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디자인은 생활속에 존재하는 공기 같은 것
2010년 세계 디자인 수도로 선정된 서울시에서 이달 10일부터 30일까지 잠실 종합운동장 및 서울 도심에서 '제1회 서울 디자인 올림픽'을 열고 있다. 서울시는 2010년까지 1329억원을 투입해 서울시내 10곳을 디자인 거리로 조성할 계획이며, 관광도시로서의 품격을 높이기 위한 발판으로 이번 올림픽을 개최했다. 서울 디자인 올림픽 주최 측은 경계 없이 융합하고 흐르는 최신 디자인 트렌드를 경험케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한다. 이번 서울...
-
경제 기타
지역별 작은 축제속으로 여행을 떠나자
여름에는 바닷가 피서지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가을에는 단풍이 드는 산으로 관광객이 모여든다. 여름에는 학생들이 방학이기 때문에 가족끼리 집에서 떨어진 곳으로 피서를 떠날 수 있었다. 그러나 요즘 부모님들은 회사 일이라든지 일상생활에 바쁘고 아이들은 학교 다니느라 정신없어 가족끼리 놀러갈 엄두도 못 낸다. 가까운 곳에 간다고 해도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막상 가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는 비용이 들지 않으면서도 가족끼리 시간을 보낼 ...
-
경제 기타
넘치는 정보…진위 가리는 지혜가 필요
정보의 홍수시대라고 한다. 이는 정보가 넘쳐날 정도로 많다는 의미지만, 그 정보에 진실과 거짓이 섞여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의 홍수'가 일어나는 장소, 즉 사이버상은 정보의 확산이 빠르고, 그 왜곡과 변형이 쉽게 일어난다. MBC PD수첩이 대표적인 예다. 올해 우리나라를 들썩이게 한 광우병 파동을 보자. 미국산 소 수입 문제는 PD수첩의 오보로 급속히 퍼져나갔다. 잘못된 영문 해석과 앞뒤를 잘라버린 자료화면...
-
경제 기타
내신 등급제로 학교 교실에 친구가 없어진다
학교 교실에 친구가 없어지고 있다. 내신 등급제 때문이다. 이는 2008학년도부터 달라진 입시제도가 처음 시작하던 2005년부터 벌어진 교실 풍경이다. 1등급을 받기 위한 학생들의 노력은 필사적이다. 친구가 보지 못하게 하기 위해 학교에 가져가는 참고서의 겉장을 찢기도 하고, 공책을 빌려주는 일에 인색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행스럽게도 2009학년도부터 수능 등급제는 바뀌었지만, 내신 등급제는 그대로 시행되고 있다. 내신 등급제...
-
경제 기타
학생들이 학원으로 내몰리는 진짜 이유
학교 야간 자율학습 시간. 몇몇 빈자리가 보인다. 야간 자율학습을 이용해 학원에 간 학생들의 자리다. 야자가 끝난 후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등에 무거운 가방을 메고 학생들의 발걸음이 향하는 곳은 집이 아니라 학원이다. 우리나라의 사교육비는 연간 20조에 육박하고 있으며, 입시학원만 3만여개가 넘는다. 이러한 사교육 과열화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이명박 대통령은 학원비 경감 종합대책을 지시했다. 그러나 학생들 사이에서 사교육...
-
2009 수능 D-24일…'메가스터디'가 전하는 마무리 전략
마지막 1분 1초가 당락 가른다…'숨은 점수' 내 것으로 만들자 2009학년도 수능 시험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이제 남은 기간 마무리만 잘 해도 실질적인 점수 상승을 꾀할 수 있다. 수험생들은 숨은 점수를 찾아내겠다는 각오로 수능 마무리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온라인 교육기업 메가스터디( www.megastudy.net ·대표 손주은)가 수능을 앞두고 수험생들이 남은 기간 꼭 기억하고 실천해야 할 5가지 지침과 수능 영역별...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건국대 수시 논술 문제
'미래에 대한 예측과 생각' 어떻게 글로 풀어나갈까? 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유럽 문명권 주도의 근대를 대신할 수 있는 다음 시대가 어떤 시대인가 분명하지 않고,다음 시대의 사회나 문화의 구조를 납득할 만하게 제시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 때문에 역사의 미래를 설계하는 거대 이론에 대한 기대는 헛되다고 할 수는 없다. 인류 역사의 과거에도,고대인이 중세를,중세인이 근대를 예견하고 설계하는 것은 참으로 ...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건국대 수시 논술 해제
적절한 스토리를 짜서 서론-본론-결론으로 구성해야 제시문을 2개씩 묶어서 문제를 따로 냈던 예상문제와 달리 문제를 모두 하나의 주제로 묶고 제시문의 연관성을 높이는 바람에 피부로 느껴지는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진 문제였다. 실제로 예상문제나 기출문제로 준비했던 학생들은 갑자기 높아진 난이도로 당황했을 법하다. 2000자에 3시간을 준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었나? 이것은 아마도 건대가 난이도를 높인 이유에는 지원자가 지나치게 많은 덕에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