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유대인과 독일 귀족…두 소년의 슬픈 우정

    나치 독일이 유대인을 600만 명 이상 학살한 사건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비극으로 꼽힌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임레 케르테스의 <운명>을 비롯해 홀로코스트를 다룬 소설이 지금까지 많이 발표되었다. 1930년대 초 독일 서남부 지방이 배경인 <동급생>은 유대인 혐오가 시작된 시점을 그린 후 30년이 지난 시점을 짧게 전하며 엄청난 감동을 안겨주는 소설이다. <동급생>의 작가 프레드 울만은 1901년 독일 중산층...

  • 대학 생글이 통신

    새 문제집 풀기보다 풀었던 것 복습하세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어느덧 2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저의 고3 시절을 떠올려보면 긴장되는 한편으로 차라리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여러분도 비슷한 마음이겠지요. 저의 수험생 시절을 떠올리며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지금쯤이면 대개 시간이 얼마 없다는 초조한 생각이 앞섭니다. 무언가에 쫓기듯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사람도 많을 것입니다. 그런데 공부를 몇 시간 더 하는 것보다 수능 당일에 최상의 컨디션을 발...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합리적 선택 위해선 편익과 비용 비교해야

    자원은 무한정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경제적 선택을 해야 합니다. 선택의 가장 중요한 원칙을 효율성이라고 하며, 이러한 경제원칙에 따른 결정을 합리적 선택이라고 합니다. 합리적 선택은 인간의 이성적 판단과 이해타산 능력을 전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경제학은 이러한 합리적 선택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합리적 선택에는 대가가 따르며, 이를 통해 우리는 효용을 얻습니다. 따라서 합리적 선택을 위해서는 편익과 비...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뉴진스 하니의 국감 출석, 어떻게 봐야 하나

    인기 걸그룹 뉴진스 멤버 하니(본명 하니팜)가 최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일을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앞서 하니는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하이브 사옥 복도에서 대기 중 지나가는 다른 연예인과 매니저에게 인사했는데 해당 매니저가 “무시해”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 영상을 본 뉴진스 팬들이 “하이브 내 뉴진스 따돌림 의혹의 실체적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며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제기...

  • 대입전략

    의대 지원, 고교당 평균 40건…2등급도 몰렸다, 의약학계열은 82건…학교당 최소 13명 넘게 지원

    2025학년도 수시에서 전국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 등 의약학계열 전체 총지원은 14만7700건이었다. 전국의 특목·자사고, 일반고가 1795개교임을 감안하면 한 학교당 평균 의약학계열 지원 건수는 82.3건이다. 수시는 6회 지원이기 때문에 학교당 평균 인원을 추정하기 어렵지만 한 학생이 모두 의약학계열을 6회 지원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러나 6회 지원 모두 의약학계열이라고 가정할 경우 학교당 평균 82....

  • 과학과 놀자

    억만장자 아이작먼, 인류 최초로 민간 우주 유영

    스페이스X(SpaceX)가 민간 우주 시대의 가능성을 또 한번 확장했다. 9월 12일, 전문 우주비행사가 아닌 민간인 두 명이 우주 유영에 성공한 것이다. 그동안 우주 유영을 포함한 다양한 우주 임무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정부기관의 영역으로만 여겨져왔다. 스페이스X(SpaceX)가 민간 우주 시대의 가능성을 또 한번 확장했다. 9월 12일, 전문 우주비행사가 아닌 민간인 2명이 우주 유영에 성공한 것이다. 그동안 우주 유영을 포함한 ...

  • 숫자로 읽는 세상

    한국 '핵심 두뇌 유출<인구 10만명당 기준>' 1위…중국의 11배

    한국이 인구 10만 명당 석·박사급 이상 핵심 인재의 미국 영주권 신청이 가장 많은 나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미국 정부가 석·박사와 C레벨 인재에게 발급하는 EB-1·2 취업비자 규모에서 인도, 중국, 브라질에 이어 4위를 기록했으나 10만 명당 기준으로는 이들 국가보다 10배 이상 많았다. 고급 인재가 한국을 등지는 ‘두뇌 유출(brain drain)’이 만성화하고 있다는 지적...

  • 경제 기타

    노동만으로는 1인당 GDP 늘리는 데 한계

    경제성장의 과정을 동태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경제성장 모형이 있다. 경제성장 모형은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을 단순하게 설명하는 장점이 있어 많은 경제학자가 다양한 모형으로 경제성장 과정을 설명해왔다. 다양한 경제성장 모형 중에서 앞으로 소개할 모형은 외생적 성장 모형이라고 불리는 맬서스(Malthus) 및 솔로(Solow)의 모형과 내생적 성장 모형의 세 가지다. 이 세 가지 모형은 노동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 과정과 자본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