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軍 가산점제 부활논쟁···희생에 대한 보상은 필요하다
최근 국방부가 오는 4월까지 군복무 가산점 제도 재도입을 추진할 것으로 발표해 관련 논쟁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군복무 가산점 제도는 제대군인이 공무원 시험을 응시할 때 일정 비율의 점수를 가산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1961년 국군의 사기진작을 위해 실시되기 시작하였으며 1998년 여성과 장애인에 의해 헌법소원이 제기되어 1999년 위헌 판결을 받아 폐지됐다. 헌법재판소는 '입법의 목적은 정당하나 여성,장애인에 대한 차별로 불평등하므로 ...
-
경제 기타
고등학생들을 위한 진로·진학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자!
대학에 있는 많고 많은 학과들을 모두 아는 고등학생이 몇 명이나 될까? 실제로 대학별로 학과들이 너무 많아 학생들이 진학에 고민을 하고 있다. 먼저 대학교의 홈페이지에 탑재된 각 전공별 학과 안내와 강의 커리큘럼 등은 어렵고 전문적인 용어가 많아 아직 그 분야를 전공하지 않은 고등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힘들 때가 많다. 무엇보다도 고교생의 수준에 맞는 전공 분야 설명이 부족해 대학의 해당 학과에 진학했을 때 무엇을 배우는지 알 수 없다는 것...
-
경제 기타
이상 기후로 물가 '빨간불'…환경을 지켜야 물가도 안정된다!
국내 물가가 새해 들어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정부의 예상 물가 상승폭도 낮지 않고,연초부터 기업들이 줄줄이 상품가격을 올리고 있다. 삼양사가 최근 설탕값을 평균 9%대 올렸고,CJ제일제당 역시 평균 9.7% 가격을 올렸다. 그에 따라 장바구니 물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우선 국제 원자재값의 인상이 물가 상승의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12월 말일 뉴욕 국제선물거래소에서 형성된 원당 가격은 32.12센트로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
-
커버스토리
<93> 벌벌 떨며 조심함
戰 戰 兢 兢 싸울 전 싸울 전 삼갈 긍 삼갈 긍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함. [시경(詩經)] [소아(小雅)]편에 나온다. 감히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지 못하고, 감히 걸어서 황하를 건너지 못하네. 사람들은 그 하나는 알지만, 그 밖의 것들은 알지 못하네.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기를, 마치 깊은 연못에 임한 것같이 하고,살얼음판 밟듯이 해야 하네. (不敢暴虎, 不敢馮河. 人知其一, 莫知其他. 戰戰兢兢, 如臨深淵,...
-
커버스토리
뜀박질하는 물가··· 서민 살림에 '주름살'
요즘 '장보기가 겁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주요 식료품 가격이 1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올라 예전 생각을 하고 시장이나 마트에 갔다가는 살 수 있는 물건이 별로 없다. 배추 무 등 농산물은 물론 라면 두부 등 가공식품 가격도 큰 폭으로 뛰었다. 식료품 가격만 오른 것은 아니다. 기름값도 급등,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가격은 2008년 8월 이후 처음으로 ℓ당 1800원을 넘어섰다. ℓ당 2000원을 받는 주유소들도 있다. 지방...
-
경제 기타
박사과정 대학원생 300명 뽑아 6000만원 지원
정부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 추진 정부가 될성부른 박사급 인재 등을 전폭 지원하는 국비장학생제도를 도입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국내 박사과정 대학원생 300명을 선정,월 250만원(연 3000만원)씩 2년간 6000만원을 지원하는 '글로벌 박사 펠로우십(Global Ph.D. Fellowship)'정책을 추진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검증된 박사급 고급 두뇌가 학비와 생활비 걱정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
-
경제 기타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등
⊙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서울시가 무상급식 전면 실시 여부를 주민투표로 결정할 것을 시의회에 공식 요구하기로 했다. 이종현 서울시 대변인은 "서울시장 발의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동의 요구서를 17일 시의회에 정식으로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당초 12일 시의회에 주민투표 청구서를 낼 계획이었으나 정식 의안인 동의 요구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이 대변인은 "시장 발의의 동의 요구서를 제출하면 시의회는 이를 본회의에서 의결해야 하기...
-
경제 기타
소·돼지 10마리 중 1마리꼴 살처분···피해액 1조원 훌쩍 넘어
"축산 기반 이미 무너져"···생매장 방식으로 동물학대 논란·2차오염 우려 증폭 ▶ 구제역에 흔들리는 축산업 대한민국이 구제역으로 떠들썩하다. 지난해 11월 말 처음 발생해 해를 넘겨 번지고 있는 구제역으로 인한 피해는 1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66년 만에 구제역이 재발한 2000년 이후 4차례의 구제역을 합친 피해액(5970억원)의 두 배에 육박한다. 축산농가의 피해도 문제지만 축산업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