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문기사를 활용한 나만의 창의논술 비법

    잘 읽은 신문 한 장, 열 참고서 안 부럽다 유승준 소장의 신통한 창의논술 ③ 신문과 통해야 논술이 쉬워진다 신문은 인류가 낳은 최고의 미디어 중 하나다. 미디어란 그 자체로 인간과 인간을,인간과 세상을 매개하는 도구다. 그동안 교육현장에서의 신문기사 활용은 시사이슈 파악,쟁점 정리 등 보조도구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과연 신문은 참고서의 보조수단에 불과할까? 무게중심창의력연구소의 유승준 소장은 "신문이야말로 최고의 논술 텍스트"라...

  • 학습 길잡이 기타

    24. 미니스커트가 유행하면 진짜 불황일까?

    경기징후와 속설 흔히 경기가 나쁠 때 미니스커트가 유행하고 립스틱이 잘 팔린다는 속설이 있다. 또 불황 때는 소주가 잘 팔리고 호황 때는 맥주가 잘 팔린다고 한다. 남대문시장 상인들에겐 신사복지수라는 게 있어서 신사복이 잘 팔리면 경기가 좋아지고, 안 팔리면 경기가 나빠지는 신호로 본다. '경제의 날씨'라고 할 경기는 통계청 한국은행 등이 발표하는 공식 통계로만 파악되는 게 아니다. 공식 통계는 몇 달 뒤에나 알 수 있으니, 지금 당장...

  • 학습 길잡이 기타

    (38) 엄마와 교사들이 싫어하는 과학적 발견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애들이 줄었어요'라는 영화 제목과 혼동되는 TV 프로그램이 있다. 장난감을 사주지 않으면 백화점 바닥에 주저앉아 결사적으로 저항하는 아이. 집에는 장난감이 넘쳐나지만 사주지 않으면 아무것도 먹지 않고 심지어는 엄마와 아빠를 때리기도 한다. 달래기도 하고 어르기도 하지만 소용없다. 아동심리 전문가가 모니터로 아이와 아빠, 그리고 엄마의 오랜 실랑이를 관찰하고 처방을 내린다. 장난감을 사주기 전에 규칙을 정하...

  • 학습 길잡이 기타

    우리말의 비과학적 요소들 ②빚쟁이

    "그는 빚 독촉에 시달리다 결국 집을 빚쟁이에게 넘기고 말았다." "그는 사업에 실패해 빚쟁이가 돼 도망 다니는 신세가 됐다." 흔하지는 않지만 우리말에서 한 단어가 서로 반대되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빚쟁이'가 바로 그런 경우다. '빚쟁이'란 본래 '남에게 돈을 빌려 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첫 문장에 쓰인 '빚쟁이'가 그것이다. 그런데 둘째 문장에 보이는 '빚쟁이'는 좀 다르다. 여기서는 '빚쟁이'가 ...

  • 10. 첨삭의 출발은 소리내어 읽기부터 -<끝>

    남들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자신의 장점, 특성 혹은 능력과 보완·발전시켜야 할 단점(특성 혹은 능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200자 내외) ① 내가 남들보다 뛰어난 장점은 성실성과 책임성,지속성이다. ② 성실성과 책임성, 지속성 은 고3 때 특히 잘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고3 초기에 성적이 하위권에 머물렀지만, 모의고사 시험 때마다 느끼는 한계에 굴복하지 않고 계속 공부를 하였다. 결과 9월 이후 상위권에 도달할 수 있었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권호걸의 통합논술 뽀개기 ⑤

    1. 들어가며 지난 시간에 한양대 2008학년도 2차 모의고사 [문제 1]을 살펴보았다. 지난주 지상 강의 끝부분에 한양대 측에서 공개한 예시 답안의 문제점을 지적한 부분이 있다. 지면 사정상 자세한 설명은 하지 못했지만 사실 대학 측에서 공개한 예시 답안도 가끔 잘못된 경우가 있다. 물론 채점을 하는 대학에서 자신들이 공개한 답안이 맞다고 주장하면 그만인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논술은 보편적인 '논리'를 근거로 하기 때문에 무조건 ...

  • 교양 기타

    (71) 동양고전의 세계를 찾아서 ①莊子

    사람은 소나 돼지를 먹고, 사슴은 풀을 먹고, 지네는 뱀의 골을 달게 먹고, 솔개와 갈가마귀는 쥐를 맛있게 먹는다. 이 넷 중에서 어느 존재가 '올바른' 맛을 아는가? 장자의 『장자(莊子)』는 방대한 분량에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통독을 하지 않고 한 토막의 짧은 구절만 읽어도 그 철학적 깊이와 문학적 유려함은 깊은 감동을 주기에 많은 이들이 저자인 장자를 '동양사상의 둘도 없을 귀재(鬼才)'라고 손꼽는다. 『장자』는...

  • 진학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대입 준비 어떻게 ①

    2009학년도 대입제도 대변화? 큰 틀은 변하지 않는다 언론보도 맹신하지 말고 참조만 해야…대학별 주요 입시요강은 3~4개월 이후에나 발표 '예비 고3 수험생 학부모 혼란 혼선''교육 쓰나미''사교육비 급증''3불정책 완화''논술 폐지''본고사 부활'…. 요즘 주요 일간지의 사회면 교육 관련 기사들의 헤드라인이다. 당장 수능등급제가 폐지되고 본고사가 부활된다고 하는데, 예비 고3들은 어떻게 대입을 준비해야 할지 벌써부터 막막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