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FTA 체결하면 망한다더니 …시장 넓어지며 교역국 모두 '윈-윈'

    지난 17일 미국 경제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2주년'과 관련한 기사를 냈다. 핵심 내용은 이랬다. “미국과 한국의 무역활성화를 위해 체결한 FTA로 더 큰 이익을 본 것은 한국이다.” WSJ는 “협정 발효 이후 미국의 한국 수출이 92억달러나 급감해 미국 적자가 크게 늘었다”는 시민단체들의 불만도 실었다. 미국 시민단체들의 불만 한·미 FTA의 무역성적표를 보면 미국 쪽의 불만을 이해할 수 있다....

  • 커버스토리

    비교우위·교역조건·라운드는 무슨 뜻일까

    자유무역협정(FTA)은 양국 간, 혹은 국가·경제블록 간 협정을 통해 관세를 낮추거나 철폐하는 것을 말한다. 관세가 낮아지거나 철폐되면 상대적으로 교역은 크게 늘어난다. 한때 국제 간 무역은 세계무역기구(WTO) 등 다자간 협정이 주도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FTA 등 양자협정이 늘어나고 있다. 각국 간에 얽히고설킨 이해관계가 복잡해 다자간 협상으로는 합의점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참가 당사자들이 ...

  • 커버스토리

    정년 연장의 경제학…일자리 어떻게 나눌까

    근로자의 정년이 60세 이상으로 늘어난다. 근로자 정년 연장 법안은 이미 지난해 4월 말 국회를 통과했다. 300인 이상 사업장 및 지방공사 등은 2016년 1월부터 60세 정년을 우선 적용하고, 300인 미만 사업장과 지방자치단체 등은 2017년부터 정년을 연장하는 것이 법안의 골자다. 법안대로라면 2017년 1월부터는 모든 근로자의 정년이 60세 이상으로 늘어난다. 정년을 늘리기로 한 것은 무엇보다 길어지는 평균수명과 관련이 깊다. 우리나...

  • 커버스토리

    부모 "더 일하고 싶다" vs 자식 "저도 일 좀…"

    국회는 지난해 '고용상 연령 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에 따라 300인 이상을 고용하는 기업과 공공기관의 정년은 2016년부터 60세로 늘어난다. 300명 미만 중소기업은 2017년부터 적용된다. '정년 연장' 문제는 대학 논술이나 면접에서 얼마든지 나올 수 있는 주제다. 맬서스 함정 정년 문제는 기본적으로 인류가 '맬서스 함정'에서 벗어나면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맬서스 함정이란 영국의 경제학...

  • 커버스토리

    일할 의사있는 '경제활동인구'…일자리가 없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경제의 최대 화두는 '일자리'다. 글로벌 경제는 회복세로 조금씩 방향을 틀고 있지만 고용시장은 여전히 미지근하다. 현 정부의 최대 과제도 일자리 창출이다. 규제를 풀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 기본방향이다. 정년연장도 단기적으로는 일자리를 늘리는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하지만 정년연장만큼 신규 채용이 줄어들면 그 효과는 크게 떨어질 수도 있다. 정년연장을 계기로 일자리와 관련된 경제용어들을 살펴보자. 실업률 실업률...

  • 커버스토리

    SPA 혁신…의류시장 판도를 바꾸다

    “시장은 포화돼 있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도무지 뚫고 들어갈 틈이 없다고 한다. 장사가 좀 되는 곳에는 어김없이 수레가 놓여 있고, 터가 좋은 곳에는 으레 상점이 들어서 있다. 껌시장, 우유시장, 라면시장, TV시장, 스마트폰 시장 등. 만만한 업종은 하나도 없어 보인다. 여기까진 일반인의 생각이다. 기업가에겐 이런 패러다임이 안 먹힌다. 포화상태라고? 진짜? 그럼 휴대폰의 거인 노키아는 왜 무너진 거야? 소니는? 기업가는 “시장이 포화상...

  • 커버스토리

    유니클로의 성공 비결…혁신·가격파괴·기업가정신

    SPA의 대표 브랜드격인 유니클로는 어떻게 의류시장을 뒤흔들 수 있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의류시장은 어떤 곳이었나. 팔아도 남지 않는 곳, 값만 비싼 곳, 경쟁이 치열해 시장이 포화된 곳이었다. 의류시장은 늘 '레드 오션'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유니클로의 야나이 다다시 회장은 이런 곳을 '기회의 땅'으로 봤다. 유니클로, 갭 등 SPA 의류전문 브랜드들은 기존 의류업체들과 완전히 다른 길을 걸었다. 생산, 유통, 판매 과정에서 일으킨 혁신...

  • 커버스토리

    초저가·빠른 회전·깔끔한 디자인…SPA의 역습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는 흔히 '패스트 패션'으로 불린다. SPA는 미국 의류 브랜드 '갭'이 1986년 선보인 사업모델로 의류기획·디자인·생산·제조·유통·판매까지 전 과정을 제조회사가 맡는 의류 전문점을 말한다. 백화점 등의 고비용 유통을 피해 대형 직영매장을 운영,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싼 가격에 제품을 공급한다. 또한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해 상품에 반영시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