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꿈꾸기 위해 필요한 2가지, 돈과 자기만의 방
<자기만의 방>은 버지니아 울프가 ‘여성과 픽션’을 주제로 한 강연 요청을 받고 쓴 에세이로, 1929년에 발표했다. ‘여성이 창작을 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여성들의 창작 환경은 어떠한지, 어떤 각오로 나서야 하는지’를 담았다. ‘20세기 페미니즘 비평의 선구자’라고 불리는 버지니아 울프는 비평가이기에 앞서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파도> 같은 뛰어난 작품을 발표한 소설가다.당시 영국 여성들의 상황을 소개하며, 이 책은 “1866년 이래 영국에는 여성을 위한 대학이 두 곳 있었고, 1880년 이후 기혼 여성이 자신의 재산을 소유하도록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1909년 여성이 투표권을 얻었고, 대부분의 전문직이 개방된 지는 대략 10년 정도 되었다”고 소개했다.버지니아 울프는 ‘여성과 픽션’ 강연 서두에 “여성이 픽션을 쓰기 위해서는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고 전제했다. 당시 대부분의 여성은 아이를 낳고 가사를 하며 남편을 도왔다. 할 수 있는 일이라곤 노부인에게 책을 읽어주거나 조화를 만들고, 유치원 아이들에게 철자법을 가르치며 몇 파운드 버는 정도였다.여성의 지위가 형편없어서 도서관 입장도 ‘연구원을 동반하거나 소개장을 소지’해야 가능했다. 힘들게 도서관에 들어간 버지니아 울프는 남성들이 쓴 여성에 관한 엄청나게 많은 책을 보고 경악했다. “대부분의 여성은 성격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라브뤼예르), “여성은 교육받을 수 없다”(나폴레옹), 여성을 경멸한다(무솔리니)는 내용부터 여성을 찬미하는 괴테까지 여성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난무했다. 여성은 남성을 2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수능전 마지막 모의고사…"수험생 여러분, 화이팅!"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됐다. 지난 3일 서울 금천구 금천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뉴스1
-
시사·교양 기타
가격 차별에 숨은 원리
주니어 생글생글 제176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가격 차별입니다. 똑같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판매하는 장소에 따라서, 시간에 따라서, 소비자가 누군지에 따라서 달라지는 사례를 일상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영화관의 조조할인이 대표적입니다. 그와 같은 가격 차별이 이뤄지는 이유는 무엇이며, 소비자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봅니다.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 학보 수습기자의 치열했던 여름방학
수능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지금, 수험생 여러분은 곧 경험할 대학 생활을 머릿속에 그리며 힘든 시기를 이겨내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대학생의 방학은 중고등학생 때보다 훨씬 자유롭고 다양한 활동으로 채울 수 있습니다. 저는 경희대 학보사인 ‘대학주보’에서 수습기자로 활동하며 지난 여름방학을 보냈습니다.고등학교 때부터 언론인이 되고 싶었고, 그런 꿈을 안고 대학에 입학한 저는 학보사 활동을 꼭 해보고 싶었습니다. 학보사는 동아리와 달랐습니다. 2주에 한 번 신문을 발행해야 하고, 중간중간 온라인으로 내보낼 기사를 준비해야 했습니다. 매일 기삿거리를 찾아 발표하고, 팀별로 회의하며, 교내 이슈를 찾았습니다. 기삿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평소 가 보지 않던 학과의 건물에도 들어가 보고, 무심코 지나치던 게시판도 유심히 살펴보며 걸었습니다.인터넷에서 뉴스를 읽을 때도 어떤 사건 혹은 사회적 흐름이 우리 학교와는 어떻게 연결될까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어느 순간 학보에 기사를 쓴다는 것은 단순한 글쓰기가 아니라 우리 학교의 하루하루를 역사에 남기는 일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기사를 쓰기 위한 취재 과정은 쉽지 않았지만, 그만큼 보람찼습니다. 학교 내 관련 부서에 전화를 걸어 정보를 확인하고, 학생 자치단체를 찾아가 학생들과 인터뷰했습니다. 작은 목소리도 기사화하면 의미가 생겼고, 지면에 실리는 순간 하나의 역사로 남았습니다. 기자는 누군가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사람이라는 점을 실감했습니다.가장 기억에 남는 경험은 ‘불교 열풍’을 다룬 기획 기사였습니다. 최근 20~30대에서 불교가 주목받는다는 뉴스를 보고, 우리 학교에도 이런
-
커버스토리
휴머노이드 로봇, 인간 대체 시작됐다
최근 중국에서 열린 ‘로봇 올림픽’이 큰 화제였습니다. 사람처럼 머리와 팔, 다리를 가져 ‘휴머노이드(humanoid)’라 부르는 로봇들이 운동회를 연 겁니다. 격투기 시합에 참가한 로봇은 훅에 어퍼컷, 니킥까지 날리며 흡사 사람을 방불케 했지요. 이들은 스스로 판단해 움직이는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을 갖췄습니다. 축구 경기에선 같은 팀 선수끼리 협력하고 상대 팀과는 경쟁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하네요.한편 현대차그룹 계열 로봇 회사인 보스턴다이내믹스가 홈페이지에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의 최신 영상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사람이 작업을 방해해도 스스로 문제를 풀어가며 공구 통을 정리하는 아틀라스의 모습을 선보였죠. 현대차는 오는 10월 미국 조지아주 공장의 생산 공정에 아틀라스를 시범 투입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마침 우리나라 정부도 경제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앞으로 5년 내 ‘휴머노이드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전략을 내놓기도 했습니다.휴머노이드 로봇이 생활 현장에서 인간의 삶을 돕고, 생산 현장에서 인간 노동력을 대체하는 시대가 현실로 다가옵니다. 이런 기능의 로봇이 상용화하는 원년이 바로 올해라고 합니다. 휴머노이드 로봇을 왜 ‘로봇의 미래’라고 부르는지, 기술 수준은 어디까지 발전했는지 4·5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AI 두뇌 얻게 된 휴머노이드 로봇 인간 뛰어넘는 '싱귤래리티' 올 수도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이란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힌트는 휴머노이드라는 말에 있습니다. 이는 ‘사람(human)’과 ‘닮았다(oid)’라는 단어
-
숫자로 읽는 세상
특목·자사고 출신 SKY 신입생 줄었다
2025학년도 주요 대학 합격자 가운데 영재학교와 특목·자사고 출신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24일 종로학원이 전국 97개 영재학교와 특목·자사고 졸업생의 2025학년도 주요 10개 대학(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한양대 KAIST)을 분석한 결과 합격자 수는 872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9026명) 대비 3.4% 감소한 수치다.학교별로는 서울대(1372명) 고려대(1124명) 성균관대(1081명) 연세대(989명) 한양대(836명) 경희대(713명) 한국외국어대(710명) 중앙대(685명) KAIST(610명) 서강대(600명) 순이다.영재학교와 특목·자사고 출신 합격자가 전년 대비 늘어난 곳은 성균관대와 한양대 두 곳뿐이었다. 특히 성균관대는 전년 1063명에서 올해 1081명으로 증가하면서 합격자 수 기준 대학별 순위도 4위에서 3위로 올라섰다.순위 변동은 상위권 학생의 선호도 변화가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연세대는 신입생이 1년 동안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해야 하는 점이 일부 학생에게 부담으로 작용해 선호도가 낮아졌을 것”이라며 “성균관대는 반도체 계약학과와 첨단학과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특목·자사고 출신의 지원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주요 대학의 특목·자사고 출신 합격자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은 의대 선호 현상과 더불어 최근 대입에서 내신 반영 비중이 높아진 흐름과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입시에서 내신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성적을 받기 어려운 특목고 학생은 최상위권을 제외하면 상위권 대학 합격이 예년보다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대학이 내신이 높은 일반고 학생을 내신이 낮은 특목&mi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실전 수능 모드로"…현장 접수 5일 마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 원서 접수가 시작된 지난달 21일 광주광역시교육청에서 대입 수험생이 원서를 내고 있다. 응시 원서 온라인 사전 접수 기간은 9월 4일 오후 6시, 현장 접수는 9월 5일 오후 5시까지다. 연합뉴스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雅致高節 (아치고절)
▶한자풀이雅: 바를 아 致: 이를 치 高; 높을 고 節: 마디 절아담한 풍치와 고고한 절개매화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안민영 시조 '매화사'>아치고절(雅致高節)은 아치(雅致)와 고절(高節)을 합친 말이다. 고상하고 아담한 취향과 고고한 절개를 뜻하며, 매화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사군자(四君子)’로 통하는 매란국죽(梅蘭菊竹)은 고결한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동양 문화권의 상징물이다. 군자라고 불린 이유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의 아름다움을 높게 산 까닭도 있지만 각각 높은 기상과 품격을 지녔기 때문이다.매화는 고상한 자태와 기품의 아치고절(雅致高節), 난초는 청아한 외관과 올곧은 품성의 외유내강(外柔內剛), 국화는 굳건하고 오뚝한 절개의 오상고절(傲霜孤節), 대나무는 한결같은 지조의 세한고절(歲寒孤節)의 품격을 지닌 것으로 표현된다.고종 때 안민영이 지은 시조 ‘매화사’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빙자옥질이여 눈 속의 네로구나/ 가만히 향기 노아 황혼월을 기약하니/ 아마도 아치고절(雅致高節)은 너뿐인가 하노라.”매화는 시서화(詩書畵)에서 주로 겉모양이 고상하고 담백한 느낌이 있고 기품이 느껴지는 자태로 표현된다. 은근하고 그윽한 분위기를 자아내 깊은 인상을 준다. 얼음같이 투명한 모습과 옥과 같이 뛰어난 바탕이라는 뜻인 빙자옥질(氷姿玉質), 신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선자옥질(仙姿玉質), 은은한 향기가 떠다닌다는 암향부동(暗香浮動)은 모두 매화를 이르는 말이다.문학작품이나 서화 예술은 심상(心象)과 생태적 기질 등에 착안한 이미지를 글로 묘사하거나 그림으로 그려낸다. 참고로 대나무는 볏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