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부정부패 없어져야' 부자 국가' 될 수 있다
178개국 중 39위. 매년 반부패국제비정부기구인 국제투명성기구(TI)에서 발표하는 나라별 부패인식점수에 따라 매겨진 우리나라의 순위다. 국제투명성기구(TI)의 부패인식지수인 CPI는 국내외 기업인과 분석가들이 각국 공무원과 정치인의 부패 정도를 조사한 것으로 객관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10월 말 발표된 CPI에서 우리나라는 절대부패를 갓 벗어난 상태인 5.4점을 받는 데 그쳤다. 부패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될 때 받는...
-
경제 기타
이공계 진학 자신감 심어준 '이공계 탐구교실'
지난 12월27일 인천시교육청 주관 '이공계 활성화를 위한 이공계 탐구교실' 2기 수료식이 인천시교육청에서 열렸다. 이날, 수료식이 시작되기 전에는 서울대학교 동아리 STEM의 학생들이 인천시 학생들의 공대 진학에 동기를 부여하는 특별한 강의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또한 수료식에서는 이공계 탐구교실에 참여한 모든 학생에게 수료증이 전달되었고,거점학교별 학생 1명을 선정하여 교육감 상을 시상하기도 하였다. '이공계 탐구교실'은 인천광역시에서 ...
-
커버스토리
시장은 '창조적 파괴'를 통해 진화한다
"자본주의(시장경제)를 지속하게 만드는 힘은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다. 기업이 창조하는 새로운 소비재나 생산 · 수송 방법,새로운 시장은 끊임없이 낡은 구조를 파괴하고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 낸다. " 20세기 대표적 경제학자로 꼽히는 조지프 슘페터는 일찌기 '혁신이 시장경제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시장경제는 평탄한 대로를 걷듯이 성장하는 게 아니라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끓임없는 싸움을 통해 갈등을 겪으면서...
-
경제 기타
외화 빚 과도한 은행에 세금 물린다
정부가 내년 하반기부터 은행의 과도한 외화 차입금에 대해 세금(은행세 · 은행부과금)을 물리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은 은행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핫머니(국제 단기투기자본)의 과도한 유출입도 막기 위해 은행에 일종의 세금 성격의 거시건전성부담금을 부과키로 최근 결정했다. 이 부담금은 은행들이 외국으로부터 빌린 비예금성 외화부채 잔액에 부과된다. 외화 예금이나 외환거래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빌린 외화부채는 대상이...
-
경제 기타
안전한 수학여행 KS표준 제정 등
⊙ 안전한 수학여행 KS표준 제정 수학여행 서비스에도 한국산업규격(KS) 표준이 도입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안전사고 발생이 빈번한 수학여행 서비스에 대해서도 KS표준을 제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수학여행 서비스 표준 평가 항목에는 윤리경영,학교와 여행사 간 거래의 투명성,안전관리 강화,식사의 질과 위생관리 등이 포함됐다. 수학여행에서 객실의 투숙 인원은 최소 1인당 1인 침대의 크기가 확보될 수 있도록 배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
-
경제 기타
체벌금지 조치 두달... 요즘 학교에선...
⊙ 생글기자 현장 리포트 지난 11월1일 서울시교육청이 일선 학교의 체벌 전면 금지를 선언한 데 이어 경기도에서는 내년 3월 시행을 목표로 체벌금지를 담은 학생인권 조례를 준비 중이다. 체벌금지가 당연한 시대의 흐름이라는 주장과 체벌금지 때문에 교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논란 속에 정작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체벌금지 두 달, 학교는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생글기자들이 전한다. -----------------------------...
-
커버스토리
기업가는 '창조적 파괴자' 혁신이 시장경제 발전 이끈다
"자본주의(시장경제)의 엔진을 계속 움직이게 하는 근본적인 추동력은 기업이 창조하는 새로운 소비재,새로운 생산이나 수송 방법,새로운 시장,새로운 형태의 산업 조직에서 비롯한다. 이 추동력은 끊임없이 낡은 구조를 파괴하고 새로운 구조를 창조한다. 이러한 '창조적 파괴'의 과정이야말로 자본주의를 지속하게 만드는 힘이다. " 영국의 케인스와 함께 20세기 대표적 경제학자로 꼽히는 조지프 슘페터는 '혁신이 시장경제의 원동력'이란 점을 이렇게 설명...
-
커버스토리
"시장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생물과 같은 것 ··· 포화 상태란 없어"
새 상품 · 새 서비스 창출 과정에서 일자리 늘려 경제는 선택이고 모든 선택에는 항상 대가(비용)가 있는 것처럼 시장경제의 발전에도 비용이 따른다. 대표적인 사례가 혁신에 불가피하게 동반되는 경쟁력 없는 산업이나 시장,일자리의 도태다. 광범위한 혁신이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상품,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낡은 시장과 상품,뒤떨어진 서비스는 점차 시장에서 퇴출되게 마련이다. 경쟁력이 낮은 산업이나 서비스의 일자리가 줄어들고,이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