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궁지에 몰린 북한… 핵 움켜잡고 위험한 도박
3대째 권력 대물림하는 유일한 나라…변하지 않으면 몰락 올 들어 남북관계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2차 핵실험, 남측 근로자 억류 등 잇단 무력 도발로 최악의 경색 국면을 맞이했다. 최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간의 전격 회동,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조문을 위한 북한사절단의 방남으로 꼬였던 남북관계는 회복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북한은 여전히 핵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헌법에서...
-
커버스토리
“지식도 보호 받아야 할 재산이다”
반짝이는 아이디어는 세상을 창조한다.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 낸다. 좋은 글과 아름다운 음악도 인간의 영혼을 맑게 한다. 살아가는 맛을 느끼게 해준다. 그러나 창작에는 언제나 땀과 노력이 들어간다. 전구를 발명한 에디슨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빌 게이츠도, 세계적인 문장가였던 셰익스피어도 자신의 재능보다 끊임 없는 노력에서 새로운 무엇을 찾아냈다. 이들의 노력에 대한 대가는 충분히 보상해야 한다. 이들의 창작품을 함부로...
-
커버스토리
세상의 모든 책을 온라인으로 본다고? …저작권 침해 아냐?
구글 '디지털 도서관' 사업 벌이자 관련 업계·기관 반발 미국에서 사상초유의 출판 저작권 논쟁이 일고 있다. 이 결과에 따라 출판의 개념이 완전히 달라질 전망이다. 미국의 인터넷업체 구글(Google)이 전 세계 도서관의 장서들을 온라인화하겠다며 야심차게 펼쳐온 디지털 도서관 사업을 전개하자 관련 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미국 법무부가 구글의 도서관 사업에 대한 독점방지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기 시작했으며 미 소비자 보호연맹도 인터넷으로 ...
-
커버스토리
'아래아 한글' 개발한 이찬진 사장이 돈을 못번 이유는?
지재권 보호하지 않으면 개발·창작의 토대 무너져 애써 만든 지적 창작물 공짜가 아니라는 인식 필요 한글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아래아 한글'이 있다. 1989년 1.0버전 출시를 시작으로 1990년 '㈜한글과컴퓨터'라는 회사가 설립됐고 우리나라 문서작성 프로그램 시장을 휩쓸었다. 학교에서,직장에서 '아래아 한글'을 쓰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우리나라는 '아래아 한글' 덕분에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MS워드'가...
-
커버스토리
포퓰리즘에 나라 망친 '짐바브웨'
지난해 아프리카 국가들 중 경제와 관련해 유달리 주목받은 국가가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바로 위에 있는 짐바브웨다. 짐바브웨는 최근 연간 물가상승률이 2억%나 됐다. 1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해 막대한 전쟁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던 1920년대 독일,2차대전 직후인 1946년 헝가리,영국과의 포클랜드 전쟁에서 패했던 1980년대 아르헨티나 등에서 이에 필적하는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볼 수 있지만 전쟁과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닌 때 이같이 기록적인 ...
-
커버스토리
100억 짐바브웨달러 내고 달걀 3개 사는 '짐바브웨의 비극'
아프리카 남부에 있는 짐바브웨는 아프리카 쇼나어로 '돌로 만든 견고하고 거대한 집'이란 뜻이다. 하지만 이름 뜻과는 달리 이 나라는 매우 복잡한 역사를 거치며 오랜 풍파에 시달려 왔다. 짐바브웨는 1888년부터 영국 남아프리카회사의 지배를 받아왔다. 이후 1923년 영국 정부의 식민지로 편입됐다. 1953년 엔로디지아-니아살랜드 연방공화국이 수립됐지만 이 연방은 나중에 지금의 짐바브웨와 잠비아말라위로 분리됐다. 짐바브웨는1963년 연방...
-
커버스토리
민주주의라는 '겉옷'입고 亡國病 퍼뜨리는 포퓰리즘
남미, 선심 정책 남발해 경제 망쳐 국민의 수준이 나라의 품격을 결정 포퓰리즘은 민주주의의 타락 현상이다. 냉정한 국가적 비전보다는 당장의 인기주의에 연연하게 되면 민주주의는 포퓰리즘으로 전락하게 된다. 선거철을 맞아 세금을 내려주거나,비용 부담은 도외시한 채 모든 사람에게 분배적 정의를 달성하겠다고 공약하면서 결국은 경제를 거덜내는 것이 그런 경우다. 포퓰리즘은 당연히 민주주의라는 겉옷을 입고 있다. 민주주의는 국민을 주인으로 떠받...
-
커버스토리
동네로 들어온 큰 슈퍼…구멍가게들 '아우성'… 소비자의 선택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곳에 시장이 존재한다. 생산자가 만든 좋은 품질의 상품이 소비자에게 값싸고 신속하게 전달할려면 시장이 효율적으로 발전돼야 한다. 동네가게를 비롯해 수퍼마켓, 편의점, 재래시장, 백화점, 할인마트 등 모든 것이 이런 시장의 역할을 하게 된다. 시장이 잘 돌아가야 생산자 소비자가 모두 편익을 얻게 된다. 이런 생산자와 소비자를 만나게 하는 업종이 유통업이며 여기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흔히 유통업자라고 한다. 도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