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노벨상 자연과학 부문 휩쓴 일본…우린 뭐하지?

    창의력 키우는 교육과 정부 지원이 비결 올해 일본은 노벨상 자연과학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노벨상 수상자 발표 첫날인 6일 노벨생리의학상은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를 발견한 독일 하이델베르크 암연구센터의 하랄트 하우센 박사와 에이즈(AIDS)를 일으키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발견한 프랑스의 프랑수아 바레-시누시(파스퇴르 연구소),뤽 몽타니에(세계에이즈연구예방재단) 박사 등 3명에게 돌아갔다 다음 날 7일 ...

  • 경제 기타

    주가 떨어져서 돈 번 '청개구리' 펀드도 있네!

    리버스인덱스 파생펀드, 주가 하락에 베팅…연 수익률 39%도 증시가 '밑빠진 독에 물 붓기'다. 작년 11월을 고점으로 코스피지수는 연일 내리막이다. 1500선이 마지노선이라고 했던 증권사들은 이제 1300선에서 맴돌고 있는 지수를 보고 저점 논의는 무의미하다는 식으로 말을 바꿨다. 국내 상황만은 아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로 시작된 미국발 금융위기가 전 세계에 퍼지면서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번졌다. 이 세계적인 금...

  • 과학 기타

    깊은 바닷속 새로운 해양생명체를 찾아서…

    식품·의학·바이오 등 생명공학 주요자원으로 급부상 지구는 다른 행성과 달리 해양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양은 지구표면적인 5억1000만㎢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3억6000만㎢를 차지한다. 바다 전체의 평균 수심은 3962m로 알려져 있다. 가장 넓은 태평양의 평균 수심은 4701m이며 북극해가 1205m로 가장 낮다. 바다가 광활한 만큼 각 대양에 담겨 있는 바닷물의 양도 엄청나다. 해양이 없었다면 지구는 다른 행성처럼 생...

  • 학습 길잡이 기타

    (이週의 칼럼) 대박과 거품의 기나긴 역사

    정규재 <논설위원·경제교육연구소장> ☞ 한국경제신문 10월7일자 A38면 로마 사람들은 투기꾼을 '그라시'(Graeci)라고 불렀다. 그라시는 그리스 사람이라는 뜻이다. 로마 시대에도 투기꾼이 있었다는 것에 놀라지 말자. 국제 원거리 무역에 따르는 환어음 결제에서부터 무역 위험을 헤지하는 다양한 보험형태의 파생상품들까지 지금 있는 것은 그 시대에도 당연히 존재했다. 드넓은 제국의 조세 징수권은 그 자체로 매력적인 투기 상...

  • 경제 기타

    일제고사 실시하면 안되나요?

    찬 "학생의 실력 정확히 판단해 수준에 맞게 교육" 반 "과열 경쟁 유발하고 학생·학교간 서열매길 것"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서울지부와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등 6개 단체로 구성된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서울시민모임'이 일제고사 형태로 치러진 초등 3학년 대상의 기초학력 진단 평가를 거부하고 생태체험학습을 강행한 것을 놓고 논란이 뜨겁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시험을 보지 않기 위해 학생들과 체험학습을 떠나거나 학생들끼리 서로 의...

  • 잘하는 이에게 당근… 못하는 이에겐 채찍을…

    대학가 '개혁의 바람'…경쟁·성과보상 체계 잇단 도입 #1. 서울대는 지난달 25일 인사위원회를 열어 정교수 승진 및 정년보장 심사 대상자 81명 중 47명(58%)만 승진시켰다고 밝혔다. 81명 대상자 중 32명이 심사받기를 포기했다. 나머지 49명 중 2명은 승진을 포기하지 않았으나 심사 결과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는 이유로 탈락했다. 이에 따라 서울대의 정교수 승진율은 2006년 72.8%에서 지난해 63.9%,올해 53.8%로 큰...

  • 학습 길잡이 기타

    고려대학교 2009 모의 논술(인문계) 논제 3번 문제

    "수리적 논제 겁먹지 마라"…정확히 읽기만해도 풀린다 라 학습을 통한 개체 특성의 변화는 인간 사회에서 진화가 발생하는 하나의 방식이다. 개체 특성의 변화에 따라 사회 전체의 특성도 변화할 것이다. 다음은 학습의 한 형태를 기술하고 있다. 어떤 한 사회의 구성원들을 '혁신가'와 '모방자'의 두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하자. 혁신가는 비용을 들여서 새로운 지식을 획득한 후 그에 근거하여 사회 생황을 영위하며,모방자는 스스로 지식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고려대학교 2009 모의논술(인문계) 논제 3번 해제

    "실전에서도 수리적 이해 묻는 논제 나올 것이다" 언어의 귀재이든,외국어라고는 전혀 경험한 적이 없는 이건 누구나 최소 두 가지의 언어를 사용한다. 하나는 모국어이고,또 다른 하나는 숫자와 도식이다. 수식 또한 하나의 언어이다. 그를 매개로 사고하고 교류하기 때문이다. 유치원에 들어가기 이전부터 깨우치고 활용하는 언어가 바로 수학적 언어이다. 기초적인 셈을 배우고,주위의 사물을 계량하는 순간부터 이미 수학적 언어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