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효율적인 공부를 위한 '메타인지'

    새해를 맞아 저마다 굳은 결심으로 새로운 목표를 잡고 공부 계획을 세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계획한 대로 공부한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현재 자기의 위치나 공부 방법, 학습 태도 등에 대한 객관적 인식이 부족한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메타인지’(metacognition)가 중요하다는 얘기입니다. 공부 계획을 세울 때 막연히 해야 하는 것, 필요한 것만 잔뜩 집어넣...

  • 교양 기타

    50년간 벼슬하며 존경받은 비결 [고두현의 아침 시편]

    면앙정가(仰亭歌) 인간 세상 떠나와도 내 몸이 겨를 없다. 이것도 보려 하고 저것도 들으려 하고 바람도 쐬려 하고 달도 맞으려 하니 밤일랑 언제 줍고 고기는 언제 낚고 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떨어진 꽃은 누가 쓸까. 아침이 부족하니 저녁이라 싫겠는가. 오늘이 부족하니 내일이라 넉넉하랴. 이 산에 앉아 보고 저 산에 걸어 보니 번거로운 마음에 버릴 일이 아주 없다. 쉴 사이 없거든 길이나 전하리라. 다만 푸른 지팡이만 다 무디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빛' 살리기는 모두의 일

    대구시에는 온라인 시민 소통 사업 ‘두드리소’가 있다. 보건복지부는 아동보호 자립과 취약계층 아동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로 ‘디딤씨앗통장’을 운영 중이다. 인천 남동구 가족센터에서 시행하는 1인 가구 지원사업은 ‘밥상서로돌봄’이라고 부른다. 모두 부르기 쉽고 이해하기 쉽고, 그래서 더 친근감을 주는 공공기관 사업 이름들이다. 지난해 12월 한글학회는 국립국어원, 국어문화원연합...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80)

  • 트럼프 취임 韓에 미칠 영향은

    주니어 생글생글 제144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혼돈의 트럼프 시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다. 미국 외교·안보·무역 정책이 어떻게 달라질지, 한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아봤다. 트럼프 당선인의 성장 배경과 생애, 성격 등도 살펴봤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커털린 커리코 박사를 소개했다. ...

  • AI 가 바꿔놓을 미래

    제879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삶에 녹아든 인공지능(AI), 무엇을 바꿔놓을까’다. AI가 우리 생활에 점점 더 깊숙이 들어오고 있다. 산업계에선 모든 분야에 AI를 적용하는 AI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AI 기술이 어느 단계에 와 있는지, 기후변화 등 인류가 당면한 과제도 AI를 활용해 해결할 수 있을지 알아봤다. 대입 전략에서는 2025학년도 의약학 계열 정시 지원 현황을 분석했다. 의대 정원 확대 영향으로 지...

  • 커버스토리

    삶에 녹아든 AI…무엇을 바꿔놓을까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가 2022년 말 혜성처럼 등장한 이후, AI는 많은 이슈를 몰고 왔습니다. 예를 들어, 챗GPT에 의존해 작성한 대학생 연구과제를 어디까지 인정할 거냐라는 문제부터 AI가 인류를 위협할 것이란 주장과 AI 기술개발 규제론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적지 않았어요. 이 과정에서 유럽연합을 비롯한 우리나라도 ‘AI 기본법’을 제정했고, AI 기술개발의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인식도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 생글기자

    학생 의견 반영 줄어든 교원평가제도 개편

    교육부가 최근 교원능력개발평가를 교원역량개발지원 제도로 대폭 개편하기로 했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사의 수업과 생활지도에 대해 학생, 학부모, 동료 교사들이 평가하고 그 결과를 교사 연수에 활용하는 제도다. 2010년부터 시행했지만, 일부 학생과 학부모가 교사를 악의적으로 평가하는 등 논란이 많았다. 이에 교육부는 학부모 만족도 조사를 빼고, 학생 만족도 조사에서도 서술형 문항을 없애기로 했다. 그러나 학생과 학부모의 평가 비중이 줄었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