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시사·교양 기타
한글아, 같이 놀래?
주니어 생글생글 제131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국어와 한글입니다. 우리 말과 글에는 순우리말(고유어) 외에도 한자어와 외래어 등 다양한 어휘가 있고, 의성어·의태어·친족어도 풍부하다는 점을 살펴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서는 화장품을 자체 개발·생산해 세계 시장에서 ‘K뷰티’ 열풍을 이끌고 있는 이경수 코스맥스 회장을 소개했습니다.
-
숫자로 읽는 세상
수시 '레이스'…명지대·이대 면접, 수능최저 안 본다
2025학년도 수시 전형의 대학별 고사가 시작됐다. 일부 대학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전에 면접, 논술 등을 치른다. 전문가들은 수능 준비와 병행해야 하는 만큼 세심한 대비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29일 주요 대학에 따르면 가톨릭대, 단국대(인문계열), 상명대, 서경대, 연세대, 을지대 등은 수능 전 논술전형 시험을 치른다. 성신여대, 서울시립대, 홍익대, 가톨릭대는 9월 말부터 지난 주말까지 논술시험을 치렀다. 단국대와 상명대는 11월 2일 논술...
-
대입전략
의치한약수 지원 14만7000명…경쟁률 28 대 1
2025학년도 전국 194개 대학 수시지원 건수가 241만9777건으로 최근 5년 새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경쟁률도 9.42 대 1로 최근 5년 새 최고다. 수시 탈락자 수가 최근 5년 새 최고치가 될 전망이고, 올해 정시 경쟁 또한 치열해질 수 있다. 수시지원은 올해 의대 정원 확대 등으로 합격선 하락 기대심리가 작용해 상위권, 서울권 소재 대학으로 지원자가 더 몰려 있는 구도다. 수시와 달리 정시는 상위권 대학 수시 불합격생이 늘어...
-
경제 기타
돈으로 행복 살 수 있다…단, 어느 정도까지만
당신은 행복합니까. 이 질문에 선뜻 그렇다고 답할 사람은 얼마나 될까.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가 내놓은 ‘2024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주관적 행복도는 10점 만점에 6.058점으로 조사 대상 143개국 중 52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선 최하위권이다. 경제적 수준과 비교해도 한국인의 행복도는 낮은 편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5990달러로 세계 25...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7일 (863)
1. 다른 기업이 적대적 인수합병(M&A) 공격을 받을 때 이 기업 주식을 사주는 등의 방식으로 경영권 방어를 돕는 업체를 가리키는 말은? ① 좀비 ② 유니콘 ③ 흑기사 ④ 백기사 2. 미국 중앙은행(Fed)이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경제 동향 종합 보고서의 이름은? ① 베이지북 ② 그린벨트 ③ 그린메일 ④ 그린수소 3. 대형 통신사와 플랫폼 기업들이 이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매장 내에서 태블릿, QR코드를 통해 비대면으로 주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蚤絶姦萌 (조절간맹)
▶한자풀이 蚤: 일찍 조 絶: 끊을 절 姦: 간사할 간 萌: 싹 맹 간사한 싹을 미리 잘라버리다 화근이 될 조짐을 사전에 제거함 - <한비자> 전국시대 말기의 사상가 한비가 쓴 <한비자>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권세를 잘 유지하는 자는 그 간사한 싹을 일찌감치 끊는다(善持勢者 蚤絶其姦萌).” 한비는 ‘외저설우’ 편에서 군주가 신하를 다스리는 방법을 세 가지로 논...
-
생글기자
자신이 처한 상황 일기로 쓰기, 감정 조절에 큰 도움
세계적 운동선수들은 극도의 심리적 압박 속에서도 집중력을 잃지 않고 실력을 발휘한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좋은 결과를 내는 선수들을 보면 감정 조절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책 <강한 마음>의 저자는 부정적 감정을 단순히 억제하기보다 재평가 과정을 거쳐 건설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런 심리적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일기 쓰기다. 자신을 돌아보며 나를 객관화...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과학을 사실적으로 그리려면 먼저 공부하라
소설이나 영화 속에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등장한다. 작가들은 전문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직접 체험도 하고 전문가를 만나기도 한다. 그런 준비를 하고도 잘못 그리거나 어설프게 표현해 지적받는 경우도 있다. 아마도 작가들은 과학을 가장 어려운 분야로 꼽지 않을까. 모두가 작가이자 독자인 시대, 〈장르작가를 위한 과학가이드〉를 참고하면 제대로 쓰고 제대로 읽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네이처>를 비롯한 유명 과학 저널에 공동 저자로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