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신재생에너지에 40조 투자···녹색성장 5년내 세계 '빅5'
정부는 태양광과 풍력산업을 제2의 반도체 및 조선산업으로 키워 2015년까지 세계 5대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하기로 했다. 또 2020년까지 세계적인 물기업 8곳을 육성하고 관련 일자리 3만7000개를 만든다. 녹색성장위원회는 13일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한 가운데 지식경제부 환경부 국토해양부 등과 함께 '미래를 여는 힘-태양 · 바람 · 물'이란 주제로 9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신재생에너지산업 성장 전략을 보고했다. 이 전략에...
-
경제 기타
휴대폰 한글자판 표준화 추진 등
⊙ 휴대폰 한글자판 표준화 추진 '천지인'(삼성전자) '나랏글'(LG전자) 등 제조사마다 다른 휴대폰 한글 자판을 하나로 표준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모바일 기기의 외부 자판 관련 국가표준을 이른 시일 내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지난 13일 밝혔다. 제조사 간 이해관계가 엇갈릴 경우 산업표준화법에 근거해 표준화를 강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 국내 표준을 만드는 과정에서 국제 표준화 가능성을 협의하고 필요 시 중국 ...
-
경제 기타
한국은 왜 노벨과학상 못 받지?…기초 과학 후진국 언제 벗어나나
일본은 벌써18명···기초 기술연구없이 진정한 선진국 되기 어려워 해마다 10월 초가 되면 세계의 과학자들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들려오는 소식에 귀를 쫑긋 세운다. 노벨상이 이때쯤 이면 발표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과학자들도 혹시 올해에 우리 과학자가 노벨상을 탄다는 소식이 있지 않을까 내심 기대를 가진다. 더욱이 과학과 다른 문학부문에서 고은 시인이 노벨 문학상 후보로 거론되자 과학 분야에 대한 노벨상 관심도 예년과 달랐다. 그러나 결국...
-
경제 기타
中 반체제인사 류샤오보 노벨평화상··· 위안화· 인권 협공받는 중국
국제사회와 날카로운 신경전··· 자금풀어 親중국세력 확보 중국의 대표적인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劉曉波 · 55)가 노벨평화상을 받으면서 중국과 국제사회의 신경전이 날카롭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지난 8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2010년 노벨 평화상 발표식에서 류샤오보를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그는 중국에서 기본적인 인권을 위해 오랫동안 비폭력적인 투쟁을 벌였다"며 "인권과 평화는 긴밀히 관련됐으며 이 권리는 알프레드 ...
-
경제 기타
(26) 외부성 (上)
시장밖의 경제활동이 보이지 않는 손을 비켜가게 한다. '그곳은 붉은 벽돌의 도시,만약 공장 연기와 재가 허락했다면 붉은색이었을 벽돌로 이루어진 도시였다. 그러나 사실은 물감 칠한 야만인의 얼굴처럼 부자연스런 붉은색과 검은색의 도시였다. 그곳은 기계와 높은 굴뚝의 도시로, 그 높다란 굴뚝에서 연기의 뱀이 끊임없이 기어나와서는 결코 풀어지지 않았다. 도시 안에는 검은 운하와 악취를 풍기는 염료 때문에 자줏빛으로 흐르는 강이 있었으며, 창들로...
-
경제 기타
케이블카 설치기준 완화해야 할까요.
찬 “관광객늘어 지역경제에 좋고 되레 자연보호에 보탬” 반 “자연 경관 크게 해치고 세계적 추세에도 거스르는 것” 국립공원의 케이블카 설치 기준이 완화된 자연공원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전국 지자체별로 케이블카 설치 움직임이 가속화할 전망이다. 지난달 20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자연공원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은 국립공원 내 자연환경보전지구에서의 케이블카 설치 거리기준을 종전 2㎞에서 5㎞로 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
경제 기타
'한센병'보다 무서운 것은 우리들의 편견이 아닐까요!
당신은 한센병 또는 나병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대부분의 학생들은 '전염' 또는 '위험'이라는 단어를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정말로 그럴까. 한센병은 나균에 의해 감염돼 발생하는 병이다. 나균이 피부,말초신경계,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해 조직을 변형시킨다. 한센병에 감염된 이후에는 피부의 감각을 느끼는 정도가 저하되고,신경의 감각마비와 운동장애가 동반돼 얼굴과 손,발 등에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
경제 기타
한글 탄생 564돌…우리말에 '내일'은 없다?
지난 10월9일 564번째 한글날을 맞았다. 한글날은 훈민정음 해례본 원본에 '세종 28년 9월 상순'이라고 적혀 있어 이를 바탕으로 10월9일로 정해졌다. 한글은 만들어진 기간,소리와 발음 기관의 완벽한 연관성,자음과 모음의 확실한 구별,표음 문자이면서 표의 문자의 역할을 해내는 것으로 그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언어학 대학은 세계에 있는 문자 중 합리성,과학성,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해 한글을 1위로 매겼다.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