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과학은 사회와 동떨어 질 수 있나?
과학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이고 어떻게 봐야 하나. 과학은 진실만을 연구하고 전달하는가. 과학지식은 믿을만한 것인가. 지난 100년간 과학의 발전은 20세기를 완전히 딴 세상으로 바꿔 놓았다. 과학 발전과 함께 과학 기술이 우리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이전 세기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다. 그러나 정작 과학은 지나친 전문화와 세분화로 인해 보통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영역으로 바뀌고 있다. 심지어는 사회와 갈수록 동떨어...
-
경제 기타
미 첫 흑인대통령 후보 탄생하나
오바마와 매케인의 대결 구도로 압축 버락 오바마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46)이 11월 대통령선거 본선 티켓을 예약했다. 미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오바마는 지난 20일 켄터키주와 오리건주의 프라이머리(예비선거) 결과 1648명(CNN 집계 기준)의 선출대의원을 확보했다. 총 3253명인 선출대의원의 과반을 마침내 차지한 것이다. 주지사와 당 고위직 등으로 구성된 슈퍼대의원도 305명을 확보해 힐러리 클린...
-
경제 기타
펀드는 돈을 굴려 수익금을 나눠주는 것
주식뿐만 아니라 부동산 금 원유 와인 물 등 투자대상도 가지가지 '1가구 1펀드'란 말이 보여 주듯 국내 펀드시장은 최근 수년간 눈부신 성장을 보였다. 그러다 보니 종합지나 경제지 할 것 없이 펀드 관련 기사를 비중있게 다룰 수밖에 없다. 신문 지면을 보다 보면 머니마켓펀드(MMF), 채권형펀드, 주식형펀드, 해외펀드 등 다양한 펀드들이 등장한다. 중국 브릭스 프런티어마켓 펀드 등 지역 이름을 딴 펀드들도 수두룩하다. 펀드에는 어떤 게...
-
경제 기타
서울도심 혼잡통행료 부과 타당하나요?
찬 "백화점 세일기간 교통정체 불러 큰 불편" 반 "교통량 줄이자고 소비활동 가로막는 격" 서울시가 대형 건물 69곳을 교통혼잡 특별관리 시설물로 지정하고, 이르면 10월부터 이곳에 진입하는 차량에 통행료 4000원을 부과하겠다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도심 혼잡통행료 부과 문제가 도마에 오른 것이다. 서울시는 도심 교통혼잡을 줄이기 위해 교통량을 과다하게 일으키는 시설의 출입 차량에 통행료를 물리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
경제 기타
광우병 진실을 알고 싶다
국민들이 무엇을 원하는가? 국민들이 원하는 것은 '진실' 하나뿐…. 미국산 쇠고기 수입협상에 대한 논란이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핵심문제인 쇠고기 수입 반대를 벗어나 반미감정 악화,이명박 정부의 정책 비판,120만명의 탄핵서명운동에 이르렀다. 특히 전국적으로 일어난 촛불시위는 남녀노소 할 것 없는 많은 국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는 적극적으로 국민들이 불안감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뒤늦게 청문회가 열렸지만 동문...
-
경제 기타
청소년 촛불 봉쇄에 앞서 쇠고기 오해부터 풀어야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반대 여론이 거세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는 2006년부터 논의되어 왔으며,찬반 논란도 계속 이어져 왔다. 하지만 이번 쇠고기 협상 문제는 반대여론의 중심에 청소년들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과 큰 차이점이 있다. 서울 청계천 일대를 기점으로 시작된 쇠고기 반대 촛불문화제는 대전 중앙로,부산 서면 등지로 퍼져나갔으며 모든 현장에 교복을 입은 어린 학생들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미국산 쇠고기가 우리나라...
-
경제 기타
중국 지진, 우리는 안전할까요?
"여러분 중국 쓰촨성 지역에 지진으로 피해가 많다는 거 알고 있죠?" 지구과학 시간,선생님께서는 지각 변동 관련 수업을 하기 전 중국 지진 얘기를 꺼내셨다. 특히 학교에 있던 학생들은 수업을 듣다가 지진으로 인해 많이 죽게 되었다며 지진이 일어날 때 최대한 건물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해 중국 지진 사망자는 쓰촨성에서만 약 4만명,23만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우리나라 국토의 3분의 1이 피...
-
커버스토리
석유시대 끝나나
석유가 없으면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갈까? 주변을 둘러보면 석유가 사라지면 사용할 수 없거나 더 이상 보기 힘들어지는 것들이 너무나 많다. 자동차 항공기 선박은 가동을 멈출 것이고 가방 볼펜 운동화 같은 석유화학 제품들도 찾아보기 힘들어질 것이다. 공상과학 소설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이지만 이제 석유시대가 끝나가는 게 아니냐는 경고가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물론 당연히 새로운 에너지가 등장할 것이다. 수소도 있고 원자력도 대안 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