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과학은 사회와 동떨어 질 수 있나?

    과학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이고 어떻게 봐야 하나. 과학은 진실만을 연구하고 전달하는가. 과학지식은 믿을만한 것인가. 지난 100년간 과학의 발전은 20세기를 완전히 딴 세상으로 바꿔 놓았다. 과학 발전과 함께 과학 기술이 우리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이전 세기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다. 그러나 정작 과학은 지나친 전문화와 세분화로 인해 보통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영역으로 바뀌고 있다. 심지어는 사회와 갈수록 동떨어...

  • 경제 기타

    미 첫 흑인대통령 후보 탄생하나

    오바마와 매케인의 대결 구도로 압축 버락 오바마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46)이 11월 대통령선거 본선 티켓을 예약했다. 미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오바마는 지난 20일 켄터키주와 오리건주의 프라이머리(예비선거) 결과 1648명(CNN 집계 기준)의 선출대의원을 확보했다. 총 3253명인 선출대의원의 과반을 마침내 차지한 것이다. 주지사와 당 고위직 등으로 구성된 슈퍼대의원도 305명을 확보해 힐러리 클린...

  • 과학 기타

    자동차 엔진은 어떤게 있지?…"휘발유·경유 안쓰는 차도 있네"

    최근 원유가가 배럴당 120달러 선을 넘으면서 국내 휘발유와 경유 소매가도 ℓ당 1800원을 넘었다. 지난 22일 0시를 기해 경유가격이 휘발유 가격을 추월하는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5년 내 배럴당 유가가 500달러에 육박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유가 상승은 자가 차량을 가진 사람들에게 민감한 부분이다.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를 넘을 경우 휘발유나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가 아닌 전기나 바이오 연료를...

  • 경제 기타

    펀드는 돈을 굴려 수익금을 나눠주는 것

    주식뿐만 아니라 부동산 금 원유 와인 물 등 투자대상도 가지가지 '1가구 1펀드'란 말이 보여 주듯 국내 펀드시장은 최근 수년간 눈부신 성장을 보였다. 그러다 보니 종합지나 경제지 할 것 없이 펀드 관련 기사를 비중있게 다룰 수밖에 없다. 신문 지면을 보다 보면 머니마켓펀드(MMF), 채권형펀드, 주식형펀드, 해외펀드 등 다양한 펀드들이 등장한다. 중국 브릭스 프런티어마켓 펀드 등 지역 이름을 딴 펀드들도 수두룩하다. 펀드에는 어떤 게...

  • 경제 기타

    서울도심 혼잡통행료 부과 타당하나요?

    찬 "백화점 세일기간 교통정체 불러 큰 불편" 반 "교통량 줄이자고 소비활동 가로막는 격" 서울시가 대형 건물 69곳을 교통혼잡 특별관리 시설물로 지정하고, 이르면 10월부터 이곳에 진입하는 차량에 통행료 4000원을 부과하겠다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도심 혼잡통행료 부과 문제가 도마에 오른 것이다. 서울시는 도심 교통혼잡을 줄이기 위해 교통량을 과다하게 일으키는 시설의 출입 차량에 통행료를 물리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 AP·CE제도 우리도 적극 활용하자

    '수월성 교육' 지름길…대학 학비 줄이는 이점도 지난 4월16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학교 자율화 정책을 발표한 데 이어 여러 시·도 교육청에서 후속조치를 발표하자,사회 각계 각층에서 그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나섰다. 정진화 전교조 위원장은 청와대 앞에서 단식 농성을 펼치며,"학교 자율화는 99%의 아이를 방치하고 포기하는 일"이라며 정부의 교육정책을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 반면 고등학생 아들 딸을 둔 한모씨(42·여)는 "어차피 사...

  • 경제 기타

    광우병 진실을 알고 싶다

    국민들이 무엇을 원하는가?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진실' 하나뿐…. 미국산 쇠고기 수입협상에 대한 논란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핵심문제인 쇠고기 수입 반대를 벗어나 반미감정 악화,이명박 정부의 정책 비판,120만명의 탄핵서명운동에 이르렀다. 특히 전국적으로 일어난 촛불시위는 남녀노소 할 것 없는 많은 국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는 적극적으로 국민들이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뒤늦게 청문회가 열렸지만 동문...

  • 경제 기타

    청소년 촛불 봉쇄에 앞서 쇠고기 오해부터 풀어야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반대 여론이 거세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는 2006년부터 논의되어 왔으며,찬반 논란도 계속 이어져 왔다. 하지만 이번 쇠고기 협상 문제는 반대여론의 중심에 청소년들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과 큰 차이점이 있다. 서울 청계천 일대를 기점으로 시작된 쇠고기 반대 촛불문화제는 대전 중앙로,부산 서면 등지로 퍼져나갔으며 모든 현장에 교복을 입은 어린 학생들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미국산 쇠고기가 우리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