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논술이 두렵다고요?…'논술 거점학교'로 오세요
서울시교육청, 고3 대상 논술교육 거점학교 첫 운영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고 3학생들을 대상으로 2009학년도 대학별 수시·정시 논술에 대비하는 논술 교육 거점학교를 첫 운영한다고 지난주 밝혔다. 시교육청은 우선 코앞으로 다가온 수시 논술에 대비해 공모를 통해 강남·강동·성북 등 11개 지역교육청별로 고교 1곳씩을 논술 거점학교로 지정하기로 했다. 지정된 학교는 오는 21일부터 25일까지 비합숙으로 '논술교실'을 운영하게 된다. 운영 장소...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인플레시대 고통분담안 마련을
홍기택 <중앙대 교수·경제학> ☞ 한국경제신문 7월10일자 A39면 정부는 현 경제 상황을 위기로 규정했다. 심지어는 우리 경제가 국난 상황에 처해 있고 세계는 3차 원유파동의 문턱에 있다고 한다. 우리 경제가 어려운 건 사실이다. 그러나 1970년대 두 차례에 걸친 원유파동과 비교하면 아직은 사정이 나은 편이다. 1970년대의 원유 위기는 공급 교란에 의해 발생했다. 중동에서 전쟁이 터지고,민중혁명이 일어나 원유 공급이...
-
경제 기타
4인4색 대학생 생글기자 온라인 인터뷰
생글 수험생 여러분!! 여름방학 알차게 보내는 비법 들어볼래요? "와우 여름이다~." 지난 5일,동해안 대부분의 해수욕장이 개장을 하고 손님을 맞고 있다. 바다 근처 상인들에게는 1년 중 돈벌이가 가장 잘 되는 성수기다. 이에 못지 않게 수험생들에게도 1년 중 가장 중요한 기간이 여름방학이다. 학기 중에는 내신 때문에 수능 준비에 소홀했던 공부를 만회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름방학의 중요성은 다들 알고 있지만 어떻게 ...
-
2008학년도 서강대 수시 2-2 논술(인문 사회) 문제
<문제1 ; 30%, 500~600자> [가]에서 지적된 '연고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고 밑줄 친 부분의 의미를 실현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의 논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지 논술하라. 가 나와 절친한 관계에 있는 사람만을 사랑하고 타인에게 무관심할 때,이러한 사랑은 자칫하면 폐쇄적인 '집단 이기주의'로 변질되기 쉽다. 한국 사회의 병폐로 지목되는 '연고주의'나 '정실주의'는 바로 이러한 집단 이기주의의...
-
2008학년도 서강대 수시 2-2 논술(인문 사회) 해제
⊙ 서강대 논술의 특징 '2009학년도 서강대 논술 안내서'에 따르면 논술의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창의성을 들고 있다. 서강대의 경우 매년 논술시험에서 다양한 실험과 형식 변경을 통해 통합논술의 틀을 잡아왔다. 올해 논술은 작년 논술과 큰 차이 없이 출제되며,다만 인문 계열의 경우 경제 경영 계열 문제를 따로 출제하지 않고 인문논술에 통합된다는 것이 달라진 점이다. 올해 서강대에서 제시하고 있는 출제 방향의 특징을 보면 우선 논제와...
-
학습 길잡이 기타
편안한 글을 찾아서 ②
짧은 문장을 '大>中>小'로 푼다 구한말 3대 문장가 중의 한 명인 이건창은 '좋은 글'의 요건으로 '소리가 울려 아름다운 리듬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이것은 글을 읽을 때 자연스러운 울림과 함께 리듬을 타는 듯한 느낌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다음 글은 그 '울림'과 '리듬'에서 실패해 난삽한 문장이 됐다. # 미 하원 세출심의위원장 빌 토머스는 문제가 돼 온 수출 면세정책을 대다수 기업들의 법인세를 32%까지 낮추는 것을 포...
-
학습 길잡이 기타
'하여가'는 '아무튼가'? ②
'아무튼'과 호응해 쓰는 '간'이 앞말과 결합하는 유형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명사 뒤에 붙어 그 말이 나타내는 대상의 '사이'임을 뜻하는 경우. 즉 '국가 간,서울과 부산 간'같이 쓰이는 경우다. 둘째는 연결어미 '~든지 ~든지(또는 ~거나 ~거나)' 다음에 '-간에' 꼴로 쓰여 어느 경우든 상관 없이 문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가령 '좋든(지) 싫든(지) 간에/좋거나 싫거나 간에' 식으로 쓰인다. 이때 '-지'는 구어체 말이므로 생...
-
학습 길잡이 기타
14. 부당한 여성 차별 철폐를 주장한 '근우회'
도교의 '제물론(齊物論)' 내세워 형평 운동 실천 ⊙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우리나라는 부족국가(部族國家)가 성립되면서부터 여성의 지위가 점차 약화되어 조선 말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주체적 활동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다만 가부장적(家父長的)인 가족 제도하에서 오직 남성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로서의 여성의 지위만 인정되었다. 특히 고려 말 주자학(朱子學)의 도입 이후 유교사상(儒敎思想)의 강력한 영향을 받아 모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