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상장지수펀드(ETF)의 매력

    주식투자자들은 기업의 미래에 투자한다. 그 기업이 앞으로 얼마나 경쟁력을 끌어올릴지,얼마나 많은 수익을 낼지를 미리 예측해보고 주식을 매매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가장 손쉬운 방법 중 하나가 해당 업종의 경기 상황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테면 반도체의 경우 D램이나 낸드플래시 가격동향을 살펴보면 앞으로 반도체 업종의 경기가 좋을지,나쁠지를 가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건설주들은 부동산 경기 동향을,유통주들은 국내 소비동향을 통해 그 종목...

  • 경제 기타

    방송-통신 통합위원회 만든다는데 …

    -> 한국경제신문 10월28일자 A1면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가 통합된다. 또 문화관광부가 맡고 있는 게임 영상 등 콘텐츠 업무가 통합 기구로 넘어간다. 이에 따라 방송·통신·콘텐츠 관련 정책과 규제가 한 조직에서 이뤄져 방송·통신 빅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무총리 자문기구인 방송통신융합추진위원회(융추위)는 27일 전체 회의에서 정통부와 방송위를 합쳐 새 기구를 만든다는 내용의 방통 융합안을 마련했다. 이 안은 연내 정부 개편안과 함...

  • 경제 기타

    청소년 음주 '위험수위' … 대책 세워야

    "처음 동아리 활동을 통해 술을 접하게 되었고 이후 친구들과 모여 종종 술을 마셔요." 고등학생인 김모양은 요즘 자신도 모르게 음주에 빠져 들고 있다. 술을 마신 다음날 늦잠을 자 학교에 지각을 하게 되고,수업 시간에 조는 등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고 그는 털어 놓는다. 최근 김양처럼 음주를 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그에 따른 부작용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2005년 국가청소년위원회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술을 마신 경험이 있다는 ...

  • 경제 기타

    교실내 권위주의 이제는 없어져야

    2001년 전국 818만 관객을 동원한 '친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복고풍 영화다. 그 뒤로 2002년 '해적 디스코왕 되다'를 비롯하여 2004년 '말죽거리 잔혹사' 등 1970,80년대를 배경으로 한 복고풍 영화가 줄지어 개봉했다. 그런데 관객들은 이들 영화에서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을 것이다. 바로 '교실 내의 권위주의'가 그것이다. 이것은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체제나 1980년대 전두환 대통령의 이른바 '제5공...

  • 학습 길잡이 기타

    정권은 어떤 평화를 원하는가

    ☞동아일보 10월31일자 A30면 이규 민 동아일보 대기자 북한이야 원래 별난 사회라 그렇다지만 남한은 또 왜 이렇게 이상해졌는지 모르겠다. 지척에서 핵실험을 당한 이 나라 대통령의 모호한 표정과 처신이 의아스럽던 차에 여당 대표는 곧바로 북한을 격려 방문하고 돌아왔다. 그는 평소 우유부단하다는 평을 많이 들었지만 이번 방북만큼은 당 내외의 반대를 무릅쓰고 단호하고 신속하게 실천해 냈다. 남한에 있을 때는 침울한 표정을 자주 보이던 ...

  • 경제 기타

    (기자수첩) 난립한 간판 이대로 좋은가

    전국 어느 거리를 가 보아도,주황색·노란색 등 형형색색의 비슷하고 자극적인 네모난 간판이 건물을 뒤덮다시피하고 있다. 이렇게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정신 없는 간판들이 거리의 미관을 해치고 행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간판 난립은 가게 업주들의 보이지 않는 경쟁 심리에서 비롯된다. 혹시라도 자기 가게 간판이 다른 가게 간판보다 작으면 위축되어 보이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더 주목받기 위해 남들 가게보다 더 크고 더 튀게 간판을 세운다....

  • 학습 길잡이 기타

    글쓰기 첫걸음

    순서가 흩어진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영·유아때 애정 결핍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며 요즘에는 '심리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도 새로운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②이런 다양한 성격장애들은 드러나는 증상은 천차만별이지만 근본적인 공통점이 있다. ③인간이 살아가는 데 가장 소중한 능력인 '자기애'에 장애가 있는 것인데, 심리학적으로 풀이하면 '손상된 자기애가 자기 부정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④'지나치게 자기 자신에게 집착한다...

  • 학습 길잡이 기타

    5. 두음법칙의 예외

    '고랭지 재배'와 '고냉지 재배','공랭식'과 '공냉식','한랭전선'과 '한냉전선'. 이런 말들이 뒤의 것이 틀렸음을 분별할 수 있고 왜 잘못 됐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면 두음법칙의 절반은 이해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말들을 까다롭게 만드는 대부분의 경우는 이처럼 '글자의 결합을 어떻게 가르느냐'에 따라 해법이 달라지는 것들이다. 이를 좀 더 확실히 머릿속에 담아두기 위해 다음 두 단어의 차이점을 살펴보자.'靑綠豆'와 '靑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