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10만명 해외취업' 6개국에 전진기지 세운다
정부가 해외취업을 늘리기 위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해외 주요 6개국에 상시적으로 취업 연결망 역할을 할 전진기지를 세워 10만명을 외국에 취업시킨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전진기지는 KOTRA,해외공관과 함께 해외 구인정보 등을 집중적으로 모아 해외취업 희망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 산하 해외취업 주관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미국 캐나다 일본 등 6개국에 해외지사를 설립키로 하고 기획재정부와 예산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
경제 기타
한국 GDP, 2018년 日 따라잡는다 등
⊙한국 GDP, 2018년 日 따라잡는다 '삶의 풍요로움'을 나타내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 구매력 평가 기준)에서 아시아 신흥개발국들이 일본을 맹추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6일 전했다. 대만은 올해 약 3만3800달러로 일본을 제칠 전망이다. 한국은 최근 10년 사이 약 80%가량 증가,일본 수준에 접근하고 있다. 엔고 등으로 인해 명목기준 1인당 GDP는 일본이 아직 높지만 아시아 주요국들은 생산성이 높은 제조...
-
경제 기타
대학 구조조정 급물살…'무늬만 대학' 솎아내나
정부 학자금 대출제한 대상 30개 부실대학 명단 첫 공개 부실대학들이 구조조정 한파에 떨고 있다. 교육당국이 구조조정을 위한 칼을 빼들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갈수록 학생 모집이 어려워지면서 등록금으로 근근이 버텨온 '한계 대학'들이 벼랑끝까지 내몰리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최근 공개한 부실대학의 실상은 충격적이다. '대학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교육여건이 엉망이었다. 교과부는 이번 기회에 해묵은 과제인 부실 대학...
-
경제 기타
햇살 드는 스웨덴 경제… "과거 경제위기에서 교훈 얻었다"
1990년대 과감한 재정 개혁…제조업 경쟁력 키워 빠른 경기 회복 유럽 각국이 경기 침체와 재정적자라는 두 가지 악재로 허덕이지만 스웨덴에는 딴 나라 얘기다. 스웨덴은 다른 유럽 국가들이 겪는 공통된 악재가 없다. 경기 침체와 재정적자를 모두 잡았기 때문이다. 스웨덴은 경기 침체에서 빠르게 회복하고 있으며 오히려 경기 과열 우려 때문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등 본격적인 출구전략에 돌입한 상태다. 파이낸셜타임스는 9일 "스웨덴이 튼튼한 재...
-
경제 기타
(21) 과점 시장
과점시장은 소수의 공급자만이 존재하는 시장이다. 휴대폰,설탕,소주,인터넷통신망,껌,주유소…. 앞에서 열거한 재화들의 공통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열거한 제품들이 거래되는 시장 환경이 과점시장이라는 점이다. 독점과 완전경쟁을 양극단에 두고 시장의 형태를 분류하자면,지난 시간에 논의한 독점적 경쟁시장은 완전경쟁에 가깝지만 독점의 성격을 다소 갖고 있는 시장이라 할 수 있다. 반면 과점시장은 독점에 가깝지만 경쟁의 성격을 다소 갖고 있는 시...
-
경제 기타
북한에 쌀 지원하는 것이 옳을까요.
찬 "인도적 차원과 남북관계 해빙 위해서도 필요" 반 "북한측 사과없이 무작정 쌀을 보내선 안돼" 북한이 남북 간 적십자 채널을 통해 쌀과 중장비,시멘트를 지원해줄 것을 요청해 옴에 따라 북한에 쌀을 지원하는 문제가 본격 논의되고 있다. 천안함 사태 이후 대치 상태를 지속해 온 남북은 북한이 최근 큰 수해를 입은 것을 계기로 조금씩 대화모드에 접근하고 있다. 우리 측은 지난달 26일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대북 수해 지원을 제의한 데 이어 ...
-
경제 기타
2012 여수 엑스포, 세계에 한국의 위상 드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올해 11월 코엑스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로 온 나라가 벌써부터 떠들썩하다. G20만큼 중요한 행사 중에는 엑스포(세계 박람회)도 있다. 엑스포란 국제적 규모로 개최되는 문화와 산업 박람회를 말한다. 그 명칭도 great exhibition, world fair, exposition universelle 등으로 다양하다. 하지만 박람회 국제사무국의 승인을 받아 박람회를 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국가 또는...
-
경제 기타
'미혼모'를 위한 교육의 길이 열린다
본인 의지와 무관하게 학교를 그만 두어야 한다면? 만일 이 질문을 받았을 때 사람들은 말도 안 되는 부당한 소리라고 하겠지만,만약 그 대상이 미혼모라고 한다면 우리사회는 또 다른 색안경을 끼고 바라본다. 청소년 '미혼모'라는 사회적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한창 공부를 해야 할 때 자기의 꿈을 포기하고 학교와 선생님들의 보이지 않는 강요 속에 학교를 자퇴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러한 학업 중단은 청소년 미혼모들에게 실업과 빈곤의 악순환에 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