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 논리적 글 읽기
압전 효과에는 재료에 기계적 변형이 생기면 재료에 전압이 발생하는 1차 압전 효과와, 재료에 전압을 걸면 재료에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2차 압전 효과가 있다. 두 압전 효과가 모두 생기는 재료를 압전체라 하며, 수정이 주로 쓰인다.[지문키워드] 기계적 변형이 생기면 재료에 전압이 발생하는… 재료에 전압을 걸면 재료에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두 압전 효과가 모두 생기는
압전체로 사용하는 수정은 특정 방향으로 절단 및 가공해 납작한 원판 모양으로 만든다. 이후 원판의 양면에 전극을 만든 후 (+)와 (-) 극이 교대로 바뀌는 전압을 가하면 수정이 진동한다. 이때 전압의 주파수*를 수정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시켜 수정이 큰 폭으로 진동하도록 하여 진동을 측정하기 쉽게 만든 것이 수정 진동자다. 고유 주파수란 어떤 물체가 갖는 고유한 진동 주파수인데, 같은 재료의 압전체라도 압전체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수정 진동자에 어떤 물질이 달라붙어 질량이 증가하면 고유 주파수에서 진동하던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가 감소한다. 수정 진동자의 주파수는 매우 작은 질량 변화에 민감하게 변하므로 기체 분자나 DNA와 같은 미세한 물질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진동자에서 질량 민감도는 주파수의 변화 정도를 측정된 질량으로 나눈 값인데, 수정 진동자의 질량 민감도는 매우 크다.
*주파수: 진동이 1초 동안 반복하는 횟수 또는 전압의 (+)와 (-) 극이 1초 동안, 서로 바뀌고 다시 원래대로 되는 횟수.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나아가 철수 쌤은 질량 민감도라는 것이 주파수 변화량에 비례하고, 질량 변화량에는 반비례한다는 것을 추리하며 읽는다. 다시 말하면 질량이 적게 변해도 주파수가 많이 변하는 것이 질량에 민감한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다. 포인트
2. 개념의 정의를 개념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으로 생각하고 읽으면 좋다.
3.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경우 논리곱의 진리표로 정리하며 이해해보자.
4. 함수를 고려해 이해해야 할 경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를 파악하고 비례, 반비례 등을 따지며 읽는다.
5. A는 B를 C로 나눈 값임을 A=B/C로 나타내며 이해하도록 하자.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같은 생각은 '='로, 다른 생각은 '⇔'로 표시하며 읽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396031.3.jpg)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각기 다른 분야 이론도 상호 영향 주고받아](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301210.3.jpg)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A가 아니라 B', 'A 즉 B' 문장 구조를 이해하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312/AA.3527776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