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억지로 끌어당긴다는 것은 애만 쓰는 것이요, 보낸다는 것은 순응하는 것이다. - 연암집 -
연암 박지원이 쓴 ‘관재기(觀齋記)’에 있는 글이다. 치준대사는 어린 동자(童子)를 깨우치기 위해 말한다. “너는 순순히 받아서 보내라. 내가 60년 동안 세상을 살펴보니, 사물은 머무는 법이 없이 모두 도도하게 흘러간다. 해와 달도 흘러가 잠시도 쉬지 않으니, 내일의 해는 오늘의 해가 아니다. 그러므로 맞이한다는 것은 거스르는 것이요, 억지로 끌어당긴다는 것은 애만 쓰는 것이요, 보낸다는 것은 순응하는 것이다...
-
학습 길잡이 기타
약탈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약탈하다’는 plunder 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하지만 spoil 이 명사로 ‘약탈’의 뜻이 있기 때문에, 동사로 ‘약탈하다’의 뜻도 있답니다. pillage 란 단어 역시 ‘약탈하다’의 뜻으로 사용된답니다. The self-righteousness of British museums stops them from returning masterpie...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안절부절하다'는 틀린 말이죠
사람들이 ‘ 안절부절못하다 ’를 쓸 자리에 ‘ 안절부절하다 ’를 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직 사전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주책없다/주책이다’ ‘우연하다/우연찮다’의 관계처럼 언젠가는 ‘안절부절못하다/안절부절하다’도 함께 허용될지 모른다. 지난 호에서 ‘주책’의 의미변화에 관해 살펴봤다. 간단히 요약...
-
학습 길잡이 기타
기쁘면 웃고 걱정되면 찡그린다. -이정섭, '오시(吾詩)'-
이정섭의 ‘나의 시(吾詩)’라는 작품 중 네 번째 시다. 배고프면 밥을 먹고 목마르면 물을 마시며 (飢食而渴飮) 기쁘면 웃고 걱정되면 찡그린다 (歡笑而憂) 나의 시는 이런 것을 보나니 (吾詩觀於此) 처지 따라 생각이 절로 참되다 (隨境意自眞) 이정섭(李廷燮)은 자신의 시가 진실하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참 어려울 것 같은 그 일이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게 반응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시인은 아이와 같다. 아...
-
학습 길잡이 기타
(42) '결정적사건기법'을 통한 인사·마케팅 관리
"소비자'의미있는 사건'수집, 태도형성에 미치는 요인 살펴봐 제품·서비스·콘텐츠 뒤섞인 융합형 제품 소비분석에 유용" ‘결정적 사건’이라는 용어는 범죄 상황을 연상하게 한다. 범행을 증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증거 상황이라는 뜻일 것이다. 그런데 이 용어는 기업의 경영활동, 구체적으로 인사관리와 마케팅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 것일까. ...
-
학습 길잡이 기타
눈으로 들어야 핵심이 들리죠…Your Body Language Shapes Who You Are
‘버드휘스텔( Birdwhistell )’에 의하면 “인간 커뮤니케이션에서 언어적( verbal ) 요소가 차지하는 것은 30%고, 나머지 70%는 비언어적( nonverbal ) 요소가 차지하고 있다”고 하네요. So when I tell people about this, that our bodies change our minds and our minds can change our beh...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감투'는 왜 쓴다고 할까요?
관용구로 “감투(를) 썼다”고 하면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말한다. 감투의 본래 의미를 알고 나면 서술어로 ‘쓰다’가 온 까닭을 이해할 수 있다. 한자어인 줄 알고 있는 이도 많은데, 우리 고유어다. 지난 호에서 ‘주책’과 어울린 말의 변화 과정을 살펴봤다. “주책은 본래 주착(主着)에서 온 말인데, 세월이 흐르면서 지금은 주착은 버리고 주책...
-
학습 길잡이 기타
(41) 디맨드(demand)와 니즈(needs)
경제학의 기본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다. 구매 의사와 능력을 가진 소비자, 생산 의사와 능력을 가진 공급자들이 상호 작용하는 시장경제 시스템에서는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이 변화한다. 개별 기업으로서는 소비자들이 어떤 종류의 제품에 대해 ‘디맨드(demand)’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욕구, 다시 말해 ‘니즈(needs)’를 이해해야 한다. 소비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