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21개 전문대 '직업 명문학교'로
⊙ 21개 전문대 '직업 명문학교'로 교육 여건과 성과가 뛰어난 전문대학 21곳이 직업 명문학교 육성 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정부의 각종 지원을 받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 World Class College)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돼 좋은 성과를 내온 전국 40개 전문대학 중 교육시설,교육성과,재정 건전성 등이 우...
-
경제 기타
대기업은 욕심 많은 공룡이라고?… 글쎄요!
▶ 대기업에 대한 오해와 진실 “10대 그룹,3년간 빚 205조원 내 덩치 불렸다” “상위 10대 그룹 계열사,5일마다 한개꼴로 늘어나” “MB정부 들어 각종 규제완화 혜택 대기업이 고스란히”…. 이명박 정부가 '공정(公正)사회 실현'을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은 이후 최근이처럼 대기업을 비판하는 기사들이 부쩍 쏟아지고 있다. 상당수 언론에서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착취해 자신들의 배만 불리는 악덕 공룡기업쯤으로 그려진다. 정부도 대기업...
-
커버스토리
편리한 서비스는 좋은데… 허걱! 숨기고 싶은 내 정보가…
누군가 내 신상정보를 빠꼼히 알고 있다면 어떨까? 이름 나이 직업은 물론 어떤 음식을 잘 먹고,무슨 색깔을 좋아하는지,최근에 어디 어디에 가고 무엇을 샀는지까지 안다면…. 생각만 해도 무서운 일이다. # 아이폰으로 뜬 위치기반서비스 스마트폰 서비스 중에는 인근 주유소를 찾아주는 서비스,자신의 위치를 친구들에게 알리는 서비스,주변 아파트 시세를 알려주는 서비스 등 위치기반서비스(LBS)가 꽤 많다. 폰 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만 가...
-
커버스토리
빅브라더 vs 개인 … 公益이 먼저냐, 私益이 우선이냐
오세아니아의 하급 당원인 윈스턴은 이 같은 당의 통제에 반발심을 갖고 저항을 꾀한다. 철통 같은 감시 속에서 일기를 쓰며 자신의 생각을 기록으로 남기고,줄리아라는 당원과 은밀한 사랑을 나누며 당의 전복을 꾀한다. 그러나 결국 함정에 빠져 경찰에 체포되고 마는데,감옥에서 끊임없이 고문받고 세뇌를 받는 과정에서 연인이었던 줄리아마저 배반하고 당이 원하는 것을 아무 저항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윈스턴은 이런 식으로 인간의 모든 가치를 상실한 채...
-
경제 기타
中東에 부는 민주화 바람… 종파 갈등에 발목 잡히나
튀니지,이집트 혁명의 도화선이 된 중동민주화 시위의 불길이 리비아를 넘어 바레인에 도착하면서 시위는 이슬람 종파 간 갈등으로 점차 변질되고 있다. 바레인 민주화 시위에서 촉발된 수니파,시아파의 맹주격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외교 마찰이 심각해지면서 중동지역의 역학 구도가 대폭 변동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근 사우디 외교차관인 투르키 빈 모하메드 왕자는 이란이 자국 외교관들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한다면 외교...
-
경제 기타
기업 로고와 그리스 신화
1998년 지금은 부도로 사라진 범양식품이 콜라 독립을 외치며 '8 · 15 콜라'를 시장에 내놓았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의 콜라 시장 역시 세계적 음료브랜드인 코카콜라와 펩시콜라가 양분하고 있었다. 범양식품은 후발주자로서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인지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 태극기를 활용한 애국심 마케팅 전략을 구사했고,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시음회를 열기도 하였다. 시음회의 목적은 품질과 맛에서는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
-
경제 기타
(9) 로마의 노예
잘나가는 로마의 의사들은 노예였다. 장관·약사·교사 등으로 활약 부와 권력 누렸지만 차별·학대 받기도 고대 로마는 노예제 사회라고 이야기한다. 노예는 어떤 존재였으며,어떤 역할을 했을까? 이런 문제들에 대해 지난날 역사가들이 제시한 설명은 이런 식이었다. 노예는 대개 전쟁포로 출신이었다. 로마가 팽창을 거듭하던 기원전 3~1세기 중 많은 포로들이 노예로 전락해 이탈리아 반도 내외에 팔려갔다. 이들이 논밭이나 공방,광산에서 노역을 ...
-
경제 기타
(1) 세금의 역사
생글생글은 이번 호부터 7회에 걸쳐 '세금을 바로 알자!'시리즈를 연재합니다. 세금은 한 나라 살림살이의 바탕입니다. 우리가 꿈꾸는 건강한 사회,복지국가도 결국 세금이 뒷받침돼야 가능합니다. 세금을 많이 내는 개인이나 기업이 존경받아야 할 충분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세금에 대한 편견과 오해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생글이들이 '세금을 바로 알자!' 시리즈를 읽고 세금에 대한 이해를 더 넓히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