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
커버스토리
참사부른 대형 수송…인공지능, AI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드론(drone)이라는 것이 있다. 꿀벌 중 수컷을 뜻한다. 지금은 무인기(無人機)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드론은 사람이 조종하지 않는다. 입력된 대로 임무를 수행한다. 드론 활동이 가능한 것은 인공지능(AI)에 버금가는 제어기술 덕분이다. 모든것이 컴퓨터로 통제된다.연료만 충분하다면 못하는 일이 없다. 먼 거리도 정확하게 비행하고 임무를 수행한 뒤 복귀한다. 드론은 낮과 밤의 제한이 없고, 고도와 중력의 한계도 없다. 인간이 타지 않아 인간 ...
-
커버스토리
지식·인품의 가늠자…영원한 숙제 '좋은 글 쓰기'
신언서판(身言書判). 중국 당나라 관리 등용 시험에서 인물을 평가했던 네 가지 기준이다. 신(身)은 풍채와 용모, 언(言)은 논리적인 언변, 서(書)는 필체와 필력, 판(判)은 사물의 이치를 구별하는 판단력을 뜻한다. 이 네 가지를 두루 갖춘 사람을 으뜸으로 평가하고 여기에 덕행이나 재능, 효심 등을 감안해 관리로 선발했다. 특히 지식과 됨됨이를 보여주는 글은 인재를 뽑는 핵심 잣대였다. 조선시대 관리가 되는 관문인 과거시험은 결국 글쓰기 능력...
-
커버스토리
글쓰기 능력 보면 학생 미래 보여…하버드大 '에세이' 평가 유명
미국의 유명 대학들은 신입생 선발 때 반드시 '에세이'를 제출하라고 한다. 하버드대는 엄격한 에세이 평가로 악명(?)이 높은 대학이다. 교수들이 에세이를 꼼꼼히 읽은 뒤 직접 평을 쓰고 당락을 가른다. 하버드 합격생들의 에세이를 묶어놓은 책을 보면 글을 잘 썼다는 느낌을 받는다. 문체나 문장력, 구성력이 좋을 뿐 아니라 내용이 감동적이다. 에세이에 과거 드러난다 미국 대학들이 입시전형에서 에세이에 비중을 두는 이유는 딱 하나다. 글쓰기 능력...
-
커버스토리
글쓰기의 노하우는?…짧게 끊어 쓰고, 키워드를 활용해라
글쓰기는 생각을 글로 옮기는 것이다. 이치는 간단하다. 하지만 막상 펜을 잡으면 논리가 잘 전개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어휘, 지식, 논리, 경험, 독서 등 기초가 약한 탓이다. 좋은 글을 쓰려면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다양한 독서로 어휘력을 늘리고, 글을 써나가는 요령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습관도 키워야 한다. 글은 결국 생각이기 때문이다. 키워드(핵심어)를 활용하면 글쓰기가 한결 수월해진다. 논리적으로 생각하라 글...
-
커버스토리
4㎏ → 145g…이동통신 30년 '스마트 혁명'
대한민국은 '휴대전화 왕국'이다. 이동통신 보급률은 이미 100%를 넘어섰다. 이동통신 기술은 놀랄 만큼 빠르게 진화 중이다. 이런 속도의 통신기술 진화는 30년 전만해도 거의 상상 수준이었다. 그 상상이 현실이 됐고, 또 다른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 가고 있다. 1984년 3월29일은 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가 초고가의 차량전화(일명 카폰) 서비스를 시작한 날이다. 한국 이동통신의 역사가 올해로 30년을 맞은 셈이다. 한국의 모바일 시대를 연 ...
-
커버스토리
지식·정보전달 빛의 속도로…'세계가 좁아졌다'
문명과 기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인류는 기술발전과 함께 진화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맬서스가 오늘날 학문적으로 망신(?)을 당한 것도 바로 인류의 기술개발 본능을 꿰뚫어 보지 못한 탓이었다.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어나지만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인류는 절대빈곤에 허덕이고 급기야 망할 것'이란 그의 이론은 기술진보 앞에서 허망하게 깨졌다.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지도 않았지만 식량 생산을 획기적으...
-
커버스토리
G·유비쿼터스·클라우드…진화하는 통신기술
이동통신 기술은 정보기술(IT)산업 발전을 이끄는 핵심이다. 경제활동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이동통신은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보다 출발은 다소 늦었지만 관련 기술의 발전 속도는 매우 빨랐다. 대한민국을 IT 강국으로 도약시킨 주역도 이동통신 기술이다. 이동통신 기술은 반도체 등 연관 기술과도 연관성이 높다. 이동통신을 중심으로 한 기술 발전과 관련된 용어들을 살펴본다. 기술의 진화 2G→3G→4G 통신기술의 ...
-
커버스토리
'통일대박' 만들기…독일통일에서 배우다
베를린장벽은 독일 분단의 상징이었다. 단지 독일 분단만이 아닌, 옛소련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냉전시대의 상징물이었다. 동서 베를린 사이 40여㎞에 이르는 길고도 두꺼운 콘크리트 담장, 그 장벽은 너무 견고해 보였다. 하지만 철옹성 같던 장벽도 소련의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지면서 이곳저곳 금이 가기 시작했다. 동서독이 다시 '하나의 독일'이 되기로 뜻을 모으면서 1989년 이 장벽은 모두 철거됐다. 브란덴부르크문을 중심으로 극히 일부만 분단 역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