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뻔한 스토리… 하지만 놀라운 발상의 전환이 '아바타' 성공 일궜다
기술적 상상력이 빚어낸 판도라 생태계… 3D 영상혁명 신기원 3D 블록버스터 '아바타'의 대성공 비결은 바로 '상상력'이다. 그 상상력은 나비족 캐릭터,판도라 행성과 거기 서식하는 생물 등을 탄생시켰다. 캐머런 감독이 영화 구상을 끝낸 것은 15년 전이지만 3D 입체영상 기술이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을 기다렸을 정도로 영화에 적용된 기술도 획기적이다. 3D 영상혁명이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대단한 기술적 상상력도 주요 성공 요인이다. ...
-
경제 기타
출구(Exit) 딜레마… 아시아는 자산버블,선진국은 더블딥 걱정
“너무 빨라도 너무 늦어도 안된다.”… 출구 전략 언제 어떻게? "너무 늦게 혹은 너무 빨리 출구전략(Exit Strategy)에 돌입해 경기 회복세에 브레이크를 거는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합니다." 작년 9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한 티모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 대표들에게 이 같은 메시지를 전달했다. 1930년대 대공황 당시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미 대통령의 긴축정책과 '잃어버린 10년'을 초래한 1990년대...
-
과학 기타
폭설… 한파… 홍수… 지구촌 기상이변 왜?
기상학자들 지구온난화 논란… 한반도 생태계 위협 올 겨울 들어 눈이 많이 내리고 있다. 지난 4일 서울에 25.8㎝의 눈이 내려 기상 관측 역사 103년 만에 서울시내 최대 적설량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아시아와 남미, 호주, 유럽을 비롯한 지구촌 곳곳에서 폭설과 한파, 홍수 등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영국은 30년 만의 한파로 도시 곳곳이 상당 부분...
-
진학 길잡이 기타
① 올해 수시에서 61% 선발…논술 전형이 대세
명문대 포함한 서울 주요대학 입학사정관 확대로 인한 면접·구술 고사 성적 반영 증가 지난해 11월30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배용 이화여대 총장)는 대학입학 전형위원회의 최종 심의,의결을 거쳐 전국 200개 대학(교육대,산업대 포함)의 '2011학년도 대학입학 전형 시행계획'을 발표하였다. 전년도 대입전형과 유사하나 주요 특징을 요약해보면 △입학사정관 전형 실시 대학 및 선발 인원 확대 △수시모집 선발 인원 증가 지속 △저소득층의 고등...
-
경제 기타
학생인권조례 제정 바람직한가요
찬 “소통과 나눔이 있는 행복한 학교 만드는 첫걸음” 반 “교육 현장에 혼란 부추기고 정치 집회장化 우려” 경기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학생인권조례 제정 문제를 둘러싸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올 3월 새 학기부터 경기도 내 모든 초 · 중 · 고등학교에서 두발과 복장의 개성이 존중되며 야간자율학습과 보충수업 등 교과외 학습에서 학생선택권과 수업시간외 집회가 보장되고 체벌과 집단 괴롭힘이 금지되는 것 등을 담은 '경기도 학생인권조례안' 초안을...
-
TESAT 공부하기 기타
토빈세가 뭐지?…'국제 먹튀' 막는 규제
▶ 문제 지난 9월 말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선 토빈세(Tobin tax)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G20 정상회의 합의문에는 토빈세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이 도입가능성을 검토해 차기 G20회의에 보고하도록 했다. 다음 보기 중 토빈세에 관해 맞는 설명만 모아놓은 것을 고르시오. 가. 토빈세란 단기성 외환거래에 부과하는 일종의 거래세이다. 나. 국제투기...
-
테샛 고교생 경시대회 대상 50만원…테샛 장학금 크게 올려
개인 대상 (300만원) 신설…최우수 지도교사상 100만원 30명이상 단체 할인…학생증도 규정 신분증으로 인정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는 이달 말 시행하는 6회 테샛부터 성적 우수자에 대한 시상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최근 테샛을 활용하는 기업 · 대학들이 늘어나면서 학생들이 스터디 그룹을 만드는 등 테샛 공부 열기가 확산되어 시상 제도를 확대, 경제 학습 열기를 북돋우기로 했다. 우선 고교생 중 성적이 가장 우수한 학생에게 지급되는 고...
-
경제 기타
(43) 국제수지(下) - 자본수지
해외 자금이 지나치게 들어오면 어떤 부작용이 있을까? 2008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미국발 금융위기의 원인은 무엇일까? 월가의 탐욕과 미국 정부의 잘못된 금융규제 때문에 금융위기가 초래되었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따로 있다. 중국의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와 미국의 막대한 경상수지 적자로 인한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이 바로 그것이다. 최근 감소 추세가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중국의 경상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