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수학여행 꼭 해외로 가야 하나?
빡빡한 일정 수박겉할기씩 낭비 문화·경제·산업 등 현장을 견학함으로써 넓은 식견을 얻는다는 취지로 시작된 수학여행이 최근 본질에서 벗어나고 있다. 특히 해외로 수학 여행을 떠나는 학교가 크게 늘고 있으나 수학여행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 있는지 의문이다. 국외로 수학여행을 정한 학교는 2004년 112개교,2005년 229개교에서 지난해에는 260개교로 갈수록 증가 추세다. 서울시만 하더라도 293개교 중 해외로 수학여행을 떠나는 학교가 4...
-
경제 기타
교육 현장에 남은 일제 잔재들
교실에 선생님이 들어오시자 학급회장 학생이 일어선다. '차렷, 경례'라는 구령에 맞추어 학생들은 일제히 인사를 하고 선생님은 목례로 화답한다. 요즘 어느 학교에서나 볼 수 있는 일상적인 모습이다. 지금부터 3년 전,이러한 차렷·경례식 인사가 일제의 잔재이며 권위주의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자 서울시 교육청은 초·중·고 일선학교에 교사와 학생들이 격식없이 인사를 하는 '구령 없이 인사하기 운동'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
-
교양 기타
(60)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패러다임'이라는 개념을 세상에 내놓다 '패러다임'이라는 말은 요즘 누구나가 사용하는 일상용어가 되었다. 너무나 자주 사용되다보니 오히려 누가 '패러다임'을 들먹이면 진부해 보이기까지 한다. 하지만 정작 '패러다임'의 의미에 대해 얘기해 보라하면 이를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을 찾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패러다임'이라는 용어가 고작 50년쯤 전에 탄생했으며,더구나 고도의 전문 학술용어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누구나 놀라움과 함께 '패러다임...
-
커버스토리
뭐! 세계화가 개도국을 가난하게 만든다고?
두바이와 미얀마 차이는 세계화로 갈렸다 세계 최고층 빌딩으로 유명한 '버즈 두바이(사진 왼쪽)'.요트의 돛대 모양을 한 7성급 호텔 '버즈 알 아랍'.요즘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두바이의 상징들이다. 일종의 부족국가인 두바이는 석유·가스 매장량이 각각 세계 5위와 4위인 아랍에미리트(UAE)에 속해 있다. UAE는 1인당 GDP가 3만5000달러에 달한다. 그렇지만 UAE의 두바이가 풍요로워진 것은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
경제 기타
지난해 개발 보상비 30조원 풀려 外
◎ 지난해 개발 보상비 30조원 풀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각종 공공개발 사업이 크게 늘면서 작년 한 해 30조원에 달하는 보상금이 풀렸다. 특히 행정도시,신도시 등 초대형 공공개발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이들 토지에 대한 보상비가 전체의 90%를 차지했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작년에 풀린 보상비는 29조9185억원으로 2005년 17조2615억원에 비해 73%나 늘었다. -30조원이라면 지난해 일요일 빼고 하루에 무려 1000억원...
-
경제 기타
아시아 통화강세, 상당기간 지속된다
최근 들어 미국 달러화에 대해 일제히 강세를 보이고 있는 아시아 통화들이 앞으로도 상당 기간 이런 추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지난 4일 보도했다. 미국 금리인하로 달러화 가치가 약세를 나타내고 있는데다 아시아 각국의 경제도 호황을 누리고 있어 아시아 통화가치 상승 여지가 크다는 진단이다. 지난주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 대비 호주달러 가치는 18년래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고 싱가포르달러 역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 ...
-
경제 기타
남북 정상회담 무엇을 남겼나
"경제 번영없이는 평화 기약할 수 없다"공감대 형성 북한의 개혁·개방 통한 궁극적 변화 전제돼야 2007 남북 정상회담이 '10·4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위한 선언'(10·4선언)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이번 회담에서 남북 정상은 "경제적 번영 없이는 평화를 기약할 수 없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극적인 합의를 이끌어 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북한 핵문제에 대한 언급이 미약하고,인도적 문제들이 거론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선 미...
-
커버스토리
어! 개도국이 선진 기업들 사들이네
이처럼 개도국 자본이 M&A시장의 주역으로 등장한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오일머니와 외환보유액 증가 등으로 이른바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 규모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운용되는 국부펀드는 지난 6월 말 기준 2조5000억달러 정도로 추정된다. 헤지펀드 운용자산 규모(1조5000억달러)를 이미 뛰어넘은 지 오래다. 이들은 투자효율화 측면에서 최근 선진 각국 기업 인수에 나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