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박지원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하룻밤 아홉 번 강을 건너며

[친절한 금자샘의 교실밖 논술강의] 논제의 보물창고 고전수필 실전논술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朴趾源)은 청나라 고종의 칠순연을 축하하기 위해 파견된 사신 일행의 수행원으로 중국에 다녀온 견문을 「열하일기(熱河日記)」에 기록했다.

그 중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는 하룻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너면서 느낀 감회를 적고 있는데, 실제로 강을 아홉 번 건넜다기보다는 '아홉 구(九)'를 숫자의 의미보다 '많다'나 '지극하다'의 상징어로 봐서 강을 아홉 번 건넌 고난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박지원은 물은 늘 똑같이 흘러가고 물이 흘러가는 소리 또한 변함이 없으나 때로는 청아하게 혹은 두렵게, 또는 운치있거나 쓸쓸하게 느껴진다고 하였다.

듣는 이의 마음 상태에 따라 동일한 사물이라도 다르게 인식된다는 것이다.

다음 제시문을 읽고 올바른 인식이란 무엇이며,올바른 인식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 자신의 생각을 써 보자.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논술 문제에 답하시오.

강물은 두 산 사이에서 흘러 나와 바윗돌에 부딪혀,다투는 듯 거세게 흐른다.

놀란 듯한 파도,성난 듯한 물결,애원하는 듯한 여울물은,내달아 부딪치고,휘말려 곤두박질치며 울부짖고 고함치는 듯하여,항상 만리 장성을 쳐부술 듯한 기세가 있다.

전차(戰車) 만 대,전기(戰騎) 만 필,전포(戰砲) 만 문,전고(戰鼓) 만 개로써도,무너져 덮쳐 내리는 듯하는 소리를 충분히 형용(形容)하지 못할 것이다.

모래밭에는 거대(巨大)한 돌들이 우뚝우뚝 늘어서 있고,강둑에는 버드나무들이 어두컴컴한 모습으로 서 있어서,흡사 물귀신들이 다투어 나와 사람을 업신여겨 놀리는 듯하고,좌우에서 이무기들이 사람을 낚아채려고 애쓰는 듯하다.

어떤 사람은 이 곳이 옛 전쟁(戰爭)터이기 때문에 강물 소리가 그렇게 울린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것은 그런 때문이 아니다.

강물 소리란,사람이 그것을 어떻게 듣느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마음이 물소리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귀가 그렇게 소리를 만들어 주었을 뿐이다.

나의 집은 산중에 있는데,바로 문 앞에 큰 시내가 있다.

해마다 여름철이 되어 소나기가 한바탕 지나가고 나면,시냇물이 갑자기 불어나 전차(電車)와 전기(戰騎)와 전포(戰咆)와 전고(戰鼓)의 소리를 노상 듣게 되니,마침내 귀탈이 날 지경이었다.

일찍이,나는 문을 닫고 누운 채,그 소리를 다른 소리들에 비기어 들은 적이 있다.

솔숲에 바람이 불 때에 나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청아(淸雅)한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산이 갈라지고 언덕이 무너지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격분(激奮)해 있는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뭇 개구리들이 다투어 우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교만(驕慢)한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수많은 축(筑)이 번갈아 울어 대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성나 있는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순식간에 천둥 번개가 치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놀란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약한 불과 센 불에 찻물이 끓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운치(韻致) 있는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거문고가 낮고 높은 가락으로 잘 어울려 나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슬픈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종이로 바른 창문(窓門)에서 바람이 우는 듯하는 소리,이것은 뭔가 회의(懷疑)하는 듯하다고 생각하면서 들은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모두 소리를 제대로 들은 것이 아니라,다만 마음 속에 물 소리가 어떻다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귀에서 소리를 만들어 낸 것일 따름이다.

(중략)

옛적에 우(禹)가 강을 건너는데,누런 용(龍)이 등으로 배를 업는 바람에 대단히 위험했다.

그러나 사생의 판단이 먼 저 마음 속에서 분명해지자,용처럼 크든 도마뱀처럼 작든 간에 그의 앞에서는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았다고 한다.

소리와 빛은 외물(外物)이다.

이 외물이 항상 사람의 귀와 눈에 장애가 되어,바르게 보고 듣는 기능을 이처럼 잃게 하는 것이다.

하물며,사람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강물을 건너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스러울 뿐만 아니라,보고 듣는 것이 수시로 병이 됨에랴!

- 박지원의 <열하일기> 중, '산장잡기'에 실려 있는 '일야구도하기' 중에서

[논제] 제시문에 드러나 있는 사물의 인식 방법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사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가를 논술하시오.

(2005 서울대 정시 논술고사 문제 변형)

⊙ 예시 답안:김명준 (신림고)

사람들은 항상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또 그것에 의존하고 인식의 도구로 사용한다.

그러나 소리와 빛은 외물이라 항상 사람의 귀와 눈에 장애가 되어 바르게 보고 듣는 기능을 잃게 한다고 한다.

이러한 박지원의 인식방법에 대해 동의한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났을 때부터 모든 사물에 대한 타인의 주관이 머릿속에 자리를 잡게 된다.

때문에 사람은 모든 사물을 자신이 아닌 타인의 눈으로 보게 되고 타인의 귀로 듣게 된다.

이 때 사람들은 사물에 대해 고정관념을 가지고 그 고정관념은 곧 사물의 본질이 되어 버린다.

결국 사람은 사물의 전체 즉,본질을 보지 못하고 편협한 모습만을 보게 된다.

더욱이나 사람의 두려움,질투,분노 등의 좋지 못한 감정들을 가지고 사물을 본다면 더욱 왜곡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이런 견해는 한 사람이 아닌 사회,국가 전체로 넓혀서도 적용시킬 수 있다.

개인의 인식, 사회, 국가의 인식이 달라진다면 분명 이런 점들은 조금씩 개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을 바라볼 때는 마음가짐을 바로 하고 평정의 상태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평정의 상태에서 사물을 바라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대답은 간단하다.

무엇보다도 사물에 대한 자기 생각을 버리고 판단하지 않는 것이다.

⊙ 강평

위 논제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시문을 논제에 맞게 정확하게 읽어내어 박지원의 사물 인식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초반부에 밝히는 것이 좋다.

제시문에서는 강물 소리가 다르게 들리는 것은 듣는 사람의 마음에 따른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사물을 대하는 마음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외물에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위 학생의 경우에는 제시문의 핵심내용을 제대로 파악했고 초반부에 자신의 견해를 제시해주고 있다.

대부분 여기까지는 무난하게 쓸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사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쓰는 것이다.

사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이 우선이고 그 다음에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제시문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사물이나 현상을 새롭게 보는 태도가 필요한 것은 인간이 보고 듣는 행위는 불완전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즉 외물만 보거나 선입견,편견,고정관념이나 독단적 인식은 그릇된 인식이라는 것을 지적하고 이러한 그릇된 인식을 개선해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제시해야 한다.

위 학생의 답안을 보면,태어날 때부터 타인의 고정관념으로 사물을 보게 되었고 좋지 않은 감정으로 사물을 대한다면 더욱 사물을 왜곡되게 인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한 개인의 인식의 전환으로는 힘들고 사회,국가 전체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눈과 귀가 아닌 마음으로 사물을 보아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썼다.

이런 답안에 비해 위 학생의 답안은 훨씬 더 구체적이고 그릇된 인식의 원인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물에 대한 자기생각을 버리고 판단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도 좋다.

다만 아쉬운 점이라고 한다면,사물에 대한 자기생각을 버리고 판단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좀 더 명확히 제시를 해주지 못한 점이다.

같은 사물에 대해 각기 다른 인식이 왜 생기는지,사물의 본질은 고정되어 있는 것인지, 아니면 무한변화를 하는 것인지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본다면 더 좋은 답안을 쓸 수 있다.

백금자 신림고 교사

◆ 본면은 선생님들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논술과 관련된 주제로 글쓰실 분은 nie@hankyung.com으로 연락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