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지금 '윤이월' 지나는 중이죠

    절기상으론 청명(淸明·4월 5일)을 지나 어느새 곡우(穀雨·4월 20일)를 향해 가고 있다. ‘곡식 곡(穀), 비 우(雨)’다. 봄비가 내려 백곡을 이롭게 한다는 데서 붙은 말이다. 못자리를 준비하는 등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되는 때다. 하지만 음력으로 따지면 아직도 2월이다. ‘윤달’이 끼어 있기 때문이다. 평년 같으면 지금쯤 음력 3월은 돼야 하는데, 올해는 음력 2월이 4월 중하순까지 이어진다. 달력 계절-실제 계절 맞추려는 공달‘윤달(閏-)’은 살아가면서 자주 접하는 생활단어다. 하지만 막상 설명하려면 쉽지 않다. 천체 현상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윤달은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을 일치시키기 위해 끼워넣는 달이다. 양력과 음력에 다 있다. 우리가 통상 쓰는 양력은 지구가 태양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1년 365일로 정한 역법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365.25일 정도 된다. 나머지 0.25일을 모으면 4년마다 하루가 생긴다.태양력에서는 그 하루를 2월에 끼워 넣어 28일이 아니라 29일로 만든다. 이렇게 추가한 날을 ‘윤일’ 또는 ‘윤날’이라고 한다. 양력에서는 4년에 한 번, 2월이 윤달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양력을 1896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도입했다. 당시 정한 조선시대 최초의 연호가 건양(建陽·1896~1897)인데, 이는 태양력을 도입했다는 의미다. 그만큼 태양력 제도의 시행이 국가적 개혁사업이었음을 알 수 있다.윤달 또는 윤날이 든 해를 ‘윤년(閏年)’이라고 한다. 윤년에 대응하는 말, 즉 윤년이 아닌 해는 ‘평년(平年)’이라고 부른다. 내년, 2024년 2월이 양력으로 4년에 한 번 오는 윤년 윤달이다. 그러니 내년 2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공통점으로 다른 대상 미루어 짐작하기

    도킨스에 의하면 밈이란 유전과는 구별되는, 문화와 관련된 복제의 기본 단위이다. 사후 세계와 같은 관념, 패션 등은 한 인간에서 다른 인간에게로 복제되는 밈의 사례이다. 유전자가 정자나 난자를 통해 하나의 신체에서 다른 하나의 신체로 퍼뜨려지는 것과 유사하게, 밈도 모방의 과정을 통해 한 사람의 뇌에서 다른 사람의 뇌로 퍼뜨려진다. 블랙모어는 이것을 기생-숙주 모델로 설명한다. 바이러스가 숙주에 기생해 복제를 반복하여 자기 존재를 확장하고 인근의 숙주들을 전염시키듯이 밈에게는 밈을 더 많이 퍼뜨리는 복제 전략을 위해 숙주인 인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자기 자신의 복사본을 더 많이 퍼뜨리려는 행동적 측면을 고려할 때 유전자와 밈이 복제자이자 행위자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간 개체가 행위자가 아니라고 보는 입장이다.밈의 전달이 모방을 통해 일어난다고 할 때, 블랙모어는 모방을 ‘전염’, ‘개인적 학습’, ‘비모방적인 사회적 학습’과 구별한다. 하품하는 사람을 보면 덩달아 하품할 때가 있다. 이러한 전염은 배우지 않더라도 수행할 수 있는 선천적 행동이기 때문에 남을 따라 하긴 하지만 모방이 아니다. 개인적 학습은 개체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특정 반응이나 행동을 하는 것인데, 관찰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모방이 아니다. 비모방적인 사회적 학습은 주어진 자극에 따른 반응이 적절한 보상이 되어 그 자극이 강화되는 것이다. 비모방적인 사회적 학습에서는 다른 개체에 대한 관찰을 통해 특정 행동을 학습하지만 학습의 대상이 행동 자체가 아니다. 자극에 따른 반응이 적절한 보상을 받는 환경에 대해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옥석을 가리는 비판적 사유…논리적 공격을

    지난 시간(생글 3월 27일자, 16면)에 설명했던 핵심 3유형 기억하나요? 설명형, 비판형, 요약형입니다. 오늘부터는 3회에 걸쳐 비판형에 대해 다루려고 합니다. 논술고사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유형일 뿐만 아니라, 답안 간 편차가 심한 유형이기도 합니다.비판은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잘못된 점을 지적하는 일입니다. 따라서 비판의 결과 ‘옳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습니다. 대다수는 비판에서 문제점을 지적하므로 그른 것을 찾으면 거의 틀리지 않겠지만, 늘 주의하고 있어야 합니다. 비판적 사유는 제시문의 관계에 따라 다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거의 모든 대학에서 비판 유형 문제를 출제하기 때문에 비판의 물음은 형태가 다양할 것입니다. 이를 크게 분류하면 제시문의 성격과 서로의 관계에 따라 사고하는 방식, 글감을 모으는 방식이 다소 다릅니다. 그래서 세 유형을 각각의 사례와 함께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살펴보고자 합니다.우선 이번에는 ‘논리에 기초한 논리 공격’을 다루겠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여러분은 상대방의 주장을 지적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한 친구가 피자가 좋은 음식이라고 주장했다고 합시다.-갑 : 피자는 좋은 음식이야.-을 : 그건 틀린 생각이야. 피자는 좋은 음식이 아니거든.위와 같이 대화하면 서로 논리적으로 설득되거나 타협할 가능성은 줄어들고 상대를 비방하거나 힐난하는 감정적인 상황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우리는 이성과 이성에 기초한 논리를 가진 사유의 존재입니다. 따라서 논리를 생각해볼 수 있지요.-갑 : 피자는 좋은 음식이야.-을 : 왜?-갑 : 피자는 건강에도 좋고, 맛도 있거든.-을 : 음…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南風不競 (남풍불경)

    ▶ 한자풀이南: 남녘 남  風: 바람 풍  不: 아니 불  競: 다툴 경남풍지역 풍악은 미약하고 생기가 없음세력을 크게 떨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춘추시대 말엽 제후들은 진나라를 중심으로 노나라 위나라 정나라 등이 연합세력을 구축해 제나라를 치려고 포위하고 있었다. 이런 어수선한 틈을 타 정나라의 대부(大夫) 자공(子孔)은 남쪽의 초나라 군대를 끌어들여 다른 대부들을 내쫓고 권력을 장악하려 했다.자공은 초나라로 사자를 보내 지원을 요청했다. 초나라 강왕(康王)은 군대를 파견해 자공을 돕자고 했으나 재상 자경(子庚)은 생각이 달랐다. “나는 즉위한 지 5년이 됐지만 다른 나라에 군대를 파견한 적이 없소. 백성들이 나에게 안일만을 탐해 선군의 유업을 잊고 있다고 할지 모르니 이 점을 헤아려주시오.”“소신은 생각이 다르지만 명을 받들겠습니다. 다만 여의치 않으면 큰 패배로 왕께 불명예가 되지 않도록 군대를 회군시킬 것입니다.”자경은 내키지 않았지만 명을 어길 수 없어 군대를 이끌고 정나라로 공격해 갔다. 정나라는 용장 정백(鄭伯)이 제나라를 정벌하러 가고 없어 자전(子展)과 자서(子西)가 남아서 지키고 있었지만 자경의 계략을 미리 알고 단단히 방비하고 있는 터였다. 자경은 불과 이틀을 싸우다 물러가게 됐는데, 불운하게도 퇴각길에 큰비가 내리고 설상가상(雪上加霜) 한겨울이어서 얼어죽는 말과 병사가 속출해 거의 전멸 상태가 됐다.제나라와의 싸움터에서 초나라 출병 소식을 들은 진나라의 악관(樂官) 사광은 태연했다. “별로 큰일은 없을 것이다. 내가 간혹 남방(南方)의 노래와 북방(北方)의 노래를 부르는데,

  • 영어 이야기

    Bite off more than one can chew 는 '무리한 일'

    South Korean chipmakers expressed deep concerns about the detailed guidelines of the US CHIPS and Science Act, saying that they are being forced to bite off more than they can chew to receive US chip subsidies and incentives.Excessive requests to disclose sensitive information, considered business secrets, to the US government c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appeal of receiving state funds to build new facilities in the country, they said.Under the latest guidelines unveiled by the US Commerce Department on Monday, semiconductor firms hoping to access CHIPS Act funding are required to provide detailed revenue and profit projections for their new chipmaking plants.미국 반도체산업 지원을 위한 ‘미국 반도체 과학법’의 세부 지침에 대해 한국 반도체 회사들이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미국 반도체 보조금과 우대 혜택을 받기 위한 반도체 과학법의 세부 지침은 국내 반도체 업체들이 받아들이기 힘든 무리한 요구라고 말했다.기업 비밀로 간주되는 민감한 정보를 미국 정부에 공개하라는 과도한 요청은 미국의 국가 자금을 받아 미국에 새로운 시설을 짓는 데 대한 매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그들은 말했다.월요일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최신 지침에 따르면 반도체 과학법(CHIPS Act)의 자금 지원을 받으려는 회사는 미국에 설립할 반도체 공장의 구체적인 예상 매출과 이익을 제출해야 한다. 해설작년 8월 미국 정부가 제정한 ‘미국 반도체 과학법(US CHIPS and Science Act)’ 또는 ‘반도체 지원법’에 대한 세부 지침이 최근 발표됐습니다.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지으려는 회사가 미국 정부 보조금을 받기 위해 제공해야 하는 세부 조건에 관한 한국 반도체 업계의 반응을 다룬 기사입니다.미국 정부 보조금 지급을 위한 세부 지침에 반도체 업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다시 '독립신문 창간정신'을 새기는 까닭은 …

    “우리신문이 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 샹하귀쳔이 다보게 홈이라. 또 국문을 이러케 귀졀을 떼여 쓴즉 아모라도 이신문 보기가 쉽고 신문속에 잇난 말을 자세이 알어 보게 함이라.”(독립신문의 창간사설 중)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 을미사변(1895) 아관파천(1896)…. 열강의 각축으로 조선왕조의 운명이 백척간두에 서 있던 구한말. 1896년 4월 7일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신문 ‘독립신문’이 탄생했다.쉬운 글말 쓰기…독자중심주의 표방독립신문은 한국 언론사(史)뿐만 아니라 국어사적으로도 획기적인 이정표를 세웠다. 창간사설에서 신문 최초로 한글 전용(한문은 아니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난거슨)과 띄어쓰기(귀졀을 떼여 쓴즉) 도입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상하귀천이 다 보게’ 하고 ‘아무라도 신문 보기가 쉽고 말을 알아보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읽기 쉽고 알기 쉽게’라는, 신문의 글쓰기 원리를 생각할 때 지금 다시 봐도 무릎을 치게 하는 선구자적 혜안이다. 후대 언론인들은 그 정신을 이어받아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삼아 매년 기념하고 있다.하지만 신문언어의 현실은 사뭇 다르다. 신문의 글은 여전히 공급자 위주이고 독자 눈높이에 맞추지 못한다. 자동제세동기, 이주배경인, 그린택소노미, 알이백, 성인지감수성, 사보임, 촉법소년….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몇 가지만 나열해도 신문언어가 얼마나 일상의 말에서 동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다.한동안 ‘자동제세동기’란 말을 자주 접했다. 5~6년 전쯤 지하철역 등 다중 이용시설에 배치돼 화제가 됐다. 자동제세동기(自動除細動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轍鮒之急 (철부지급)

    ▶ 한자풀이轍: 바퀴자국 철  鮒: 붕어 부  之: 갈 지  急: 급할 급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위급에 처하거나 상황이 매우 곤궁함  - <장자(莊子)>장자(莊子)는 자연적인 삶을 추구했지만 집안은 늘 가난했고 밥을 굶는 날도 많았다. 장자가 친분이 있던 지방장관 감하후(監河侯)에게 양식을 꾸러 갔다. “형편이 나아지는 대로 갚을 테니 얼마만 융통해주십시오.”감하후가 답했다. “좋소이다. 고을에서 세금이 들어오는 대로 삼백 금을 빌려드리겠소. 그리하면 되겠지요?”감하후의 속내를 알아챈 장자가 퉁명스럽게 쏘았다. “말씀만으로도 감사합니다. 하지만 그땐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그러고는 비유를 들어 감하후를 꾸짖었다. “어제 이리로 오는 길에 누가 저를 부르더군요. 그래 돌아보았더니 수레바퀴 지나간 자리에 붕어가 있지 않겠소. 어찌 된 일이냐고 물었더니, ‘나는 동해의 파신(波臣: 물고기)인데 어떻게 한두 바가지 물로 나를 살려줄 수 없겠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알았네. 내가 곧 오나라 월나라 임금을 만나게 될 테니 그때 서강(西江)의 물을 끌어다가 그대를 맞이하겠네. 괜찮겠지’ 하고 대답했더니 붕어가 화를 내며, ‘나는 잠시도 없어서는 안 될 것을 잃고 당장 곤란에 빠져 있소. 한두 바가지 물만 있으면 나는 살 수 있소. 그런데 당신은 그런 태평스러운 소리만 하고 있으니 차라리 일찌감치 건어물 가게로 가서 나를 찾으시오’라고 했습니다.”철부지급(轍之急)은 <장자> 외물편 이야기에서 유래하며, 수레가 지나간 바퀴 자국에 생긴 물웅덩이에 있는 붕어의 위급함이라는 뜻이다.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식에 숨어 있는 의도를 파악하려면?

    수식 또는 식의 계산이 비교적 쉬운 문제는 기본 개념과 계산 능력을 간단하게 확인하려는 것이므로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식이 복잡하거나 문제의 조건이 늘어날수록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때 수식 자체에만 집중하다 보면 출제 의도를 놓치기 쉬우므로 수식에 들어 있는 출제 의도를 파악하려는 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 된다. 이 경우 수식이 가진 의미 단위로 문제를 재구성하거나 문제의 조건 중 놓친 부분이 없는지 다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예시 논제를 통해 문제의 해결 과정을 따라가고 이를 다른 문제에도 적용해보자.포인트A=-B면 A=0이거나 A와 B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반대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