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과자봉지, 부피 줄여라!

    오리온 과자 내용물 4분의 1 불과 … "해도 너무해" 최근 원자재 값 급등으로 라면 과자 등 식품 가격이 100원 또는 200원,즉 10% 이상 인상되었다. 라면은 일제히 100원 인상을 발표했으며 ㈜농심의 새우깡이 700원에서 800원으로 오르는 등 물가는 끊임없이 치솟고 있다. 제조업자들은 밀가루 가격 인상의 부담을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얼마 전 ㈜오리온의 S과자를 구매한 양영중 박모양(15)은 ...

  • 경제 기타

    지하철, 점점 편리해져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사랑받고 있는 지하철의 모습이 변화되고 있다. 서울시 지하철 2호선에 ㈜ROTEM이 2007년 제작한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전철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많은 변화를 알 수 있다. 앉는 좌석을 살펴보면 아침이나 저녁에 이용하는 시민들이 편안히 이동할 수 있도록 히터가 작동되고 있다. 그리고 좌석 양 끝에만 있었던 받침대를 가운데에도 설치하여 전철이 흔들리거나 비상사태 시 시민들이 다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실내 공...

  • 책, 많이~많이~ 읽읍시다

    생글생글, 새학기 추천도서 조사…동물농장·경제비타민 등 선정 설문에 참가한 학교 민족사관고, 대원외국어고, 경안고, 영복여고, 경인고, 원곡고, 영일고, 대구경원고 새 학기를 맞아 일선 학교들이 나름대로 추천도서를 선정해 학생들에게 책읽기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대학 입시 수시모집에서 논술시험이 더욱 강화되고 있어 고전을 비롯해 학생들이 어렵다고 외면하는 경제와 과학도서들을 추천도서에 넣어 책읽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생글생글은...

  • 학습 길잡이 기타

    (47) 철야 학원이 성업하지 않는 진짜 이유

    ⊙ 학원시간 규제의 의미 얼마 전 서울시 의회는 학원수강 시간을 제한하는 규정을 폐지하려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시민단체는 학생들이 새벽까지 학원가를 배회하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고 대통령도 같은 취지에서 우려를 표명했다. 결국 서울시 의회는 일주일여 만에 학원 영업 시간 자율화안을 백지화했다. 사실 학원들은 영업 시간 제한 규정을 거의 지키지 않고 있다고 한다. 학원수업을 받으려는 학생이나 학부모들은 영업 시간 제한 규제를 의식하지...

  • 학습 길잡이 기타

    38. 중부방언의 위력

    '~했 구 요'는 사투리, '~했고요'라고 해야 비탈 밭에서 일하던 며느리가 산 위에서 돌덩이가 굴러 떨어지는 것을 보고 다급하게 소리쳤다. "아번니임~,독뎅이(돌멩이의 전라/충청 사투리) 굴러 와유~." 그런데 며느리의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시아버지는 돌에 치여 죽었다고 한다. 예나 지금이나 충청도 말은 느리다는 인식에서 나온 과장된 우스갯소리다. 표준어는 지리적으로 서울을 기준으로 삼는 말이지만,서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중부...

  • 학습 길잡이 기타

    밥맛에서 엉터리까지 ④

    '이런 어처구니를 봤나'가 틀린 까닭은… "그렇게 터무니없는 생각을 누가 믿어." "너무 어이없는 생각이야." "그런 어처구니없는 생각을?" "턱없는 생각이지." "얼마나 엉터리없는 생각이기에 그래?" '터무니없다,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턱없다,엉터리없다.' 각각의 단어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말이다. 형태가 모두 다르지만 공통점도 있다. 의미적으로도 얼핏 섞바꿔 쓸 수 있어 보이지만 서로 말맛은 다르다. 조금씩 의미 차이가 있다는...

  • 학습 길잡이 기타

    논제의 보물창고 고전수필 실전논술

    9. 박지원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하룻밤 아홉 번 강을 건너며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朴趾源)은 청나라 고종의 칠순연을 축하하기 위해 파견된 사신 일행의 수행원으로 중국에 다녀온 견문을 「열하일기(熱河日記)」에 기록했다. 그 중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는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너면서 느낀 감회를 적고 있는데, 실제로 강을 아홉 번 건넜다기보다는 '아홉 구(九)'를 숫자의 의미보다 '많다'나 '지극하다'의 상징어로 봐...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 ⑤

    자연계 수능·논술 해결을 위한 수학적 전략 쌓을 적(積) 나눌 분(分)-「함수」편 적분이라는 말은 쌓을 적(積)자와 나눌 분(分)자로 되어있다. 즉,적분은 "나누어서 쌓는다. "는 개념으로 곡선으로 둘러싸인 넓이를 내접 또는 외접하는 직사각형의 무한 합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수학 교과서에서 배운 것처럼 꼭 직사각형들의 넓이로만 곡선으로 둘러싸인 넓이를 구하지 않았다. 그 예로,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정팔각형,정십육각형,... ,정n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