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이 급증하면서 청소년들이 더 쉽게 전자담배에 접근하고 있다. 서울시 내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은 지난 4월 11곳에 불과하던 것이 9월 현재 44곳으로 증가했다.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이 급증하면서 청소년들이 더 쉽게 전자담배에 접근하고 있다. 서울시 내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은 지난 4월 11곳에 불과하던 것이 9월 현재 44곳으로 증가했다. 이들 판매점은 액상형 전자담배를 주로 판매한다. 이에 따라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에 대한 규제 강화 등 청소년 흡연을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네덜란드 등 다른 선진국에서는 청소년이 담배를 쉽게 구입하지 못하도록 매장 내 담배 진열대를 가려놓는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많은 편의점에서 계산대 뒤에 담배를 진열하며 판매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전자담배 판매 및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관련 업계는 과도한 규제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에 비해 해롭지 않으며 전자담배와 청소년 흡연율 증가는 관련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2019~2023년 청소년 흡연자 중 32%가 액상형 전자 담배로 흡연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청소년은 전자담배를 이용해 불법 약물까지 흡입한다.
규제 강화가 만능은 아닐 것이다. 청소년들이 흡연의 위험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 예방 활동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김도경 생글기자(대원국제중 3학년)
![[생글기자 코너] 대입 공정성 해치는 '입시 카르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802.3.jpg)
![[생글기자 코너] 인형 뽑기 인기, 경제위기 징조일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803.3.jpg)
![[생글기자 코너] 소방대원 '마음 건강' 대책 시급하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801.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