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특목고 대입 확률, 일반고보다 20% 이상 높다

    일반고보다 특수목적고 학생이 대학에 갈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격차도 있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5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따르면 특목고 학생은 일반고보다 대학에 입학할 확률이 20% 이상 높았으며, 특성화고는 일반고보다 21.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능원은 “다른 독립변인을 통제했을 때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대학에 진학할 확률이 평균 4.39% 높았다”고 분석했다. ...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우정 영원하길"…새출발을 응원합니다

    졸업 시즌이 왔습니다. 생글생글은 졸업생 여러분의 새출발을 응원합니다. 사진은 지난 8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삼일공업고등학교에서 열린 제54회 졸업식에서 경찰사무행정과 졸업생들이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 시사 이슈 찬반토론

    가수 임영웅의 "탄핵 목소리 왜 내요"…어떻게 봐야 하나

    유명 가수 임영웅이 자신의 SNS에 반려견의 생일을 축하하며 올린 사진과 글이 정치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같은 날,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고, 국회에서는 첫 탄핵 표결이 진행되는 등 정국이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를 본 한 누리꾼은 그에게 DM(다이렉트 메시지)을 보내 “이 시국에 뭐 하냐”고 비판하자, 임영웅은 “뭐요”라고 답했...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연계 교재 200% 활용하려면…

    새해가 됐습니다. 이제 곧 수능 연계교재인 ‘수능특강’이 발매될 것입니다. 연계교재인 ‘수능특강’과 ‘수능완성’은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필수적으로 공부하고 익혀둬야 하는 교재입니다. 보통 ‘수능특강’은 1월 중, ‘수능완성’은 5월 말~6월 초에 발매됩니다. 수능 연계율이 50% 이상으로 높습니다. 수험생 대부분이 보는 교재이지만, 활용 방...

  • 학습 길잡이 기타

    일상적인 대화, 벡터·행렬로 수치화 가능하죠

    “벡터와 행렬은 컴퓨터에 인간의 언어를 가르치는 언어 교과서다.” 이 말을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과 글이 수학적 구조, 특히 벡터와 행렬로 표현된다는 사실은 다소 놀라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즉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핵심 원리입니다. 단어와 문장은 단순히 나열된 기호가 아니라, ...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언어형·수리형 분리 선발…수리형은 공통범위서 출제

    성균관대의 2026학년도 논술전형 특징은 기존의 논술전형을 언어형·수리형으로 분리 선발하는 것이다. 이는 문·이과 통합교육에 따른 수험생의 선택 폭을 넓히기 위한 것이며, 이런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균관대는 그간 수리논술을 공통 범위에서 출제해온 만큼 인문·사회계열에서 수리형으로 지원하는 학생은 큰 어려움 없이 수리논술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공통 범위에서 출제하더라도 ...

  • 과학과 놀자

    덴마크, 세계 최초로 소·돼지 '방귀세' 도입해요

    2025년 새해가 밝은 지 일주일 남짓, 경제 뉴스는 벌써 심상치 않다. 특히 과일·채소 등 신선식품의 가격이 껑충 뛰었다. 지난여름에 나타나는 기록적 폭염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이러한 분석을 반영하듯 '기후플레이션' '히트플레이션'이라는 경제 신조어가 등장했다. 모두 지구온난화와 관련이 있다. 지구온난화가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니, 무슨 말일까? 기후플레이션은 ‘기후(climate)&rsq...

  • 대학 생글이 통신

    내신 5등급제…새해 고1, 생활기록부 힘써야

    올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은 새로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공부하게 됩니다. 개정된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고교학점제 도입, 내신 5등급제로 개편, 수능 선택과목 변화 등입니다. 이런 변화에 따라 대학 입시 준비도 달라져야 할 것입니다. 먼저 생활기록부입니다. 내신 평가가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바뀌면 상위권에서 내신 등급의 변별력이 약해집니다. 따라서 생활기록부의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변화를 고교학점제와 연결해 생각해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