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증시 패닉'…멀리보면 지금이 주식 살 때?

    증시가 속수무책의 급락세를 보이자 전문가들은 공포감이 지배하는 증시에서 살아남는 방법으로 △단기 매매 자제 △장기적 안목 갖기 △저PER(주가수익비율) 종목 피하기 △현금 풍부한 종목과 경기방어주 주목 등을 제시했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와 관련된 부실이 금융위기로 번져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면서 그 여파로 글로벌 경제가 침체되는 것은 예견된 일이었다. 문제는 예상보다 빨리 불황의 그림자가 증시를 덮친 것이다. ...

  • 과학 기타

    우리나라도 우주시대 열리나

    첫 소형 위성발사체 'KSLV-Ⅰ' 공개 나노우주센터 발사대 건설 마무리 전라남도 여수공항에서 차로 2시간 남짓 더 내려가면 고흥군 봉래면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에 도착한다.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안에 건설되고 있는 나로우주센터는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발사장으로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이곳에서 우리땅에서 처음으로 쏘아 올릴 소형위성발사체 KSLV(Korea Space Launch Vehicle)-Ⅰ이 지난 16일 처음 공개됐다. ⊙ KSL...

  • 경제 기타

    근·현대사 교과서 수정문제로 시끄러운데…

    찬 "자학적 역사관 바로잡고 국가 정통성 세워야" 반 "現 교과서 금서 취급은 정치 권력 눈치보기" 근·현대사 교과서 수정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고교 역사교과서 수정을 위한 49개 항의 '서술 가이드라인'을 내놓았으며, 교육과학기술부 또한 '역사교과서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개별 표현을 심의하고 11월 말까지 최종안을 마련한 뒤 내년 3월부터 수정된 교과서를 활용한다는 일정을 마련했다. 근·현대...

  • 제6회 생글논술 경시대회 3400여명 참가

    고1,2 기준 5회대회 보다 소폭 늘어…중등부 첫 실시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한 제6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지난 18일 서울 건국대와 전국 60여개 학교에서 3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치러졌다. 대입 수시와 수능으로 바쁜 고3을 제외하고 고1,2와 중학생을 대상으로 치러진 이번 생글논술 경시대회 참가인원은 지난 상반기 5회 대회의 고1,2 참가 인원(3200여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개인 응시생 340명이 시험을 친 건국대에서는 이른 아침부터...

  • 제6회 생글 논술 경시대회 인문계 고 1·2 유형 문제

    인터넷이 민주주의의 발전을 가져오는가?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많은 사이버스페이스 옹호자들에게 새로운 디지털 공간은 속세에서 보다 나은 삶을 실현할 수 있는 장소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천국과 같은 사이버'의 꿈은 단순히 도피주의적인 영생이나 신비주의적인 전지(全知)를 위한 것이 아니다. 사이버스페이스는 인간 상호 간의 관계와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그럼으로써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

  • 제6회 생글 논술 경시대회 인문계 고 1·2 유형 해제

    사이버 공간이 더 민주적이라 할 수는 없다 ⊙ 출제 의도 '아고라'는 미디어다. 2008년 대한민국의 아고라는 많은 사람들이 '모인' 공간이다. 그리스의 아고라가 현실세계의 물리적 공간이었다면 대한민국의 인터넷 토론방 아고라는 사이버스페이스에 존재하는 가상공간이다. 이곳에서 대화와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쌍방향적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정보의 흐름이 일방적이던 기존의 매체와는 달리 인터넷에서는 네티즌이 정보 공급과 수용의 주체가 될 수 ...

  • 경제 기타

    열린 기아체험은 살아있는 교육

    지난 11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12시간 동안 서울고에서 '서울고와 국인이 함께하는 열린 기아체험'행사가 열렸다. 세계 최대 기독교 NGO 해외아동 결연후원인 월드비전이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서울고 1,2학년 학생 300명과 국인 36명이 참가했다. 국인은 국가적 인재,국제적 인재의 줄임말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에서 수시 합격생인 우수 예비대학생을 대상으로 서류와 면접 등을 통해 선발한 학생들이다. 이들은 2월에 중국 시장경제 연...

  • 경제 기타

    학교 수업과 인터넷 강의는 보완재

    명지외국어고등학교 야간자습시간 도서관은 귀에 이어폰을 꽂은 채 공부하는 학생들로 가득하다. 그들 가운데서 자습서와 PMP(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번갈아 보며 공부하는 학생들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PMP에 다운로드한 인터넷 강의를 듣고 있다. 학생들이 매일 학원을 다닐 수 없는 기숙학교에 있기에 이러한 인터넷 강의는 학교 수업을 보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기를 끈다. 학교 수업은 시간과 장소가 정해져 있지만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