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남 따라하는 묻지마식 소비가 밴드왜건 효과죠
선거판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유력 후보자에 지지가 몰리는 것도 '밴드왜건 효과'라고 부릅니다 '밴드왜건'은 퍼레이드 맨 앞에서 행렬을 선도하는 마차나 차량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재커리 테일러가 미국 대통령이 된 이유 재커리 테일러(Zachary Taylor)는 정치권의 테두리 밖에 있던 사람으로서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최초의 인물이다. 평생을 전쟁터에서 보낸 직업군인이던 그는 휘그당(공화당 전신) 대통령 후보로 ...
-
학습 길잡이 기타
맞춤법 공략하기 (25) '따 논 당상'이란 말은 없다
지난 호에서 'ㅎ' 불규칙 용언에 대해 살펴봤다. 이 규정의 핵심은 '형용사의 어간 끝 받침 'ㅎ'이 어미 '-네'나 모음 앞에서 줄어지는 경우, 준 대로 적는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닷물이 정말 파랗다”란 말이 변형을 하면 '파랗고, 파랗게, 파랗지, 파랗던'처럼 바뀌다가 '파라네, 파란, 파라니, 파래, 파래졌다' 식으로 받침 ㅎ이 탈락한다. 그 중에서도 어미 '-네'가 올 때 '파라네'가 원칙이지만, 사람들이 '파랗네' 식으로도 많...
-
학습 길잡이 기타
Give·present·provide '주다'와 관련된 영어 표현들
Use precise language 정확한 언어의 사용 Wear your assigned clothing 배정된 의복 착용 Take your morning medication 오전 약물 투여 Obey the curfew 통근시간 엄수 Nerver lie 거짓말 절대 금지 위 표현은 영화 ‘The giver(기억 전달자)’ 첫 장면에 나오는 대사 입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는 것처럼 이 영화는 동명의 ...
-
학습 길잡이 기타
남에게 날카로운 병기를 빌려주면 남에게 해를 당한다. - 육도
▶ “육도(六韜)” ‘수토(守土)’편에 있는 글이다. 문왕이 국토를 지키려면 어찌해야 하는지 묻자, 태공이 말한다. 남에게 나라의 권력을 빌려주지 말아야 하니, 남에게 나라의 권력을 빌려주면 권위를 잃게 됩니다. 골짜기를 파서 흙을 언덕에 붙이지 말고,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다스리지 말며....... 해가 중천에 있을 적에 물건을 말리지 않으면 이것을 일러 때를 잃었다고 하고, 칼을 잡고도 베지 않으...
-
경제 기타
인위적 가격통제는 단기적으로 정책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경제 전체적으로 왜곡을 낳기도 해요
올 해 최저임금은 작년보다 440원이 오른 6,470원으로 결정됐다고 한다. 최저임금제도는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여 그 수준 이상으로 임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제도로,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위해 시행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렇게 저소득근로자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최저임금제도는 반드시 좋은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 꼭 그렇지만은 않다. 최저임금제도는 정부가 시행하는 가격통제의 대표적인 제도이다. 가격통제는 시장에서 정해진 가격이 안정적인 경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맞춤법 공략하기 (24) - 바닷물이 파랗네? 파라네? “와아~, 바닷물 빛깔이 정말 (파라네/파랗네).” “개나리꽃이 정말 (노라네/노랗네).” 이들 문장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이 ‘파랗네, 노랗네’를 고를 것이다. 정답은 둘 다 맞는 표기다. 여기에는 곡절이 있다. 파랗다, 노랗다, 그렇다, 동그랗다 등 어간 끝에 ‘ㅎ’ 받침을 가진...
-
학습 길잡이 기타
천하는 한 사람의 천하가 아니요, 바로 천하 사람들의 천하이다. - 육도
▶ 육도(六韜)는 주(周)나라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이 지은 병법서이다. 하지만 후대의 병법연구가들이 의견을 덧붙이거나 산삭한 책이라는 학설이 유력하다. 이 글은 문왕이 백성들의 마음을 수합하는 방법을 묻자 태공망이 한 말이다. 문왕이 말했다. “인심을 어찌 수합해야 천하 사람들이 와서 귀의합니까?” 태공이 말했다. “천하는 (군주) 한 사람의 천하가 아니요, 바로 천하 사람들의 천하입니다. 천하의 이로움...
-
경제 기타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는 뭐가 다른가
경제 용어 중에는 정확한 개념을 숙지하지 못한 채 혼용해서 사용하는 용어가 몇 개 있다. 그 중 하나가 ‘범위의 경제’와 ‘규모의 경제’이다. 흔히 범위의 경제와 규모의 경제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둘은 분명히 다른 개념이다. 범위의 경제란 기업이 여러 재화나 서비스를 함께 생산할 때 발생하는 총비용이 그런 재화나 서비스를 별도의 기업이 생산했을 때 발생하는 총비용보다 작아지는 경우를 의미한다....