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미국 또 탈퇴…세계 기후위기 대응 흔들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인 지난달 20일 미국이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탈퇴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기후변화 문제에서 ‘회의론자’로 분류되는 그는 집권 1기 때인 2017년 파리협정에서 이탈한 바 있다. 기업 활동에 방해가 된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후임인 조 바이든 정부가 이를 뒤집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집권 2기가 열리자마자 재차 탈퇴 선언을 했다. “지...

  • 숫자로 읽는 세상

    지난해 합계출산율 0.74명…9년 만에 바닥 찍어

    2015년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걷던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9년 만에 반등한 것으로 확인됐다. ‘결혼 페널티’를 없애고 신생아 특별공급을 신설하는 등 정부의 적극적 저출생 대책으로 출산율이 바닥을 찍은 것 아니냐는 기대가 나온다. 지난달 22일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4명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 2015년 1.24명에서 2023년 0.72명으로 매년 하락세를 이어가던 출산율이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통계...

  • 경제 기타

    국제무역·수지 작동원리 알아야 나라경제 이해

    처음 글을 연재하면서부터 지난주까지 살펴본 내용은 미시경제라 부르는 시장경제와 거시경제라 부르는 국가경제였다. 미시경제와 거시경제는 모두 폐쇄경제(closed economy)를 가정한다. 폐쇄경제는 한 나라가 다른 나라와 상품이나 자금 거래를 전혀 하지 않는 경제다. 하지만 오늘날 세계에서 다른 나라와 경제적 관계를 맺지 않고 살아가는 나라는 없다. 현실의 자본주의 국가들은 상품이나 자금 면에서 다른 나라와 교류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비현실적...

  • 생글기자

    "넘어지면서 배워요" 겨울 스포츠의 매력

    겨울은 날씨가 추워 야외활동을 하기 어려운 계절이다. 그러나 겨울에만 즐길 수 있는 스포츠도 있다. 특히 스노보드를 맘껏 탈 수 있어 좋다. 하얀 눈밭을 가르며 달려나가는 짜릿한 느낌은 오직 겨울에만 맛볼 수 있다. 스노보드는 넘어지는 횟수만큼 배울 수 있다. 처음엔 보드 위에 제대로 서지도 못했다. 몇 번 넘어지다 보니 균형을 잡고 설 수 있게 되고, 달릴 수 있게 됐다. 이제 최상급 코스에서도 자신 있게 보드를 타고 내려온다. 스키장에 즐...

  • 영어 이야기

    외관상의 작은 변화를 말할 땐 'nip and tuck'

    The IONIQ 5 will greet drivers this month with its retouched looks and enhanced functions. It got its first nip and tuck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launch three years ago. Powered by a fourth-generation battery with a bigger 84.0 kilowatt hours (k...

  • 대학 생글이 통신

    바뀌는 고교 과정, 선생님께 적극 여쭤보세요

    2025학년도부터 고등학교에 새로운 제도가 도입됩니다. 고교학점제가 시행되고, 내신성적 평가 방식이 기존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바뀝니다. 이런 변화는 대입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올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예비 고1은 달라지는 내용을 숙지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교학점제란 고등학교에서도 대학처럼 학생들이 자기 관심 분야와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이수하는 제도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전공 적합성입니다. 전공 적합성은 대입...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제주항공 참사' 대 '무안공항 참사'

    #1. 2019년 12월 중국발 외신을 통해 신종 감염병 소식이 국내에 전해졌다. 강력한 전파력이 심상치 않던 이 전염병은 처음엔 ‘우한폐렴’으로 불렸다. ‘우한(武漢)’은 중국 후베이성 성도(省都)로, 이 질병이 처음 발생해 보고된 도시다. 하지만 이 명칭은 오래가지 못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곧바로 2020년 2월 공식 명칭을 ‘COVID-19’으로 결정해 발표했기 때문...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 인생에 하나뿐인 제곱수의 해 '2025'

    2025년 을사년 뱀띠의 해가 시작된 지 벌써 한 달이 지났습니다. 2025년은 수학과 관련이 많은 수학의 해인 것 같습니다. 2025년이 시작하자마자 SNS와 각종 수학 커뮤니티에서는 2025를 수학으로 이야기하는 글이 많이 올라왔는데, 2회에 걸쳐 이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2025는 452 = 2025이므로 어떤 정수의 제곱이 되는 정수, 즉 제곱수입니다. 442=1936, 462=2116이니까 어떻게 보면 2025년은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