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빗장 풀리는 쌀 시장…개방의 득실 방정식은?

    인류 역사는 개방의 역사다. 문명의 발달은 국가(대륙) 간의 문턱이 낮아지는 과정이다. 하지만 개방의 역사가 순탄치만은 않다. 개방은 때로 동질(同質)이, 때로는 이질(異質)이 합쳐지고 융합하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개방은 마찰과 갈등이 생긴다. 역사에서 개방의 고비마다 저항이 따른 이유이기도 하다. 대한민국도 개방의 변곡점에서 많은 갈등이 있었다. 구한말에도 개방을 보는 시각이 극명히 엇갈렸고, 21세기 들어서도 다자간 무역협정, 자유무역협...

  • 커버스토리

    '비교우위론' 국가간에 교역이 이뤄지는 원리 설명

    고전학파 경제학자 리카도가 규명한 비교우위론은 개방이 왜 윈윈이 되는지를 잘 설명한다.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상품을 수출하고, 반대 경우의 상품을 수입하면 서로에게 이익에 되고 경제의 효율성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물론 개방으로 외국산 제품이 밀려들어 자국 제품의 입지가 크게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수입상품에 관세를 적용한다. 관세를 매기면 수입제품 가격이 높아져 자국제품의 경쟁력이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고율관세는 ...

  • 커버스토리

    보호주의는 소탐대실…자유무역이 번영을 낳는다

    시장개방은 늘 논란을 낳는다. 시장개방 얘기가 나오면 선진국들도 내부적으로 시끄러워진다. 후진국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정당, 이익집단, 산업에 따라 이해관계가 다른 탓이다. 어떤 나라는 자동차산업을, 어떤 나라는 영화산업을, 어떤 나라는 농업을, 어떤 나라는 미발달 상태인 유치(幼稚)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시장개방을 안 하거나 덜 하려 한다. 한 국가경제가 과거 원시부족처럼 폐쇄된 공간 속에서 자급자족을 고집한다면, 시장개방은 필요없다. 하지만...

  • 커버스토리

    대입 모의논술 분석

    삼다(三多)형 사고 요구로 인재 선별 고려·서강·한양대 ‘읽고 생각하고 쓰고’에 초점 맞춘다 심도 깊은 사유의 요구 여전히 전형적인 ‘삼다(三多)’ 훈련 방식을 요구하는 문제들도 있다. 이는 많이 읽고(多讀), 많이 생각하고(多想), 많이 써야 한다(多作)는 점에서, 논술의 근본 취지에 부합하는 측면이 존재한다. 하지만, 바쁘디 바쁜 고3 생활 동안 이런 활동이 가능한 학...

  • 커버스토리

    대입 모의논술 분석

    제시문 3개 주는 유형 출제가 특징 연세·경희·홍익·이화여대, 비교하기로 당락 가른다 상향평준화된 논술 문제 유형 비교문제의 전성기 올해 우리를 괴롭히게 될 대부분의 고난이도 문제들은 비교하기 유형의 변형 형태다. 기존의 제시문 2개 비교하기 유형이 여전히 남아있긴 하지만, 각 대학들은 그런 고리타분한 방식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고 싶어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새로운 유행처럼 각 대학에서 내세우고 있는...

  • 커버스토리

    15개 大 모의논술…제시문 쉽고 조건은 까다롭고

    바야흐로 논술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다. 곧 있을 기말고사가 끝나면 이제 대다수 고3 학생들은 탐구 과목에 매진하면서, 한편으로는 곧 쓰게 될 수시 원서를 놓고 고민을 시작할 것이다. 매년 그랬듯, 수시는 곧 논술이라 봐도 무방하다. 일정한 수능 등급만 갖고 있다면 응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대비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서 방과후 수업으로, 혹은 EBS와 같은 동영상 강의로 나름 준비하고 있던 학생들에게도 여름방학...

  • 커버스토리

    도서 정가제…'동네 서점' 부활할까?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애덤 스미스는 자본주의 경제원리 핵심을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으로 표현했다. 각자의 이익을 최대화하려는 경제행위가 궁극적으로 개인은 물론 사회·국가 전체의 이익을 증대시키고 국가의 부(富)도 늘린다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손’의 본질은 가격이다. 가격은 시장경제를 작동시키는 엔진이자 윤활유다. 가격은 생산과 소비...

  • 커버스토리

    정부가 통제하면 시장은 반드시 보복한다

    “사람들이 원하는 것에 대한 아주 중요한 정보는 가격에 나타나 있다.” ‘자유주의로의 초대’를 쓴 데이비드 보아즈(David Boaz)가 제8장 ‘가격’ 항목에서 한 말이다. 그는 “가격은 단순히 가게에서 어떤 물건이 얼마 하더라는 것만을 말해주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한다. 가격은 누가 무엇을, 얼마나 원하는지, 그것에 얼마의 가치를 매기는지, 어떻게 생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