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詩語에 담긴 문법코드 ③
'구둣발 들고 토끼다'는 어불성설? # 나는 두 구둣발을 들고 힘차게 토꼈다. 성석제의 콩트 '성탄목'에 나오는 한 구절이다. 그런데 그 표현이 간단치 않다. '구둣발을 들고 토꼈다'라니…. 구두를 신은 발이 '구둣발'인데 그것을 들고 어떻게 뛴단 말인가. 문단의 내로라하는 작가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히는 소설가 성석제가 '우리말 지킴이'를 자임하는 권오운씨에게 딱 걸렸다. 이태 전 나온 '작가들이 결딴 낸 우리말'(문학수첩)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48. 띄어쓰기 공략법 : '데'와 '-ㄴ데'
'버는데'와 '버는 데'의 차이 글을 써 본 사람들은 누구든지 띄어쓰기에 관해 한 번쯤 고민해 봤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글의 '완성도'란 측면에선 띄어쓰기가 차지하는 부분이 그리 크지 않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이것이 아마도 띄어쓰기를 종종 무시하게 만드는 요인 가운데 가장 큰 것일 터이지만,거기에는 중요한 점이 하나 간과돼 있다. 띄어쓰기야말로 글에 신뢰성과 성실성을 입히는 기본 요소라는 점이다. 띄어쓰기는 글에 정교함을 ...
-
학습 길잡이 기타
9. 묵자의 공리주의 실천한 '김육(金堉)'
대동법을 통해 백성들의 三患 없애고 근대화 씨앗 뿌려 ⊙ 대동법은 시대적 요구였다 조선정부 재정수입의 하나인 공물은 농민의 생산물량을 기준으로 한 과세가 아니라 국가의 수요를 기준으로 한 과세였기 때문에 백성들에게 부과되는 과세량에 무리가 있었다. 처음에 지방의 특산물을 국가에 바친다는 소박한 충성 개념에서 시작된 공납은 국가 수입의 60%를 차지하는 주요 세원(稅源)으로 자리 잡았으나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공물의 종류와 수량은 국...
-
학습 길잡이 기타
유경호의 자·수·전 ⑮
토너먼트 - 「확률과 통계」편 --------------------------------------------------------------
-
학습 길잡이 기타
36. 이름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 Jack, John, Sam 등
Jack of all trades(팔방미인)은 부정적인 뜻도 내포 ⊙ Every Jack has his Jill. Jack과 Jill은 한국말로 하자면 갑돌이와 갑순이 정도 되는 매우 흔한 영어 이름이다. 따라서 Every Jack has his Jill은 '모든 남자는 다 자신의 여자를 갖고 있다'는 뜻에서 '짚신도 짝이 있다'는 한국말과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 Jack of all trades 한국말로 이런저런 일을 다 잘하는...
-
학습 길잡이 기타
詩語에 담긴 문법코드 ②
이인직은 '피눈물'을 왜 '혈의 누'라 했나 # 장소 - 바닷속 용궁과 숲속. # 등장인물 - 토끼,자라,용왕,문어 장군…. 이쯤 되면 무엇을 가리키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별주부전'을 설명하는 말들이다. '별주부전'은 여러 가지 다른 이름을 갖고 있는데 근원 설화로서의 '귀토지설',판소리 사설인 '수궁가',고전소설인 '별주부전'이나 '토끼전' 따위의 이름으로 전한다. 개화기 때는 이해조에 의해 '토(兎)의 간(肝)'이란...
-
학습 길잡이 기타
47. '박이'와 '-배기/-빼기'
'장승배기'와 그 아류들 서울 지하철 7호선 역 가운데 '장승배기역'이 있다. 동작구에 속한 이 일대는 조선 정조가 아버지인 사도 세자의 묘소에 참배하러 가는 길에 잠시 쉬어가던 곳이다. 당시 이곳 숲이 우거지고 음산해 장승을 세웠는데,이는 왕명으로 세워진 유일한 장승으로 전국 팔도 장승의 우두머리였으며 '장승배기'라는 지명의 근원이 됐다고 한다. 장승배기는 '장승이 박혀 있는 곳'이라는 뜻의 말이다. 이 말이 사람에 따라 장승백이,장...
-
학습 길잡이 기타
8. 구국(救國)의 해법을 법가에서 찾은 세조
강력한 왕권 부활시켜 부국강병의 기틀 다져 ⊙ 국정운영의 주체는 왕이다 조선의 네 번째 군주인 세종이 처음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한 이유는 태종대에 이룩한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현명한 재상을 등용해 왕권(王權)과 신권(臣權)이 조화된 이상적 정치를 펼치려는 목적 때문이었다. 당시에는 왕권이 강력했고,세종 자신의 뛰어난 정치력이 있었기 때문에 왕권과 신권의 조화가 가능했다. 하지만 문종과 단종의 불안한 재위 기간을 거치면서 신권이 왕권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