

    조금 높은(?) 영어… If I ain't got you

    supermarket 은 말 그대로 엄청나게 큰 매장을 말하는 것이다. 또 '대형 백화점'을 hypermarke t이라고도 하는데, hyper 역시 '~을 초월한'이란 뜻이라 고혈압( high blood pressure ) 역시 hypertension 이라고 한다. Some people live for the fortune 어떤 사람들은 돈을 위해 살고 Some people live just f...

  • 학습 길잡이 기타

    온 세상이 다 그르다 해도 원한도 분노도 없다. -미수기언-

    擧 世 非 之 而 無 怨 慍 거 세 비 지 이 무 원 온 온 세상이 다 그르다 해도 원한도 분노도 없다. - 미수기언 - ▶ 허목(許穆)이 정온(鄭蘊, 1569~1641, 조선 중기 문신)의 행장에서 그의 인품을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덕이 성하던 하나라 때에 우(禹)는 홍수를 막고, 익(益)은 숲과 늪을 태워 짐승들을 몰아냈고, 직(稷)은 곡식을 심었으나 모두 공으로 여기지 않았다. 은나라가 망할 때 기자는 머리를 풀고 미친 척했고,...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기부'와 '채납'은 주체가 다르니 가려 써야죠

    기부와 채납은 주체가 각각 다른 말이므로 가려서 써야 한다. 넘기는 쪽은 ' 기부 '하는 것이고, 국가나 지자체 등 받는 쪽이 주어가 될 때 비로소 ' 기부채납 '하는 것이다.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았다. 수능이 끝나면 곧바로 대학 입시의 마무리 단계로 들어간다. 이때 제일 많이 쓰면서도 자주 틀리는 말이 ‘접수(接受)’다. 가령 이 말을 “학생...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60돌 맞은 '큰사전'의 역사를 돌아보면 …

    올해 한글날은 최초의 우리말 대사전 격인 ‘ 조선말 큰사전 ’ 완간 60돌이기도 했다. 1947년 제1권을 펴낸 뒤 순차적으로 1957년 10월9일 마지막 제6권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 9일은 571돌을 맞은 한글날이었다. 세종대왕이 1443년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6년 음력 9월 상한에 이를 반포했는데, 그것을 기념하는 날이 지금의 한글날이다. 10월은 우리말 역사에서 기억해야 할 일이 많은 달이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침묵하는 자는 휴식한다. - 계곡집 -

    어 자 쟁 묵 자 식 語 者 爭, 默 者 息. 말하다 사람 다투다 침묵하다 사람 쉬다 말하는 자는 다투게 되고, 침묵하는 자는 휴식한다. - 계곡집 - ▶ 조선의 문인 장유(張維, 1587~1638)는 ‘침묵의 집’을 뜻하는 ‘묵소(默所)’를 짓고 ‘침묵’에 대한 글을 남긴다. 온갖 묘함이 나오는 문으로 침묵만 한 것이 없다. 영악한 자는 말하고 꾸밈없는 자는 침묵하며,...

  • 학습 길잡이 기타

    부드럽고 달콤한 영어… Love me tender

    tender 의 가장 기본적인 뜻은 ‘부드럽다’입니다. 그래서 tender meat 은 ‘연한 고기’란 뜻이지요. 그런데 이 단어가 ‘허릿살, 엉덩이살’을 뜻하는 loin과 결합하면 ‘안심( tenderloin )’이란 뜻이 된답니다. Love me tender, love me sweet, 부드럽고 달콤하게 사랑해 주세요. never l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