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디자인 서울'에 한숨 쉬는 길거리 상인들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ISCID)는 2007년 10월20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ISCID 총회에서 서울시를 2010년 세계디자인수도(WDC)로 최종 선정했다. 세계디자인수도는 디자인 성과가 뛰어나거나 디자인을 통해 발전을 이룬 도시에 ISCID가 2년마다 국제 경쟁을 통해 선정, 수여하는 것으로 2008년에 이탈리아의 토리노가 선정된 바 있다. 심사위원인 독일의 Peter Zec WDC 창립의장은 "서울의 디자인 비전과 괄목할 만한 발전...

  • 경제 기타

    람사르 총회 주객 전도…대회보다 공연이 더 인기

    한국'환경 외교'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가 창원에서 열리고 있다. 환경 올림픽으로 불릴 만큼 큰 규모의 국제회의이기 때문에 몇 개월 전부터 창원,마산 등 지역자치단체들은 사전 행사로 분주했다. 환경 영화제, 세계 환경연극제, 창원 페스티벌 등 각종 '성공개최기원'행사들이 총회 전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홍보 역할도 톡톡히 해냈다. 유명 가수들이 초청된 '람사르 총회 축하 음악회' 역시 주목받는 행사 중 하나...

  • 경제 기타

    치열한 토론 대회…승리보다 배우는 자세 돋보여

    지난 10월25일,신일고에서 서울시교육청 주최 제1회 서울 고등학교 토론대회가 열렸다. '지성과 열정, 냉철한 논리의 큰 잔치'란 슬로건을 내 건 이 대회는 서울시 관내 23개 지구별 예선대회에서 각각 1위를 차지한 고교 재학생(3인 1팀)들이 참여했으며 인문계, 실업계, 특목고가 모두 함께한 진정한 서울 고등학생의 잔치였다. 치열한 경쟁 끝에 첫 대회 대상의 영광은 현대고에 돌아갔다. 그러나 토론자들은 결과보다는 이 대회를 자신들의 배움...

  • 경제 기타

    논문 작성하며 논술 실력 키우는 상산고의 '개인 연구'

    논술 교육을 위해 일선 학교에서 외부 학원 강사를 초빙하거나 아예 학생들을 사교육 현장으로 내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도 단지 글쓰기의 요령만 중시하고 정작 글에 담길 내용이나 글을 구성하는 기본 능력은 등한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전주 상산고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 연구'수업을 하고 있다. 매주 한 시간씩 마련되는 개인연구 시간은 학생들의 자기탐구능력 향상과 표현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1학기에...

  • 열흘 앞으로 다가온 수능…"잘 먹어야 잘 싸운다"

    고3 수험생들 영양 챙겨야…단백질·비타민B 등 도움 사람의 뇌는 포도당을 연료로 이용하므로 아침 밥을 굶으면 학습과 기억 집중력이 떨어진다. 더구나 저녁 식사 후 12시간 이상 공복 상태로 지내면 육체적 정신적 피로가 가중돼 면역력이 크게 줄어든다. 아침 식사는 적은 양이라도 반드시 먹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시험 당일도 아침을 꼭 먹도록 한다. 아침 입맛이 없을 때에는 야채죽과 닭죽 잣죽 호도죽 등 죽을 먹는 것도 한 방법이다. 반대...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서강대 모의논술 문제

    현대 문명 상황에서 인간은 어떤 선택을 해야하나? 가 나 비생산적인 경제 문화는 가난한 나라들의 지식 및 개선 능력 부족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국민은 종종 소외되고 대체 행동이 있는지도 알지 못했다. 기술 변화의 속도는 너무 느려서 기술적 후진성, 혹은 뒤늦은 채택의 비용은 오늘날처럼 그렇게 극적이지 않았다. 그렇게 하여 나쁜 정치를 더욱 부추겼다. 경제,경영관리 지식은 비교적 천천히 확산되었고 해외 투자도 아주 부진했다. 기업 ...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서강대 모의논술 해제

    빤히 알고 있는 사실까지도 의심해야 한다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라고 했으니 맘편히 놓고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면 된다. (나)와 (다)는 논지만 나와 있을 뿐이지 근거는 나와 있지 않으므로 자신만의 근거를 내세우고 선택해야 한다. 이렇게 자신의 의견을 논술하라고 주문했으므로 적극적으로 <나는>이라는 주어까지 사용하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문제 의도를 본다면 이 문제는 그다지 까다로운 문제가 아니다. 제시문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67. '광복'과 해방②

    '광복'은 능동을, '해방'은 피동을 부른다 올해 8·15는 여느 해와 좀 다른 곤욕을 치렀다. 8월 15일은 익히 아는 대로 '광복절'이지만 이를 '건국절'로 바꾸자는 법안이 국회에 제출돼 큰 논란을 일으켰다. 광복(光復)의 일반적인 의미는 '빼앗긴 주권을 도로 찾음'이다. 하지만 이 말이 날을 뜻하는 '광복절'로 쓰이면 이는 '우리나라의 광복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국경일''1945년 8월15일,우리나라가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빼앗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