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OECD 공부량 1위인 한국 청소년들,더불어 살기는 꼴찌?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국제교육협의회(IEA)는 세계 36개국에서 중학교 2학년생 약 14만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이는 국제시민의식 교육연구(ICCS)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학생들이 얼마나 사회적인지 알 수 있는 상호작용 역량지표를 다시 정해 지난달 27일 발표했다. 이 지표는 관계지향성, 사회적 협력, 갈등관...

  • 경제 기타

    은행세는 왜 물리지?

    은행의 부채에 물리는 일종의 부담금, 과도한 차입 규제가 목적 신문을 보면 매일 새로운 경제용어가 쏟아집니다. 정부 정책이나 경제흐름의 변화,새로운 기술의 탄생 등에 따른 것이 대부분입니다. 시사 경제용어를 잘 이해하면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고, 뭐가 이슈인지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이 이번주부터 신문 지면의 주요 기사에 자주 등장한 경제 용어를 쉽게 풀어줌으로써 한 주의 경제흐름을 짚어줍니다. 경제이해력 시...

  • 커버스토리

    시장의 실패?…그럼, 정부는 만능인가

    "낮은 세율의 법인세 등 한국의 기업 경영 여건은 일본보다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지만,한국의 대기업들은 지난해부터 중소기업 지원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정부의 압력으로 강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대기업이 예상을 뛰어넘는 이익을 거둔 경우 협력업체에 이익을 나눠주는 '초과이익 공유제' 도입에 대기업들은 많은 불만이 쌓여 있다. " 지난 21일자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사설이다. 일본의 대표적 경제신문이 관심을 가질 정도로 동반성장을 내세운 한국 정부...

  • 경제 기타

    “반값 변호사도 좋다” 로스쿨생 경쟁률 10대 1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출신 변호사를 사법연수원 출신의 절반 봉급에 채용한다는 법무법인 '바른'에 채용 예정 인원의 10배가 넘는 로스쿨생이 지원했다. 내년 첫 졸업하는 로스쿨생에 사법연수원생까지 합쳐 한 해 2500명의 변호사가 배출되면서 '백수 변호사'에 대한 불안감이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바른에 따르면 이 로펌이 지난달 말부터 지난 15일까지 신입 변호사 채용공고를 낸 결과 로스쿨생 30명 이내 모집에 300여명이 지원했다. 10...

  • 경제 기타

    수학교과서 '스토리텔링' 형으로

    ⊙ 수학교과서 '스토리텔링' 형으로 문 · 이과로 구분된 고등학교 수학을 인문계와 상경계,이과계,예 · 체능계 등 4가지로 세분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문제풀이 위주로 구성된 수학교과서는 역사 · 철학 · 경제 · 사회 · 문화적인 내용을 담아 스토리텔링식으로 재미있고 이해하기 쉽게 바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공교육 강화-사교육 경감 선순환 방안'(시안)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23일 광주시 교육청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발표...

  • 경제 기타

    세계 3번째 부자…주식투자로 번 돈 대부분 사회환원 '오마하의 賢人'

    두번째 訪韓… 공항에 환영인파 '투자의 신(神)''오마하의 현인(Oracle of Omaha).' 주식투자로만 56조원(500억달러)의 거부를 일군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81). 세계 세 번째 부자로 꼽히는 그에겐 이처럼 여러 별칭이 따라다닌다. 그에 대한 표현은 많지만 '존경받는 부(富)'를 대변하는 롤모델이라는 평가는 어디에서건 일치한다. 재산 대부분을 사회에 환원키로 하는 등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 커버스토리

    정부가 왜 시장에 개입하지?…혹시, 시장이 잘못돼서?

    초과이익공유 · 전·월세 상한제 · 징벌적 손해배상 '논란' ⊙ 찬성="초과이익에 협력사도 기여" 정 위원장의 초과이익공유제 주장은 "초과이익이 나는 것은 대기업 스스로의 노력도 있겠지만 중소기업의 노력도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는 "이익 공유의 대상을 주주나 임직원뿐 아니라 협력기업으로 확산시키겠다"는 논리로 이어진다. 초과이익은 연초 기업이 정한 목표이익과 연말에 나오는 실제 이익을 비교하면 산출할 수 있다는 게 정 위원장의 ...

  • 커버스토리

    어설픈 정부 개입, 오히려 시장 더 망가뜨릴 수 있어

    미국 금주법 시행 이후 알콜중독자 더 늘어나 "전셋값이 24개월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급등한 전셋값 때문에 어머니와 딸이 자살하고,젊은이들이 집을 못 구해서 결혼을 연기하고 있어요. 전셋값 대란의 해결책은 장기공공 임대주택과 소형주택의 공급을 늘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너무 걸립니다. 그러니 정부가 개입해야 합니다. 이게 정부가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정부는 전 · 월세 상한제를 도입해야 합니다. "(이용섭 민주당 국회의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