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문제] A국의 경제가 침체 상태인데도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 이 상황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한다.② 대규모 자연재해로 발생하는 때도 있다.③ 갑자기 수출이 감소하면 이런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④ 총공급곡선(AS)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⑤ 구리나 철광석 같은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해설] 총수요-총공급 이론에서 총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물가가 상승하고 경기가 침체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른다.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의 요인에는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대규모 자연재해, 전쟁에 따른 공급망 충격, 노동생산성을 초과한 과도한 임금상승 등이 있다. 총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1970년대 석유파동이 대표적 사례다. 한 국가의 수출 감소는 한 나라의 총수요(AD)를 줄어들게 하므로 물가가 하락하면서 불황이 나타난다. 정답 ③[문제] 가격하한제를 잘못 설명한 것은?① 공급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다.② 시장에서 물량 부족 현상이 발생한다.③ 수요자가 지불해야 하는 법정 최저가격이다.④ 시장가격이 낮다고 판단할 때 사용되는 제도다.⑤ 최저임금제나 농산물 최저가격제가 대표적 사례다.[해설] 가격하한제란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도다. 최저가격제라고도 한다. 이는 시장에서 공급자를 보호하기 위해 수요자가 지급해야 하는 최소한의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생산요소시장 중 노동시장에서 노동을 공급하는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해 실시하

  • 경제 기타

    돈은 계속 돈다?…지역화폐에 대한 오해들

    한 여행객이 10만원을 내고 어느 마을의 호텔 방을 예약했다. 이 호텔은 근처 가구점에서 10만원짜리 침대를 샀다. 가구점 주인은 치킨집에서 치킨을 10만원어치 주문했고, 치킨집은 문구점에서 10만원어치 물품을 구입했다. 이런 식으로 돈이 한 바퀴 돌아 마을 상권에 활기가 돈다는 아름다운 얘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과거 페이스북에 올린 ‘기본소득 그림’의 내용이다. 이 대표가 ‘전 국민 25만원 지역화폐’를 추진하면서 이 그림이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다시 화제가 됐다. 한 번 뿌린 돈이 계속 돌고 돌아 상권을 살리는 ‘경제의 영구기관’은 가능할까. 무한 동력 창조경제?지역화폐로 소비를 활성화한다는 아이디어는 승수효과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 승수효과란 정부 재정 지출이 최초 지출 금액보다 큰 폭으로 총수요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 여행객이 호텔 방을 예약하면서 지출한 돈 10만원이 호텔에서 가구점으로, 가구점에서 치킨집으로 옮겨 가면서 전체 소비가 20만원, 30만원으로 늘어난다는 것이다.승수효과는 한계소비성향, 즉 추가로 얻은 소득 중 소비에 쓰는 금액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승수효과의 크기는 1÷(1-한계소비성향)으로 계산한다. 앞서 든 예시처럼 호텔, 가구점, 치킨집이 추가로 번 돈을 전액 소비에 쓴다면 한계소비성향은 100%이고, 승수효과는 무한대가 된다.이렇게 돈이 무한히 돌고 도는 경제는 외부에서 한 차례 동력을 전달받으면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 없이도 영원히 작동할 수 있다는 영구기관을 연상시킨다. 실제 물질계에서 영구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 기관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마찰열 등으로 열 손실이 발생해 처

  • 경제 기타

    컴퓨터가 1백만년 걸릴 계산, 양자컴은 하루 만에

    양자역학과 관련된 지문은 수능 모의고사에 종종 등장해왔어요. 2018년 9월인 양자역학의 핵심 개념인 ‘중첩’과 ‘얽힘’에 대해 설명하고 양자컴퓨터의 등장 가능성을 다루는 지문이 나왔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양자컴퓨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기술 관련 비문학 지문이 수능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양자컴퓨터란 무엇일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컴퓨터는 0과 1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이진법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Qubit)라는 단위를 사용해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 큐비트는 0과 1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중첩’ 상태가 가능하죠. 예를 들어 미로를 찾는다고 해요. 일반 컴퓨터는 길을 하나하나씩 찾아가야 하지만 양자컴퓨터는 동시에 수많은 길을 탐색합니다. ‘얽힘’은 서로 멀리 떨어진 큐비트가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특성이죠. 데이터 공유 속도가 빨라지면서 연산 속도가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어떤 암호를 해독할 때 일반 컴퓨터로 수년이 걸릴 문제를 양자컴퓨터로는 수초 내에 해결할 수 있죠. 예를 들어 300자리 정수로 이루어진 1000비트의 숫자를 소인수 분해할 때, 기존 컴퓨터는 약 100만 년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양자컴퓨터는 성능에 따라 1초에서 1일 이내 계산이 가능해요.데이터베이스 탐색 속도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집니다. 인공지능 속도 또한 비약적으로 빨라진다는 뜻이죠. 구글은 자신들이 개발한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슈퍼컴퓨터가 1만 년 걸릴 연산을 200초 만에 해냈다고 발표하기도 했어요.양자컴퓨터의 연산은 큐비트를 구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많은 기관에서 큐비트 생성 방법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공동체 지키는 국가, 권력남용해 개인 자유 침탈도

    논술에서 종종 출제되는 문제 중 국가 중심의 질서에 관한 쟁점도 빼놓을 수가 없겠군요. 국가는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 존재하지만, 때때로 권력을 남용해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국가 중심의 질서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입장과, 오히려 국가의 권력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반대하는 입장이 대립하게 됩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실제 사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국가가 강력한 법과 제도를 통해 사회질서를 유지한 대표적 사례로 싱가포르를 들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엄격한 법률과 강력한 정부 통제를 통해 안정적인 사회를 구축한 나라입니다.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 쓰레기를 버리거나 껌을 씹는 것도 벌금 대상이 될 정도로 법을 엄격하게 운용합니다. 또한 마약 범죄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처벌을 적용하는 등 강력한 법 집행을 통해 범죄율을 낮추고 시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나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큰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이처럼 국가 중심의 질서는 공동체의 안전과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반면 국가가 지나치게 권력을 행사하며 개인의 자유를 억압한 사례도 있습니다. 대표적 예로 독일 나치 정권을 들 수 있습니다. 1930년대 독일에서는 히틀러가 국가권력을 강화하며 독재체제를 구축했습니다. 당시 독일 정부는 국가의 질서를 유지하고 국민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강력한 통제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정치적 반대 세력을 탄압하고, 유대인과 소수집단을 탄압하는 등 심각한 인권침해가 발생했습니다. 국가가 강한 권력을 가질

  • 영어 이야기

    매장을 확대한다고 표현할 땐 'ramp up'

    Using multiple measures, CU and GS25 both claim they are the No. 1 player in South Korea’s convenience store market.CU, operated by BGF Retail, says it is the top Korean convenience store chain in terms of store count and profitability. Meanwhile, GS Retail, the operator of GS25, asserts it is Korea’s No. 1 in terms of sales.CU has created and positioned mobile convenience stores at regional festivals and sporting events more than 20 times this year.The mobile stores, in the form of a modified 3.5-ton truck, sell products such as snacks, drinks and portable batteries in areas that lack convenience stores.In partnership with domestic pizza franchise GoPizza GS Retail opened stores where customers can pick up or order pizza for delivery.There are currently about 1,000 such locations and GS25 plans to ramp up those stores to 1,500 by the end of the year.CU와 GS25는 각각 다양한 기준을 근거로 한국 편의점 시장에서 자신들이 1등이라고 주장하고 있다.BGF리테일이 운영하는 CU는 점포 수와 수익성 면에서 한국 최대의 편의점 체인임을 강조한다. 반면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는 매출액 기준으로 국내 1위 편의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CU는 올해 지역 축제 및 스포츠 행사에서 20회 이상 모바일 편의점을 운영하며 시장 확장에 나섰다. 모바일 편의점은 3.5톤 트럭을 개조한 형태로, 편의점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스낵·음료·휴대용 배터리 등 필수 상품을 판매한다.GS리테일은 국내 피자 프랜차이즈인 고피자와 협력해 고객들이 매장을 직접 방문해 피자를 주문하거나 배달로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매장을 출시했다.현재 이러한 매장은 약 1000곳에 달하며, GS25는 연말까지 매장 수를 15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해설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유통업체 매출 현황’에 따르면,

  • 숫자로 읽는 세상

    추가모집에도 지방대 40곳 '정원 미달'

    올해 대입 추가 모집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한 지방 대학이 40곳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5학년도 추가 모집 마감 직전인 지난달 28일 오전 9시 30분 기준 정원 미달이 발생한 대학은 총 49곳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0곳은 지방권 대학이었다. 경인권 대학은 8곳, 서울권 대학은 1곳이었다. 이들 대학의 미선발 인원은 총 1120명이었다. 지방권이 1050명으로 절대다수였고 경인권은 36명, 서울권은 34명이었다.동일 시점 기준으로 지난해는 전국 51개 대학에서 2008명의 정원이 미달됐다. 지방권이 43곳(1968명), 경인권은 8곳(40명)이었다. 서울권은 한 곳도 없었다.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미충원 인원이 작년보다 감소한 데 대해 “지방권 소재 대학들의 모집 정원 감축과 정시에서 합격자 전화 통보 등의 적극적인 선발 노력이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추가 모집 경쟁률을 공개한 151개 대학의 평균 경쟁률은 19.2 대 1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권 28곳의 평균 경쟁률이 75.5 대 1로 가장 높았다. 경인권 37곳은 48.8 대 1, 지방권 86곳은 9.0 대 1로 수도권과 지방권의 격차가 컸다. 추가 모집 경쟁률이 가장 높은 대학은 한국항공대로 무려 328.5 대 1에 달했다. 이어 가천대(메디컬) 225.3 대 1, 아주대 203.8 대 1, 중앙대 202.4 대 1 순이었다.임 대표는 “특히 올해는 의대 정원 확대, 무전공 전형 신설·확대로 상위권 대학에서도 중복 합격에 따른 추가 합격이 대량 발생했을 것”이라며 “이에 일부 학과에서 정원을 못 채운 대학이 상당히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잃어버린 동심 찾아 5편의 동화 속으로

    장편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발표하면서 영국 최고 작가의 반열에 오른 오스카 와일드는 감옥에 갇히고 국적을 박탈당하는 수난을 겪었다. ‘사회현상을 예리하게 비판하는 천재, 반항아, 예술의 이단아’로 불리던 오스카 와일드는 살아생전에 배척받았지만 사후에는 삶과 작품이 새롭게 조명받으며 재평가가 이뤄졌다. 세상을 떠난 지 98년 만인 1998년 영국 노동당 정부의 주도로 런던 트래펄가 광장에 오스카 와일드의 동상이 들어섰다.아르헨티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오스카 와일드의 작품은 오래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늘 아침에 쓰인 작품일 수도 있다”라고 말해 그의 작품이 신선하고 호소력 있음을 밝혔다.오스카 와일드는 소설·희극·시·동화 등을 발표했는데 1888년에 낸 동화집 〈행복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에는 ‘행복한 왕자’, ‘나이팅게일과 장미’, ‘욕심쟁이 거인’, ‘헌신적인 친구’, ‘특별한 로켓 불꽃’까지 총 5편의 작품이 담겨 있다.행복한 왕자와 기특한 제비오스카 와일드의 작품 중에서 가장 널리 읽히고, 전 세계 많은 언어로 번역된 ‘행복한 왕자’ 속으로 들어가 보자. 생전에 행복하게 살았던 왕자가 죽자 그를 기념해 도시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동상을 세운다. 친구들이 다 떠난 뒤 혼자 남쪽 나라로 날아가던 제비는 해 질 무렵 왕자의 동상 발 사이에서 하룻밤 자고 가기로 한다. 잠잘 채비를 하는데, 물방울이 제비 몸 위로 뚝뚝 떨어졌고 주위를 둘러보던 제비는 동상이 눈물 흘리는 걸 알게 된다. 동상이 되어 비로소 세상을 둘러보게 된 왕자가 가난한 사람들을 보며 하염없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단어의 힘: '교각'은 '다리 기둥'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안성 고속도로 ‘교각 붕괴 사고’의 원인을 놓고 다양한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제 오전 경기 안성의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각 상판 구조물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경기도 안성의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교량이 무너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지난달 25일 경기 안성의 서울세종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교각 위 철근 구조물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언론들은 이 사건을 속보로 앞다퉈 내보냈다.‘교각 붕괴’와 ‘교각 상판 구조물 붕괴’언론사마다 사고를 조금씩 다른 말로 전하고 있는 게 눈에 띈다. 무너진 것이 교각인지, 교각 상판 구조물인지, 교량인지 제각각이다. 교각은 다리를 받치는 기둥을 말한다. 교각 상판 구조물이라면 다리 기둥, 즉 교각 위에 얹어놓은 보의 일종이다. 교량은 보통 완성된 다리를 가리킨다. 그러니 가장 가까운 표현은 교각 상판 구조물 정도일 것이다.‘교각’이 그리 어려운 말은 아니다. 그런데도 정확히 쓰지 않아 정보전달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교통사고 기사에서 특히 그렇다. 지난해 12월 21일 충남 공주시 대전·당진고속도로에서 일어난 유조 차량 사고에서도 같은 오류가 반복됐다. 이 사건에서 고속도로를 달리던 탱크로리가 눈길에 미끄러지면서 다리 난간에 부딪혀 4000L가량의 기름이 유출됐다. 많은 언론이 이를 “교각에 부딪혀…” 식으로 표현했다. 다리 위를 달리던 차량이 ‘교각’에 부딪힐 수가 없다. 마찬가지로 ‘교각 붕괴’와 ‘교각 상판 구조물 붕괴’는 전혀 다른 말이라 엄격히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