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설사엔 '설사약'을 먹는다?
요즘은 임대 (돈을 받고 자기 물건을 남에게 빌려줌) 와 임차 (돈을 내고 남의 물건을 빌려 씀) 를 구별 못하는 경우도 잦다. 사무실을 월세로 빌려 쓰는 사람이 "사무실을 임대해 쓰고 있다"고 말한다. 최근 북한의 감염병 실태가 알려져 화제가 됐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넘어 귀순한 북한 병사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일부 언론이 이를 보도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5세 미만 아동의 사망 원인 중 설사가 20% 가까이 차지한...
-
학습 길잡이 기타
생글 논술경시대회 수상을 축하합니다 ^^
11월4일 치러진 24회 생글논술경시대회는 전국 10여 개 고교가 단체로 참가했고 500여 명의 고교생이 응시했다. 24회 대회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해야 하는 고교 3학년을 제외한 1, 2학년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이번 논술대회에서는 김나영(영신여고 1) 김예진(경명여고 1) 하정민(진명여고 2) 박주영(진명여고 2) 등 네 명의 학생이 고1공통, 고2인문 각 부문 대상과 최우수상을 각각 차지했다. 고2 자연 부문은 대상, 최우수상에 적합...
-
학습 길잡이 기타
"출제의도 파악해 제시문 분석하는 게 논술의 포인트죠"
1. 출제 의도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말이 ‘빨리빨리!’라고 한다. 빠른 속도를 중시하는 한국인 품성의 기원이 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변화의 속도가 빠른 사회인 것만은 틀림없다. 물론 이런 빠른 속도가 한국의 경제성장에 일조한 바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빠른 속도보다 중요한 게 분명 존재한다. 빠르게 가는 게 능사는 아닌 것이다. 경제성장, 물질적 풍요를 위해 효율성과 생산성...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지진 발생 '이유'는 '원인'으로 써야 맞죠
이유(理由)는 ‘ 어떤 일을 일어나게 하는 까닭이나 근거 ’다. 이에 비해 원인(原因)은 ‘ 어떤 사물이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일으키게 하는 근본적인 일이나 사건 ’을 말한다. 하지만 이런 사전 풀이로는 쓰임새를 구별하기 어렵다. 지난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은 대입수학능력시험까지 연기하게 하는 등 큰 피해를 불러왔다. 전문가들은 지진을 예측하기 위해선 단층 연구가 시급하다고 한다. 지구 ...
-
학습 길잡이 기타
영어 단어는 문장 속에서 읽어야
단어는 ‘문장 속에서 누구랑 쓰이는지( Collocation )’와 ‘문장 속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Context Meaning )’에 대해 생각하며, 반드시 예문과 상황 속에서만 외워야 합니다. ‘Keren Ann’의 감미로운 목소리가 돋보이는 [Not going anywhere]에는 다음과 같은 멋진 가사가 나옵니다. I like to hear but not to l...
-
학습 길잡이 기타
다른 사람의 마음을 내가 헤아린다. - 시경 -
▶ 제선왕(齊宣王)은 제물로 끌려가는 소를 불쌍히 여겨 양(羊)으로 바꾸는데, 맹자가 그 이유를 밝혀주자 기뻐한다. 하지만 그 마음을 미루어 백성을 긍휼해야 함은 알지 못한다. 왕이 기뻐하며 말했다. “시경(詩經) 교언(巧言)에 이르기를 ‘다른 사람의 마음을 내가 헤아린다’고 하였는데, 이는 선생을 두고 한 말인가 봅니다. 내가 그리 해놓고도 이유를 돌이켜 생각해보았으나 대체 어떤 마음에서였는지 알 수 없었는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마음'이 '맘'이면 '적잖은' 은 어디서 왔을까요?
전통적으로 준말의 대표적인 사례는 '사이' 가 '새' 로, '마음' 이 '맘' 으로, '싸움'이 '쌈'으로 되는 것이다. 어떤 말의 머리글자만 따서 축약해 쓰는 경우도 있다. '한국은행→한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같은 게 그렇다. 요즘 ‘워라밸’ 열풍이 거세다. 한마디로...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 써 경계하다 사람 어조사 마땅하다 벙어리 하나는 사람이 벙어리 같아야 한다고 훈계하는 것이다. - 순암집 -
▶ 순암 안정복(安鼎福)이 지은 ‘아기설(啞器說)’에 ‘벙어리’라는 이름을 가진 그릇이 등장한다. 이 그릇이 나온 지 10년이 못 되었는데, 그 뜻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사람이 벙어리와 같음을 나무라는 것이고, 하나는 사람이 벙어리 같아야 한다고 훈계하는 것이다. 나무란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사람이 마땅히 말을 해야 할 때에 말을 하지 않는 것이 벙어리와 다를 바가 없다는 것이다. 훈계한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